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보이차가 생겼는데...

시음 조회수 : 2,042
작성일 : 2011-12-28 17:33:51

보이차를 첨 먹어보는데..

참 맛있네요..

남편이 좋은거라고 선물받아왓는데..

거들떠도 안보다가 오늘 넘 춥고해서 마셧더니..

녹차는 떫은맛에 별로인데..

보이차는 달콤하기까지 하네요..

보이차로 커피의 유혹도 조금은 뿌리칠수 있을듯한데..

보이차 하루에 몇찬정도 마시나요?

맘대로 마셔도 괜찮은건지요...궁금합니다..

IP : 116.120.xxx.5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흰둥이
    '11.12.28 5:41 PM (203.234.xxx.81)

    좋은 보이차 선물 받으셨나봐요 수시로 마셔도 괜찮다던데(지유명차에서 구입하며 들었고 관련 책도 사서 봤는데 그랬어요) 화장실도 자주 가게 되더라구요. 보이차는 뜨겁게 우려서 후후 불며 마시래요. 식은 차는 안좋다고.

  • 2. 보이차
    '11.12.28 5:47 PM (122.34.xxx.63)

    보이차가 몸을 따뜻하게 해준다 하더라구요. 수시로 드셔도 되요.

  • 3. ,,
    '11.12.28 6:26 PM (116.46.xxx.50)

    보이차는 우리는것이 아니라 끓여 마시는거래요
    수시로 마시래요.

  • 4. 점 ..님
    '11.12.28 7:11 PM (59.21.xxx.193)

    보이차는 우려마시는 차 입니다!!!

    끓여서 마시면 절대로 안 됩니다...보이차 잎에는 불소 성분이 정말 어마 어마하게 많습니다^^

    그래서 꼬~옥 뜨거운 물로 우려마셔야 하구요 끓여서 드시면 불소성분때문에 몸에 엄청해롭습니다

    그리고 원글님^^

    보이차를 혼자서 드실때면 3그램정도 다관에 넣어셔서 뜨거운 물로 10초에서 20초 정도 2번 세차하시고
    나서 그 다음에는 취향따라 30초에서 1분 사이로 우려드시면 되구요

    보이차의 종류에따라 차를 우려마시는 방법이 다 다르답니다 그래서 원글님이 받으신 차의 종류가
    어떤것인지를 알지못해서 자세히는 답글 드릴수가 없네요^^:;

    저같은 경우는 20년정도 마셔왔기때문에 저의 몸 상태에 따라 하루에 마시는 양이 다르답니다

    식후 1시간이후,식전 1시간에는 차를 안드시는것이 좋구요
    잠자리에 들기전에 마시면 체질에따라 잠이 오지않을수도 있구요

    본인의 몸 상태를 봐가며 차를 즐기십시요^^

  • 5. 맞아요. 우려서 마시는차
    '11.12.28 7:20 PM (222.233.xxx.20)

    뜨거운 물로 우려서 마시는 차예요
    첫번째 우린 물은 버리구요
    전 두번째 우린 물까진 버리고 세번째 우린물부터 마셔요.
    보이차는 몸을 따뜻하게 해서 여자한테 좋다고 하더라구요.

  • 6. ok
    '11.12.28 9:06 PM (221.148.xxx.227)

    중국식당에서도 자주 주지않나요?
    그런 기름진 음식을 먹고도 중국여자들 몸매가 좋은건
    차와 음식마다 잔뜩들어간 양파때문이라던데..
    믿거나말거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1907 방과후 코디 많이 하세요? 학교에 2012/03/11 2,009
81906 '아덴만의 영웅' 석해균 선장과 '완득이 엄마'로 유명한 필리핀.. 15 경향 2012/03/11 3,067
81905 82옆에서 광고하고 있는 법랑 어떤가요? 1 찬란하라 2012/03/11 1,073
81904 제가 나쁜 엄마인거죠? 10 철부지 2012/03/11 2,728
81903 외국도 외모지상주의 심한가요? 5 ... 2012/03/11 3,558
81902 ㅁ 핑크 싫어 같은 사람 때문에................... 4 .. 2012/03/11 1,066
81901 신성일, 다시 태어나면 엄앵란과 결혼질문에 "왜.. 3 ... 2012/03/11 2,996
81900 푸룬쥬스를 마시고 있는데요.. 5 ... 2012/03/11 2,717
81899 어린이집 선생님께 이런 부탁해도 될까요..? 9 아이습관 2012/03/11 2,156
81898 친정엄마 라고 부를까요? 왜? 4 왜 우리는 2012/03/11 2,076
81897 아버지의 구박. 섭섭합니다. 1 살빼야되나요.. 2012/03/11 1,278
81896 천주교 신자께 54일 기도 하는법 여쭈어요 5 질문 2012/03/11 3,975
81895 "숲으로 돌아갔다"에 버금가는 발견 12 요즘 2012/03/11 5,618
81894 임진왜란 일어 나기전에... 2 별달별 2012/03/11 1,410
81893 짜파게티 왜 인기있는지 모르겠어요 25 ... 2012/03/11 4,303
81892 유준상하고 김남주는 왜 이사간거죠??? 10 넝쿨째 들어.. 2012/03/11 4,066
81891 공인인증서 갱신?? 3 궁금 2012/03/11 1,556
81890 이순신장군 때문에 임진왜란 일어낫다??? 4 별달별 2012/03/11 1,249
81889 5~6살 애들 수업 방식 질문있어요 1 렌지 2012/03/11 985
81888 김지윤(고대녀)을 아시나요? 12 ........ 2012/03/11 3,613
81887 자궁경부암 예방주사 비용 5 비와외로움 2012/03/11 2,690
81886 선크림, 비비 발암물질 안정성?? 12 에칠헥실메톡.. 2012/03/11 8,519
81885 너무 찡그면서 말하는 사람들. 특히나 미간 4 저도 2012/03/11 3,078
81884 저작권법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1 책 사용 2012/03/11 1,000
81883 4살아기 발톱 잘못 잘라준건지 안자라요 늦봄 2012/03/11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