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MB 대중국 전화 외교, ‘노무현 전 대통령 3번 통화할 때, MB는 신호음만..’

단풍별 조회수 : 1,164
작성일 : 2011-12-27 09:41:17

(아시아헤럴드=이재현 기자)

김정일 사망 이후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 속에 미국과 러시아가 잇달아 북한 정권에 대한 적극적 행보를 취하고

중국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급격히 높아질 것이 예상되는 가운데 김정일 사망 직후 이명박 대통령이 요청한

후진타오 국가 주석과의 전화통화가 불발된 것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와 정부는 중국 정상들이 전화 통화를 하지 않는 것이 관례라는 주장을 펼치면서

"후진타오 주석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이번 사태와 관련해 다른 어느 나라와도 직접 통화하지 않았다"면

"중국이 외교장관끼리 통화를 하자고 해서 장관 선에서 통화가 이뤄졌다"고 이 대통령이 직접 22일

여야 대표회담에서 밝히기도 했다.

 

또한 청와대 관계자도 "중국은 전화로 정상끼리 대화하는 게 익숙하지 않은 나라로

 "김정일 위원장 사망 후 미국,

일본, 러시아 3개국에 정상간 통화를 요청가운데 중국도 포함 시켰으며, 실제 통화를 기대하진 않았다“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한 외교가 소식통이 23일 "중국 정상과의 통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정부의 설명과는 달리

노무현 대통령시절 후진타오 주석과 공식적으로만 3차례 이상 전화통화가 이뤄졌다"고 밝혀, 정부와 청와대의 설명이

설득력을 잃게 됐다.

 

공식적인 노 전 대통령과 후진타오 주석과의 통화는 노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2003년 5월2일 후진타오 주석과

처음 통화를 한 것을 시작으로 그해 8월21일과 2006년 7월22일에도 통화가 이루어졌으며

1차 통화에서는 ‘사스’대책 및 베이징 3자회담 결과와 북한핵문제, 노 전 대통령의 방중 문제가 이뤄졌으며,

2차 통화에서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릴 북핵 6자회담에 관한 긴밀히 의견이 교환됐다.

3차통화에서는 북한 핵 및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위한 논의가 30분이상

 이어지기도 했다.

 

반면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는 단 한차례 중국 후진타오 주석과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지난해 발생한 천안함 사태, 북한의 연평도 폭격, 최근 김정일 사망까지 한반도의 위기 상황이 전개될 때도

북한의 국제적 후견인인 중국 국가주석과 직접적 통화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 이명박 정부의 대중국 외교에

큰 구멍이 뚫린 것이 아니냐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이명박 정부 출범 후 지나친 미국 중심의 외교가 중국측의 반발을 일으켜 결국 정상간의 핫라인이

단절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서해 중국 어선 불법 어로행위와 중국 어민에 의한 우리 해경의

피살 사건에 대해 중국측의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하는 것도 이러한 배경의 연장 선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 사이에선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에서 중국의 높아지는 위상을 감안할 때 빠른 시일내에 중국과의

핫라인을 회복하여 북한 정세에 대한 선도 대응과 함께 영토 주권을 수호하기 위한 적극적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http://www.asiaherald.co.kr/

 

 

IP : 1.230.xxx.10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단풍별
    '11.12.27 9:43 AM (1.230.xxx.100)

    외교에 무능 무력한 정부라는것을 스스로 말하고 있네요..
    뻔뻔하고 창피한것도 모르는 철면피들 ~~~

  • 2. 흠....
    '11.12.27 9:58 AM (61.78.xxx.92)

    입만열면 거짓말 하시느라 고생이 많으시네요.
    거짓말 하느라 허기지실테니
    이명박씨밥세끼 꼭 챙겨드세요.

  • 3. 윤옥희
    '11.12.27 11:15 AM (121.170.xxx.74) - 삭제된댓글

    마일리지만 열심이 쌓는 꼼꼼함...지날하셨네요...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678 아파트를 샀어요~잔금,등기순서 등에 대해 여쭤봅니다.(넙죽) 6 두근두근 2012/02/17 2,042
72677 맘모톰 해 보신분.. 10 두려움 2012/02/17 3,432
72676 약단밤, 냉동해도 되는 품목인가요? 4 간식 2012/02/17 2,466
72675 변동금리 VS 고정금리...답답해 죽을 맛입니다... 3 생각대로살자.. 2012/02/17 1,518
72674 백*표 돼지갈비찜 양념이 맛나나요? 6 2012/02/17 1,791
72673 군인간 아들에 한라봉보냈는데.... 오리무중이네요 5 ^&^ 2012/02/17 1,908
72672 스필버그 워 호스 보신분들~ 7 어떻던가요 2012/02/17 1,060
72671 우리집 선반 위에 '농심'라면이 없어졌어요~~ 10 검은나비 2012/02/17 1,734
72670 서초 강남 카센터 좀 추천해주세요 3 덤탱 바가지.. 2012/02/17 1,798
72669 60분 부모 성폭력 사례 보다보니요.... 36 무셔라 2012/02/17 12,589
72668 속옷을 어느 브랜드 선호하시나요? 4 고민 2012/02/17 1,750
72667 한화에 보험들어도 안전한가요? 4 이상한 한화.. 2012/02/17 896
72666 KTX 민영화,,대우건설 보고서와 정부 민영화 용역 보고서 '판.. 27 베리떼 2012/02/17 1,409
72665 아이가 고열에 두통, 속이 울렁거린대요.. 요즘 독감 이런가요?.. 11 봄날오후 2012/02/17 2,775
72664 대전 여행.... ^^ 대전에 사시는 82쿡 님.....!!! 9 감사 맘 2012/02/17 1,216
72663 난폭한 로맨스 보시는분은 없으신가봐요? 12 ㅎㅎ 2012/02/17 1,712
72662 서울패션전문학교-패션에디터 진로 11 목메달 2012/02/17 1,864
72661 백화점 오전에 물건 교환 하러가면 욕 먹나요? 13 .... 2012/02/17 3,036
72660 시골에서 살든, 도시에서 살든 중요한 건 1 결국 2012/02/17 1,024
72659 새누리당 공천 신청, MB 외면 ‘박근혜 인연’만 강조 1 세우실 2012/02/17 592
72658 공익 스토리... ... 2012/02/17 494
72657 생전 처음으로 남편 도시락 싸보냈어요 11 도시락 2012/02/17 2,051
72656 KTX 민영화에 반대하는 코레일 임직원들! 6 참맛 2012/02/17 889
72655 스마트폰 구매 생각중이신 분이라면 필독 하세요~ 1 옹토끼 2012/02/17 1,235
72654 "고생했다 MB 4년, 이제는 반격이다" [기.. 2 베리떼 2012/02/17 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