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삼생의 업장을 일시에 소멸한 머슴

... 조회수 : 2,932
작성일 : 2012-01-01 12:43:19

출처:다음까페<나무아미타불>

조선조 중기에 강원도 철원군 보개산 심원사(深遠寺)의 스님은 퇴락한 법당을 중수하기 위해 천일기도를 올렸다.

기도 마지막날에 스님이 꿈을 꾸었는데, 부처님이 현몽해서 불사에 대한 방법을 일러주셨다.

 화주책을 만들어 아침에 고을로 내려가 제일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주라는 것이었다.
스님은 부처님의 말씀대로 화주책을 만들어 들고 하산하면서 처음 만나는 사람이 아무쪼록 공덕심이 있어서

 법당이 새롭게 단장될 수 있기를 축원하였다. 그 때 한 사람이 오는데 자세히 보니

고을의 대감집에 사는 떠꺼머리 머슴이었다. 스님은 마음속으로 뭔가 잘못된 것이 아닌가 하여 실망하다가

 어젯밤 꿈이 하도 생생한지라 머슴이지만 자초지종을 이야기하고 화주책을 건네주고 돌아왔다.

스님은 책을 주고 절로 돌아오면서도 마음이 놓이지 않았다.
한편 화주책을 건네 받은 머슴은 신세가 박복하여 가진 것이 없어 불사에 참여하지 못함을 고민하다가,

장가갈 때 받아가기로 하고 이십여년 동안 모아놓은 새경(품삯)을 일시에 받아서 심원사에다 시주하였다.

 그리고 장가가기를 포기하고 머슴살이를 계속하였다.
머슴의 선행은 고을에 널리 퍼져 나갔다. 고을사람들은 좋은 일이 생길 것이고 복을 받을 것이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스님도 머슴을 위해 불상 앞에서 늘상 기도하였다. 그런데 이게 무슨 운명의 장난인가?

 머슴이 일하다가 실족하여 하반신 불구가 되었다. 대감집에서는 일을 하지 못하는 머슴을 쫓아내었다.

 스님은 난처한 지경에 빠진 머슴을 절로 데려왔다. 그러자 고을사람들은 물론이고 스님마저도

부처님의 인과법문(因果法門)과 기도의 위신력에 회의를 가졌다.

그런데 얼마 되지 않아 절에서 허드렛일을 도우며 지내던 머슴이 이번에는 중풍에 걸려 대소변도 가리지 못하는 신세가 되었다. 생명처럼 소중한 재산을 시주한 착한 사람을 위해 스님이 조석으로 기도를 아끼지 않았건만 돌아온 것이 이러한 불행이란 말인가! 사람들은 부처님의 인연법이나 가피력을 믿지 않았고 절에도 오지 않았다.

그런데 더 기가 막힌 일이 벌어졌다. 또 얼마 되지 않아 머슴이 호랑이에게 잡아먹히고는 머리통만 길바닥에 뒹굴었다.

 박복해도 이렇게 박복할 수 있을까.. 스님은 도끼를 들고 법당으로 들어가 아무런 영험도 없는 불상의 이마를 찍었다.

 그리고 다시 치려고 도끼를 빼려고 하니 빠지지를 않았다. 아무리 애를 써도 소용이 없었다.

 스님은 박복한 총각의 머리통을 거두어 묻어주고 그대로 절을 떠났다. 그러한 소문을 들은 고을사람들이 절로 올라와 도끼를 빼려 하였으나 어림도 없었다.

그렇게 세월이 흐르기를 30여년...


그 고을에 새로 부임한 젊은 군수가 심원사에서 일어난 이상한 일을 보고받고는 마음이 일어 절을 찾아갔다.

군수가 자세히 보니 거기의 도끼 끝에는 이런 글씨가 씌어 있었다. '불사(佛事)로 삼생(三生)의 인과를 한꺼번에 벗은 자가 이 도끼를 빼리라' 군수는 불상에 박힌 도끼를 잡아 뽑아 보기로 하였다. 그리고 잡아당기니 도끼가 스르르 쉽게 빠지는 것이 아닌가! 군수는 물론이고 고을사람들 모두가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

한 생(生)은 머슴으로, 또 한 생은 불구자로, 그리고 또 한 생은 중풍으로 누워서 살다가 마침내는 호환(虎患)으로 생을 마쳐야 할, 기나긴 세월의 업장(業障)이, 두터운 불심으로 인하여 단 삼년만에 소멸되고, 이제 그 머슴이 군수로 전생하여 금의환향한 것이었다.

