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처가집 친조부,조모게서 돌아가셨을때 손자들도 부조하는거

글쎄 조회수 : 4,586
작성일 : 2011-12-30 17:27:20

맞죠?

저의 친가 조모께서 돌아가셨는데 남편이 왜 손자.손녀도 하냐고 하네요.

이상하다고 하네요.....

IP : 121.183.xxx.144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게
    '11.12.30 5:28 PM (112.168.xxx.63)

    좀 다르기도 한가봐요.
    하는 집안도 많고 안하는 곳도 있나 보던데.

  • 2. ,,,
    '11.12.30 5:28 PM (110.13.xxx.156)

    안하죠 상주가 조의금 하는거 아니잖아요

  • 3. 외할머니
    '11.12.30 5:30 PM (116.120.xxx.67)

    돌아가셨을때 외손주들만 부조했어요.
    친손주들은 상주라 안 했어요.

  • 4. ......
    '11.12.30 5:32 PM (115.143.xxx.167)

    전 저희 친할머니 돌아가셨을때도 결혼한 딸은 부조 하는게 맞다고 해서 했어요...

  • 5. 근데
    '11.12.30 5:33 PM (14.45.xxx.111)

    상주의 뜻을 잘못알고계신거 같은데 상주는 원글님의 부모님이지 손자손녀는 상주가 아닙니다

  • 6. ,,,
    '11.12.30 5:35 PM (118.47.xxx.154)

    장례내내 상제노릇제대로 하실거면 하지마시구요
    손님처럼 갔다오면 부조하심 되지 않을까요..

  • 7. ??
    '11.12.30 5:36 PM (218.234.xxx.17)

    부조는 직계한테 받지는 않죠? 손주손녀가 부조한다? 그런 전례는 못 들어본 거 같아요.

    부조가 아니라 아버지, 어머니(=상주)에게 장례식 비용에 보태라고 돈을 주는 거를 부조라고 하시면 안될 듯..
    부모님이 지금 큰 돈 들어가니까 자식이 돈을 보태주는 거죠.. (아예 돈 안내놓는 게 전통이다~ 라고 오해하실까봐 풀이해서 말씀드려요)

  • 8. 음.
    '11.12.30 5:37 PM (112.168.xxx.63)

    상주는 돌아가신 분의 자녀가 먼저 상주가 되지만
    넓게는 형제, 손자들도 상주가 되죠.

    그리고 조부모님 돌아가셨는데 손님처럼 다녀가는 사람이 있을까요?
    부조는 안하는 경우가 많은데
    장례비용 생각해서 따로 하는 경우도 간혹 있기도 하더군요.

  • 9. ㅇㅇ
    '11.12.30 6:22 PM (121.130.xxx.78)

    예전에야 결혼한 자식들도 한집에 살았고
    몸으로 때우는 일이 대부분이라 손자 손녀는 부조 안했는지 모르지만

    요즘은 장례 치르는 일 다 돈으로 합니다.
    장례비 많이 들어요.
    손주들도 부모님 힘드실 것 생각해서 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 10. 정해진건..
    '11.12.30 6:54 PM (222.121.xxx.183)

    정해진건 없다고 봅니다..
    손자, 손녀가 상주처럼 장례식장에서 손님대접도 다 하고 그러면 부주하는거 이상한거구요..
    그렇지 않으면 부주하는게 맞구요..
    그리고 나이나 결혼 유무에 따라서도 다르겠지요..
    저는 제 외할머니 장례때 부주안했어요.. 성인이었지만 대학생이었고 3일장 치르는 내내 같이 있었구요..
    그런데 만약에 지금 결혼도 하고 그랬다면 부주했을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2911 정말 열심히 모은 5000만원 어떻게 할까요 4 푸른하늘 2012/03/13 3,307
82910 강아지출산질문이요?? 3 ??? 2012/03/13 1,535
82909 그냥.. 위로받고 싶어요 13 인생의 한 .. 2012/03/13 3,173
82908 국비무료학원 출석 안하면 자비 내야 되나요? 5 ... 2012/03/13 1,659
82907 고추를 된장에 박은거... 1 된장 2012/03/13 2,125
82906 칼슘영양제 잘 챙겨드시는 분들은 정말 가려움증이 없으신가요 1 . 2012/03/13 2,011
82905 항상 노이즈 마케팅은 사람을 사로잡는듯.. 티비 보면서.. 2012/03/13 788
82904 위염에 마누카꿀이 좋다고 하는데... 4 2012/03/13 3,828
82903 뭘해도 촌스러운 절 위해서 핸드백 하나만 추천부탁드려요.. 7 .. 2012/03/13 2,794
82902 여전히 미제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은가 보죠? 13 간식아~ 2012/03/13 2,936
82901 책추천 1 입원 2012/03/13 1,089
82900 TV프로그램 글씨 표시가 커졌으면 좋겠어요. 짜증 2012/03/13 719
82899 헐 민주통합당 후보경선 모바일투표 보이스피싱인줄 알고 꺼버렸는데.. 3 ... 2012/03/13 876
82898 도깨비방망이 어떤 게 좋아요 3 도깨비 2012/03/13 1,807
82897 떡 맛있게 하는집 알려주세요 2012/03/13 936
82896 자궁 물혹이나 근종 복강경으로 수술해보신분께 질문요... 12 ㅠㅠ 2012/03/13 30,361
82895 오늘 가방을 하나 질렀는데 불량이에요... 모래언덕 2012/03/13 996
82894 우리 아들 어떻게 해야하나, 도움좀 주세요. 베이커리 2012/03/13 973
82893 미국에서 한국 코스트코 회원권 갱신방법 8 미쿡 2012/03/13 8,219
82892 책추천해주세요 마음이 헛헛해요 5 2012/03/13 2,911
82891 펜디정도면.. 3 zncc 2012/03/13 2,528
82890 나는 친박이다 들어보셨어요? ㅋㅋㅋ 2012/03/13 1,394
82889 말바꾸기 한미FTA 반대 카드... 총선에 영향~~글쎄??? safi 2012/03/13 701
82888 푸드 프로세서..꼭 갖춰야하는 물품인가요? 3 지름신 2012/03/13 4,474
82887 식품건조기요 사용 잘할까요? ^^;; 10 2012/03/13 2,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