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을 짓다 뺏긴 사람들...

숲... 조회수 : 2,702
작성일 : 2011-12-29 22:26:14

벌써 오래전 일이 되어버렸네요..

서울이지만 좀 낡은 동네에 살고 있었습니다.

한동네에 조상대대로 물려받고 살아오거나, 최소한 30년 40년씩 살아서...

대학교 때 술을 마시고 동기나 선배가 바래다 준다 하면 저는 단칼에 No라고 해야 할정도로

동네바닥 사람들이 서로서로 너무 잘 알고 있는 그런 동네...

대통령 선거 때는 저희 집에 마을사람들 열명 정도 모여 함께 티비를 보며 응원하던 기억까지 있는..

 

어느날 갑자기 모 건설회사에서 재건축을 하겠다고 땅을 팔라 왔었지요.

정부가 승인한 개발프로젝트에..재벌그룹이 보증하고 있는 거였지만..

시세보다 5억 정도 싸게 팔고, 싸게 들어가는 식의 제안이라..

저는 왠지 느낌상 좋지 않아 반대했는데..

더 똑똑하고 야무진 사람들이 재건축에 동의하고 너도 나도 도장을 찍어주더군요.

제 부모님도 너무 선뜻 도장을 찍어주셨습니다.

비싸게 팔고 비싸게 들어가다간 못 돌아갈 것 같다구요.

다들 한동네에서 서로 의지하며 살아오셨기에..

늘그막에 타지로 옮길 엄두도 내지 못하셨습니다.

 

저희집은 7억 시세를 2억 2천만 받고 추가분담금 없이 재입주를 약속하고 비워주었고...

그중 H연립 사람들은 7천만원만 받고 살던 터를 비워주었습니다.

다시 돌아올 집이기에..땅이기에..

그런데 정부참여 아닌 단순 조합형이란 참 그 주인들에게 너무 안좋은 제도였습니다.

작은 건설업체를 내세우긴 했지만 재벌그룹이 주도하는 것이었고

현수막도 그 그룹 이름으로 주도되는 것인 만큼

처음에 25평/32평으로 나누어 분양 계약을 했던 이 대기업이

25평형을 없애버리고 32평 38평 정도로 확장하여 주상복합으로 일을 벌였습니다.

당연히 파이가 커지니까 원래 지주들에게 추가분담금을 올려받았지요.

저희한테도 다시 1억 얼마를 받아갔습니다.

결국은 7억짜리 집을 1억에 넘긴 셈이지요.

H빌라는 워낙 7천만원만 받고 나온 사람들이라 더 낼 것이 없었구요.

근데 그사람들 앞으로 입금된 대금 명세는 이주비나 개발비가 아닌 '토지대금'이었습니다.

결국 헐값에 매입한 형식으로 서류가 되었겠지요.

그래도 그 대기업이 보증하는 도장은 찍혔으니 계약상으로는 다들 안심하고 있었지요.

근데 마지막까지 협상금을 더 올려받겠다고 버티는 사람들이 있어

사업비는 계속 올라가고, 대기업은 그 피해를 고스란히 먼저 집을 비워준 조합, 동네사람들에게 떠넘겼습니다.

추가분담금 1억으론 안되겠다, 더 올려라...결국 추가분담금을 6억 이상 불렀나 봅니다.

 

7억짜리 집을 1억에 팔고..또 추가분담금을 6억 이상 내야 하는 형국이 되었으니

동네사람들과 조합 측에선 말이 많았지요.

그 와중에 대기업이 또 여기저기 분양권을 팔며 외부조합을 끌여들였습니다.

순수한 동네주민들 외에 투기꾼들까지 끌어들였구요.

 

애초에 25평형으로 소박하게 노후만을 생각하던 사람들에게도 날벼락이었죠.

비싸게 팔고 비싸게 들어가겠다는 생각 자체를 못할 만큼 소심한 사람들의 집이었는데..

 

대기업 측은 시행사가 빚을 졌으니 갚으라는 식으로 나왔고

결국 그 시행사를 보증섰던 자신들이 인수해서 채권자로 둔갑했다 합니다.

그리고 조합 측엔 조합의 분양권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통보했구요.

그래서 조합이 분개해서 다른 대기업을 끌어들이려 하자

그 해당대기업에게 당장 내일까지 현금 얼마를 준비해와라..안그러면 인수 안한다...이런 식으로 통보했고

결국 그 자금을 준비 못한 라이벌 기업을 물러나게 했습니다.

그래서 조합 측이 또다른 건설사를 내세우려 했더니

대기업도 다른 건설사를 내세워서 조합을 해체시키려 했구요.

(5억상당의 분양권, 그동안 낸 추가분담금 다 돌려주지 않겠다는 식이었는데..

최근들어 항의가 거세지자, 분양권 금액은 돌려주지 않고

추가분담금만 받아가란 통지를 해왔다 합니다.

이리 되면 7천만원에 집을 내어준 H빌라는 물론이고 다른 사람들도 모두 피해가 막심하지요.)