---------- * --------------

그렇습니다. 인과(因果)는 이렇게 철저합니다.
마치 거울에 사물의 모양이 있는 그대로 비치듯, 산에 가서 소리를 지르면 그 소리대로 메아리쳐 돌아오듯~

그렇게 분명한 것이 인연과보(因緣果報)입니다.

내가 나쁜 업(業)을 행하였으면 괴로운 과보를 받을 것이요, 좋은 업을 행하였다면 즐거운 과보를 받을 것입니다.

지금 당장 받을 수도 있고, 내생(來生)에 받을 수도 있습니다. 언제 받느냐의 문제일 뿐, 받을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그러므로 좋은 결과를 억지로 바랄 필요도 없고, 나쁜 결과를 억지로 피해보려고 애쓸 필요도 없습니다.
내가 행한 만큼 받겠다는 마음으로, 그저 지금의 행동을 올바르게 하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며, 지금 이 시간에 내가 어떤 업(業 행동)을 행하느냐의 문제인 것입니다.

'중생은 결과(果)를 두려워 하고, 보살은 원인(因)을 두려워 한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이는 언제나 자신의 행동과 마음을 살피고 정화하는 데에만 주의를 기울입니다.

그는 인과를 믿기때문 입니다. 인과를 믿으면 원망과 노여움, 성내는 마음(瞋心)으로부터 벗어나 대자유를 느낄 수 있습니다.

내게는 업보가 오지 않으리라고
악을 가볍게 여기지 말라.
방울 물이 고여서 항아리를 채우나니
작은 악이 쌓여서 큰 죄악이 되느니라.

악의 열매가 맺기 전에는
악한 자도 복을 만난다.
그러나 악의 열매가 익었을 때
악한 자는 재앙을 입는다.

선의 열매가 맺기 전에는
선한 이도 이따금 화를 만난다.
그러나 선의 열매가 익었을 때
선한 사람은 복을 누린다. <법구경>

출처 :불교는 행복찾기 원문보기 ▶ 글쓴이 : 햇빛엽서

 

 

 

IP : 211.211.xxx.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k
    '12.1.1 12:52 PM (115.138.xxx.67)

    좋으신 말씀이네요....

    올해는 저 죄많은 된장녀들과 사치품 만들어서 사기치는 업체들이 좀 정신차리고 죄를 안지었으면....

    올해도 저런 골빈 것들이 설치면서 사람들을 혹세무민 못하도록 된장녀들을 혼내고 악플 달겠습니다. ^^

  • 2. 입발린 거짓말
    '12.1.1 2:03 PM (211.54.xxx.155)

    얼핏들으면 훈훈한 미담이지만 사실 얼척없는 내용이죠.
    종교적인 내용이 다 그렇지뭐..

    불상에 찍힌 도끼를 빼느냐 못빼느냐가 불교의 정당성과 무슨 관계가 있다고...
    아무거나 갖다부치기는..
    도끼에 적혔다는 글씨를 보니 흰피를 흘렸다는 이차돈 수준이구만..

  • 3. 흠냐
    '12.1.1 2:32 PM (211.54.xxx.157)

    흰피가 아니라 붉은피를 흘리면 불교의 진실성을 보증받지 못하죠.
    사실 그게 불교의 진실성과는 아무 상관도 없는거지만...

    종교는 평범한 진실로는 결코 힘을 얻지 못하고 사람들의 마음을 얻지도 못하죠.

  • 4. ,,,
    '12.1.1 3:39 PM (118.128.xxx.164)

    거짓말분과 흠냐분은 서로 다른 분인거 같은데요.
    저는 두분 말씀 공감합니다.
    훌륭하고 교훈적인 가르침도 있지만 신비로운 기적에 의존해서 사람들의 환심을 사는건 불교나 기독교나 마찬가지죠.

  • 5. 좀 웃긴게
    '12.1.1 9:01 PM (211.54.xxx.168)

    보라는 달은 안보고 손가락만 본다는 말만 하면 다 해결이 되나?
    이런말은 아프리카 부두교의 진실성을 주장할때도 빌리면 되겠는데..
    겉모습에 드러나는 미신적이고 미개한 인상의 이면에 아프리카인들의 심오한 초자연적인 정신을 왜 이해하지 못해!!!!!

  • 6. ㅋㅋ
    '12.1.1 9:38 PM (59.31.xxx.23)

    부두교의 심오한 정신을 이해할려면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봐야 합니다.
    달을 보세요 달을...
    그러면 언젠가는 인류 모두가 이해할수도..
    물론 장담은 못합니다.

