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남편이 지방으로 내려갈 생각을 합니다.

고민 조회수 : 1,667
작성일 : 2011-12-28 14:31:12
저흰 30대 중,후반의 아이없는 맞벌이 부부입니다.
양가는 다 시골에 있고요.

다세대주택에서 전세로 살고 있고
맞벌이긴 하나 수입은 외벌이처럼 작고
기타 부수적인 (상여,수당,보너스...) 수입은 전혀 없어요.
그저 월급이 전부이지요.

직장 또한 작은 소규모 사업장에 다니는 저와
그보다는 좀 나은 규모지만 복지나 연봉등 너무 안좋은
여건에 다니는 남편.


전세집은 2월 초가 만기인데  
작년에 연장 계약 하면서 1년만 설정을 해놔서
집주인의 생각에 따라 옮기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집은 그런 상태에서
남편도 회사 문제가 갈수록 안좋아지고 여러 문제점이 있어
이직을 생각하고 있고
저는 회사 사정이 너무 안좋은 상황이라 저 또한 그만둬야 하나..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집문제, 두사람의 회사 문제까지 겹치다보니
한꺼번에 결론 내려야 하는 것들이 많아 고민 스럽습니다.

지금 전세로 사는 집은 경기도이고 남편은 서울로 출퇴근 저는 집에서 가깝게
출퇴근을 하고 살았는데
집 만기되는 시점에  서울쪽으로 옮겨서  집도 알아보고  남편도 저도 직장도
다시 알아볼까 고민이 되기도 하고.

양가가 가까운 지방으로 내려가 아예 터를 잡고 살까 싶기도 하고요.

사실 양쪽 다 장단점이 반반입니다.


지방으로 내려갈 경우.

남편 직장은 쉽게 구할 수 있으나 연봉이 많이 줄어 들 것임.
아내 직장은 쉽게 구할 수 없어 외벌이로 생활해야 하거나 장시간 수입이 없을 것임.
지방인 관계로 집은 수도권보다 좀 저렴하게 내집 마련의 기회가 있을 수도 있음.
(지방도 집 값이 많이 오르긴 했죠)
양가가 가까운 편이어서 좋은 점, 단점 모두 공존.



서울쪽으로 옮길 경우

남편 직장 옮기는 것에 큰 문제 없고 연봉은 현재와 비슷하거나 조금 낮아질 수는 있음.
아내 직장을 구할 수 있는 여건이 지방보다는 훨씬 좋다는 장점이 있음.  
전세집 구하기에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수 있음.
양가가 가까운 편이어서 좋은 점, 단점 모두 공존.



사실 세세하게 따지면 더 차이가 있겠는데
큰 차이로는 집 문제와 연봉의 문제가 아주 큰 문제에요.
일 할 수 있는 직장이 많은 서울쪽에서 둘이 고생하면서 내집 마련을 위해
죽어라 열심히 일하면서 사느냐.

직장의 제한이 많고 연봉이 낮은 지방에서 집은 어찌 어찌 구해서
외벌이 혹은 작은 수입으로 사느냐...



전 어느쪽도 명쾌하지 않아서 답답하고 계속 고민만 되는데
남편은 정리해야 할 상황이 오면 지방으로 그냥 내려갈 생각을 하고 있네요.
월급 작아도 입에 풀칠은 안하겠지...이런 말만 하고..ㅠ.ㅠ
IP : 112.168.xxx.6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나로
    '11.12.28 3:08 PM (124.111.xxx.237)

    귀결되는데 무슨 고민요.
    젊을 때 서울에서 둘이서 돈을 벌어 모아(대신 형편에 맞는 집 잘 구하셔야 된다는 점이 있지만)
    후에 여유생기면 지방으로 내려가 내집마련하며 욕심부리지 않고 자족하며 사는 것.
    수입이 모든 이유중의 가장 첫번째가 되어야해요.
    지금 한창 벌어야할 나이이기에 !!

  • 2. 원글
    '11.12.28 3:23 PM (112.168.xxx.63)

    하나로님 그게 생각처럼 쉬운 문제는 아닌 거 같아요.
    일단 젊은 나이라고 하기에 저는 곧 35이고 남편은 38이에요.
    게다가 서울쪽에 자리 잡을 생각을 한다면 집 문제가 가장 큰 고민이죠.
    돈은 없는데 전세 구하기도 힘들고 지방보단 급여가 낫다곤 하나 지금도
    둘이 벌어도 외벌이 정도인 터라.

    또 잠정적으로 지방에서 살 생각을 하고 있긴 하지만 구체적인 시기는 생각 못했어요.
    대부분 분들은 열심히 벌고 노년에 내려가서 산다는 생각이시나
    노년에 내려가서 살 정도면 결국 애들 어느정도 키우고 살 집있고 노후자금이 좀 있는
    상태에서 지방에 내려가서 살 곳 정해서 산다는 것인데
    그게 이론처럼 쉽지는 않다는 것이죠.