얼마 전에 어머니 대신 성동구청 민원실에 다녀왔습니다.

민원절차가 어떻게 된 건지, 이게 법적으로 대기업 쪽에 유리하게 되어 있다 하여

구청장도 만나주지 않고, 민원처리도 안된다네요.

조합측이 아예 구청 1층 안쪽에 터를 잡고 앉았더니

형사라는 사람들이 사칭인지 진짜인지, 이런 민원집회 자체가 불법이라고,

옥외집회도, 야외집회도 아닌데도 불법이라고 잡아가겠다고 협박하더군요.

조합사람들이..지난 일을 얘기하며 이러더군요.

차라리 끝까지 버티고 말 걸, 아니면 그냥 팔고 나올 걸...

괜히 재건축에 동의했다가 집만 한입에 털어주게 되었다구요.

 

수억원의 집을 7천만원만 받고 나온 사람들 7억 이상가는 집을 2억 정도 받고 나온 저희들..

혹은 중간에 분양권인지 딱지인지를 시공사에 5억을 주고 산 사람들...

추가분담금 6억까지 부르는 대기업 쪽에 응하든 불응하든 저들은 분양권을 인정할 생각이 없습니다.

그냥 분양권을 무효화하고 일반분양으로 돌리면

원래 땅주인의 땅과 분양권을 산 사람들의 돈을 한입에 털어먹을 수가 있으니까요.

그래서, 얻은 교훈은, 재건축에 동의하지 말고 그냥 팔고 나오든지,

재건축엔 도장을 찍어주지 말라는 것이네요.

IP : 123.109.xxx.136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bluebell
    '11.12.29 10:43 PM (114.204.xxx.77)

    어휴...그 홧병을 어찌 견디셨어요...

    전에 방송서 비인기시간대에 재개발지역의 뒷그늘을 잠시 본적이 있어요..
    그뒤로..재개발의 꿈에 힘입어 총선에서 한나당이 승승장구할때...나중에 크게 후회할텐데..안타깝고
    그랬는데...
    원글님은 더 기가막힌 일을 당했군요...

  • 2. 숲..
    '11.12.29 10:54 PM (123.109.xxx.136)

    저보다는 부모님이 더 속상한 일이죠..아버지가 많이 불편하셔서, 어머니가 고생이 많으신데다 자금란에 닥쳤거든요. 진작에 25평으로 짓고 분양시켜주었으면 편안한 노후를 보내시며 병구완을 하셨을텐데...저희 말고도 어떤 사람은 딸이 장애가 생겼는데, 한평생 번 돈으로 산 집을 재건축에 거저 내어주고 비웠다가 지금 월세살고 있어서..결국 팔순 넘은 노모가 대신 항의하러 성동구청 나왔다가 쓰러지셔서..이젠 못나오고 계시네요. 결국 장애인인 그 딸이 불편한 몸으로 나오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 3. 달콩이네
    '11.12.29 11:28 PM (218.39.xxx.242)

    정말 무서는 일입니다.....세상에....

  • 4. 흔들리는구름
    '11.12.29 11:29 PM (61.247.xxx.188)

    얼핏 들었는데, 저런 재건축이나 재개발사업은 서민들을 털어먹기위해 짜고치는 작전 고스톱이란 말을 들었어요.

    시공사는 그냥 페이퍼회사로 설립해두고 작업. -> 맨처음엔 분담금이 소액이라며 재건축동의서를 받았다가 갈수록 개발이익보다는 분담금이 커짐. -> 시공사는 망하고 새로운 시공사 등장. -> 재건축조합장과 담당 공무원, 정치인들에게 뒷돈 먹임. -> 반발하는 주민들에겐 용역깡패를 동원. -> 법과 질서는 재벌기업에게 유리. -> 원주민들 상당수가 울며겨자먹기로 쫒겨남. -> 입주민들중 특히 세입자들쪽에서 열혈분노한 사람들은 철거민이 되어서 극한투쟁. -> 용역깡패와 경찰투입.(실제로 전문 조폭들이 있음.) -> 물리적 충돌후에 철거민 쫒아냄. -> 이후 번듯하고 값나가는 아파트 세워짐. -> 원주민은 별로 없고, 거의 대부분 새로운 이주민들이 목돈들고와서 거주하기 시작. -> 막대한 차익은 건설사가 먹음. -> 그 다음 사냥터를 물색.


    물론 개중에는 재건축으로 이익보는 경우도 조금은 있겠지만, 대부분가 이런 경우입니다. 실정이 이런대도 재건축하면 돈벌수있겠다는 환상에 속아서 선거때 미쳐돌아가니....

    힘내세요.

  • 5. 숲..
    '11.12.29 11:44 PM (123.109.xxx.136)

    아직 용역깡패 동원 전이구요..옥내집회 불법이라고 밖에 나가서 하라고 하는데, 오히려 밖에 내몰아놓고 용역깡패 동원하려고 하는 건지도 신경쓰이네요...다음 사냥터 물색이란 말에 소름 돋고 무섭네요. 그 대기업이 서울에서만 3군데를 해먹고 덕소 어딘가도 해먹는 중이라고 들었어요.