  • 7. ㅎㅎ
    '12.1.1 10:29 PM (61.32.xxx.245)

    원글의 전하자고 하는 핵심은 어떤 불행이 닥치더래도 착한일을 하면 언젠가는 보답을 받는다는걸로 이해 합니다.
    (사실 그런 보답이 없어도 불행을 겪는가운데 선한일을 하는게 더 훌륭한 인격이긴 하지만요.)

    위에 몇몇분들과 부두교의 예를 든 분이 이야기 한내용은 제가 하고 싶었던 말입니다.
    윗분들이 제기한 이의제기는 이성을 갖춘 사람이라면 당연히 의문을 품을 만한 것들입니다.
    그런데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라는 말은 답이 될수 없죠.
    이의제기에 대한 성실한 응답은 그 달을 직접 설명을 해야 합니다.

    기독교만 그런게 아니라 불교도 권위에 의존합니다.
    종교가 원래 그래요. 수천년전 고대인들의 생각이 현대인들의 사고를 지배하는거죠.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말이 그렇다는 거지 실제로는 그렇지 않죠.
    종교는 도덕과 윤리적인 부분만 이야기 하면 괜찮은데 반드시 그 이상의 주장을 해요.
    책임지지도 못할 주장을 말이지요.

    쉽게 할수있는 말을 괜히 어렵게 비틀어서 설명할 필요도 없어요.

  • 8. 불교
    '12.1.2 4:39 PM (110.11.xxx.142)

    인과응보와 불교에 대한 이해를 잘 나타낸 글 올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9. 천년세월
    '19.1.16 6:46 PM (39.7.xxx.29)

    화주책이 뭐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7009 與 비대위 vs 공천위 '힘 겨루기'…갈등 불거지나 세우실 2012/02/28 644
77008 마흔살이란 나이가 장애가 되네요.. 31 울고 싶어요.. 2012/02/28 11,706
77007 초4 믿을 수있는 체험학습 기관 있을까요? 2 역사체험? 2012/02/28 1,156
77006 침대 좀 골라주세요~~ 2 ... 2012/02/28 1,020
77005 정말 몰라서 그러는데 요즘 중학생애들 진짜 다 그런가요? 6 궁금이 2012/02/28 2,477
77004 갤럭시S2 어떤가요? 26 2012/02/28 2,405
77003 맞벌이하시는 분들은..시댁에 당당하시나요? 18 블루밍가든 2012/02/28 4,017
77002 어릴땐 참 뭘 몰랐어요. 3 2012/02/28 1,364
77001 MCM가방에 대한 이미지 어떠셔요들...?? 34 MCM 2012/02/28 4,698
77000 서울시티투어버스요 타보신분 계신가요? 2 .. 2012/02/28 1,314
76999 온돌매트 요런거 쓰는분들 팁좀 주세요 일월매트 2012/02/28 866
76998 김완선이요 예전 영상보니까 진짜 멋지던데 백치미 이미지가 있었나.. 16 ... 2012/02/28 3,214
76997 익명이라 털어놓는데요, 콧물 먹는거요. 4 d 2012/02/28 1,573
76996 이옷 코디에 뭐가 어울릴까요? 4 ... 2012/02/28 1,391
76995 무한도전 레슬링편 재방송 보는데요... 8 우와 2012/02/28 1,789
76994 살림의 고수님들 모코트 세탁방법좀 알려주세요~~~ 3 세탁방법 2012/02/28 2,393
76993 예금 계획을 세웠는데 이런 방식은 어떨까요? 1 ㅎㅎ 2012/02/28 1,552
76992 일산 스테이크 먹으러 갈 곳 추천해주세요 2 ........ 2012/02/28 1,762
76991 팝, 락 좋아하시는분 7 90학번 2012/02/28 1,758
76990 스마트폰 음악 다운 도움 구해요~ 4 인디좋아 2012/02/28 1,395
76989 2014년에 고등 교과서가 또 바뀌는거 아세요? 4 열받아 2012/02/28 2,597
76988 객지에서 공부하는 아들하고... 14 모모 2012/02/28 3,015
76987 어제 불후의 명곡 방청하고 왔어요. 3 김건모편 2012/02/28 4,787
76986 헬스와 아쿠아로빅중 어떤게 좋을지... 3 질문 2012/02/28 1,680
76985 사람들이 다 드세진거 같아요. 무서움 6 소심함 2012/02/28 2,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