    아..모르겠네요. 저도 사실 지금 지방에 내려간다는 것은 뭔가 개운하지 않아요.
    근데 남편은 너무 생각이 없네요..ㅠ.ㅠ

  • 3. ...
    '11.12.28 5:15 PM (110.14.xxx.164)

    오래전에 친구가 그런문제로 고향 전라도 광주로 갔어요
    대기업이었는데. 서울서 아둥 바둥 사는거보다 좋대요
    아이 교육이 좀 걸리지만..
    신혼때였고 둘다 고향이 거기라서 친구 친척도 많고 물가싸서 맘 편하다고요

  • 4. 저도
    '11.12.28 11:01 PM (61.81.xxx.82)

    20년 전에 서울생활 접고 지방으로 내려왔어요.
    이직한 건 아니고 남편이 서울 본사로 갈 것인가
    아니면 지방으로 갈 것인가를 놓고 고민했는데
    고향 가까운 지방을 택했어요.
    조건이 더 나빴는데도 서울 생활에 염증을 느낀 남편이
    고향 가까이 가고 싶다는 마음 하나만으로요.
    그당시엔 마지 못해 따라 왔는데
    열심히 살다 보니 경제적으로도 걱정 없이 살고 있고
    뱃속 편한 시골 생활이 좋아요.

  • 5. 이어서
    '11.12.28 11:10 PM (61.81.xxx.82)

    아이들 교육을 반드시 도시에서 시켜야만 된다고 생각 안해요.
    저희 아이들 시골에서 맘껏 뛰놀고 그 흔한 과외 한 번 안하고 자랐지만
    내신 괜찮아서 대학도 그런대로 잘 갔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0010 용인 고로케집 다녀왔어요.. 14 에구 죽겄다.. 2012/03/06 4,762
80009 코스트코 카드는 어떻게 만드나요? 4 봄비 2012/03/06 1,768
80008 퇴근한 남편...김치볶음밥 해주는거 좀 성의없나요?? 72 ... 2012/03/06 12,748
80007 오늘만 같아라~ 질문요 1 마당놀이 2012/03/06 1,432
80006 유정낙지나 이강순실비집 낙지볶음 레시피 궁금 1 레시피 2012/03/06 3,758
80005 아래 오영실에 관한 글 보고나서...갑자기 옛날 알던 사람이 떠.. 4 푸른나무 2012/03/06 4,060
80004 KBS 뉴스 이 지경이니…ㅉ 도리돌돌 2012/03/06 1,631
80003 비파열성 뇌동맥류 수술하지 않고 사시는 분 계시나요? 1 넘치는식욕 2012/03/06 13,757
80002 5학년 듣기말하기쓰기 8쪽 내용 좀 알려주세요~ 6 질문 2012/03/06 1,342
80001 대치동 개포동근처에 팥칼국수 맛있는곳 있을까요? 3 팥칼국수 2012/03/06 2,877
80000 tvn 더 로맨틱 재밌네요 2 .. 2012/03/06 2,124
79999 발레리나 김주원씨 어떤가요? 11 Aquabl.. 2012/03/06 7,471
79998 3월5일 월요일 16:00에 차량사고가 있었데 소식?무 7 사고 2012/03/06 1,696
79997 내부피폭이란 석면흡입과 같은 것일 뿐 33 백림댁 2012/03/06 4,490
79996 초등 4학년 반대표 뽑을 때... 5 반대표 2012/03/06 2,350
79995 다니시는 미용실 볼륨매직 펌 비 얼마나 하나요 7 . 2012/03/06 3,440
79994 변호사 월급 300?변호사가 그월급 평생받는다고 아는 분은 없겠.. 11 .. 2012/03/06 11,365
79993 웍 사이즈 조언 부탁드려요. 5 선배님들.... 2012/03/06 1,460
79992 이덕화 좋겠네요... 5 ... 2012/03/06 3,245
79991 곽노현 그렇게 까던 진중권 ..무승부 드립치더니 꼴 좋네요 10 열받아 2012/03/06 2,794
79990 경남 산천에 일본인마을 만든답니다.....미치겠어요. 7 가벼운 2012/03/06 3,672
79989 장농 /// 2012/03/06 1,217
79988 12월생 쌍둥이들 학교 몇살에 보낼까요?(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28 심각한 고민.. 2012/03/06 5,291
79987 수영장 질문드립니다 5 ... 2012/03/06 1,518
79986 딸기 10개를 전혀 안씻고 먹었는데 괜찮겠죠ㅠㅠ? 3 건망증대왕 2012/03/06 2,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