  • 6. 쓰라
    '11.12.30 12:57 AM (110.13.xxx.31)

    저도 최근에 뉴타운 지분 하나 샀는데요, 그 후에도 신경쓸게 넘 많아 후회중이에요
    저도 요즘 집회하다가 배운건데 행정기관 내에서 그러니까 건물안으로 들어가면 불법이라고.
    저희도 사진 찍혀서 50만원씩 벌금 내신 분들 있거든요

  • 7. ,,
    '11.12.30 8:29 AM (125.181.xxx.219) - 삭제된댓글

    생각해보세요. 저들이 과연 나한테 도움을 줄려고 저리 난리인지..
    서로가 이익이 있다 느꼈으니 도장도 찍고 했겠지요.
    어찌됐던 7억을 2억에 7천을 한푼도 못받고 억울한 사연이나 도장을 찍었으면 끝난거네요.
    다 도둑넘들이어요. 집가지고 지롤들하는것들...
    평생 남한테 사기나 처서 먹고사는것들... 집값 폭등의 주범... 저 조합원 중에도 좀 위치가 있어야 돈 먹지
    나머진.....철새들.

  • 8. 쓰라
    '11.12.30 9:09 AM (59.6.xxx.251)

    그리고, 대기업에서 발의해서 국회에서 통과된 법 중에서..
    조합장 및 조합임원은 원주민.. 뭐.. 몇 년 이상 거주자들 중에서 되게 되어 있더라구요.
    사실 재개발이나 재건축, 뉴타운의 오래된 동네는 많이 배운 사람들이 많이 없어서,
    조합장을 꾀차고 당당하게 건설사에 맡서는 사람보다 건설사에 끌려다니는 사람이 많습니다.
    결국 건설사 하자는 대로 하게 되는거죠. 이 과정에서 추가분담금은 더 늘어나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749 동네슈퍼주인들, 농심라면 판매거부에 나서다 1 기린 2012/01/03 2,581
55748 오리털 털 빠짐 4 9호 2012/01/03 9,244
55747 도로연수 2일재인데 ..강사가 말이 너무 많아요~ㅠ 4 연수 2012/01/03 2,642
55746 적금좀 들려하는데 추천해주세요.. 2 바다 2012/01/03 2,178
55745 냉동한 생밤이 있는데요 어떡할까요? 2 냉동실 정리.. 2012/01/03 2,735
55744 우리 모두 2012년을 점령합시다!! 2 마스카 2012/01/03 1,590
55743 40대 남자 화장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백만년만에 2012/01/03 5,319
55742 송파구에서 가깝고 잘하는 피부과 추천바랍니다. 1 피부과 2012/01/03 2,331
55741 수원에 쌍커플 잘하는 곳 알려주세요 ektndb.. 2012/01/03 2,040
55740 스피닝 바이크 참 운동 많이 되네요. 1 바이크 2012/01/03 3,414
55739 thats that then huh? 4 해석부탁해요.. 2012/01/03 1,792
55738 고양이 종류 아시는 분 사진보시고 알려주세요 12 기르고싶어 2012/01/03 3,676
55737 클라쎄 세탁기 쓰시는분들.. 탈수법좀 알려주세요 1 대우클라쎄 2012/01/03 7,001
55736 스키복사려는데 사이즈를 모르겠어요. 도와주세요. 1 단아 2012/01/03 1,460
55735 아이오페 에어쿠션 사용해보신분들 꼭 답변좀해주세요 4 화장품사기직.. 2012/01/03 3,222
55734 시사 상식 책좀...우리시에서 퀴즈대회를 해서 5명을 뽑는데요 퀴즈대회 2012/01/03 1,285
55733 친한엄마가 나에게 맹~해 보여요라고 직접말했다면 14 아줌마수다 2012/01/03 3,505
55732 코트를 샀는데 담주부터 세일이면 (도와주세요 ㅠㅠ) 8 절실한 소심.. 2012/01/03 3,621
55731 나갈 돈은 원래 나가게 되어 있나봐요ㅠㅠ 1 인생은 2012/01/03 2,844
55730 엠팍 주소 링크걸어 주실분.. 2 가르쳐주세요.. 2012/01/03 1,397
55729 KBS, 타종행사 때 또 사고쳤네요;; 2 도리돌돌 2012/01/03 3,904
55728 유치가 흔들리고 있어요. 어떡해야 하나요. 9 나누미 2012/01/03 4,430
55727 다중지능검사자 과정 모집(분당) 4 재능 2012/01/03 1,770
55726 제가 너무 예민한가봅니다.. 8 ... 2012/01/03 2,566
55725 아이폰 제일 큰 단점. 전화번호 스팸차단 불가ㅠㅠ 2 Bibb 2012/01/03 2,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