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내 안에서 개인을 찾자

쑥빵아 조회수 : 874
작성일 : 2011-12-27 02:10:17
한국은 양면성을 가진 나라다. 객관적으로 평가하면 상당히 살기 좋은 것으로 나오는데 한국인 스스로에 의한 주관적 평가는 그것과 정반대다. 국제기관들에 의해 발표되는 지표들이 그런 사정을 잘 반영해준다.
한 나라가 얼마나 살기 좋은지를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베스트 국가 순위’이다. 미국의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가 발표하는데, 건강, 안전, 물질적 풍요로움, 신분 상승의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나라별 등수를 매긴다. 놀랍게도 2010년 한국의 순위는 세계 15위였다. 프랑스(16위), 이탈리아(23위)보다도 앞서고, 싱가포르(20위)보다도 더 높다.

반면 주관적인 행복도는 매우 낮다. 2010년 영국의 신경제재단(NEF)이 세계 143개국을 대상으로 평가한 국가별 행복지수에서 한국은 68위를 차지했다.

사람들은 이러한 차이가 복지 정책의 부재 때문이라고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복지정책이 잘 갖춰진 핀란드, 그리스, 이탈리아 같은 나라들의 행복지수 역시 높지 않으니 말이다. 우리와 비슷하게 낮거나 또는 오히려 더 낮다.

비교에 민감한 우리 사회

객관적으로는 잘 살면서도 불행하게 느끼는 이유는 다른 데에 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열등감과 질투를 느끼는 성향 때문 아닐까. 나보다 잘난 사람을 질투하고, 남들과 다르다는 사실에서 열등감을 느낀다면 아무리 물질적인 생활수준이 높더라도 행복감은 누릴 수가 없다.

그런 면에서 한국은 정도가 심하다. 한국인은 자기 스스로의 주체적 판단보다는 늘 남들과 비교 속에서 느끼고 판단하는 경향이 강하다. 우리가 유행에 민감한 것은 그런 성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남들이 노스페이스 같은 유명 상표의 등산복을 입으면 나도 따라 해야 한다.

무명 상표의 등산복으로는 동네의 등산길에 나서는 것도 눈치가 보일 정도인 것이 한국의 실상이다. 친구들이 나이키를 신으면 나도 그래야 하는 것이 고등학교 생활이고, 친구가 명품 백을 들면 나도 따라해야 하는 것이 대학생의 모습이다. 그리 부자도 아닌 나라가 세계 패션업계의 테스트베드가 된 것은 한국인의 이런 성향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봤을 때 한국의 상품 광고에는 유난히 스타들이 많이 등장한다. 김연아가 선전하면 에어컨이 더 시원해 보이고, 이승기가 웃고 있으면 김치냉장고가 더 갖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빈약한 개인 의식 키워야

그러다보니 한국인에게는 사치가 일상이 되어 버렸다. 경제사정을 기준으로 따지면 분명 사치인데도 모두 함께 사치를 하면 건전한 것처럼 느낀다. 그리도 저축을 많이 하던 나라가 이제 저축률 바닥을 기록하게 된 것도 그런 사정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비교와 질투, 열등감은 인간의 본능이다. 그리고 그것은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우리가 과거에 그랬다. 남들보다 쳐지지 않기 위해 열심히 일했고, 내 자식이 남들보다 빠지는 것이 싫어서 뼈 빠지게 벌었다.

하지만 이제 그 역기능이 훨씬 더 커지고 있다. 질투는 발전의 원동력이 아니라 남을 깎아내리고 파괴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이런 식의 비교 본능은 저급하다. 마치 남자의 바람기 본능이 저열하듯이 남과 비교하고 깎아내리고 불행하게 느끼는 본능 역시 저열하다. 그 본능은 모든 사람이 똑같아지지 않는 한 만족될 수가 없다. 그리고 완전한 평등 사회는 역설적으로 지옥이 된다. 모택동의 중국이 그랬고, 레닌의 소련이 그랬다.

정치인들은 새삼스레 공동체주의를 구호로 들고 나오지만 한국은 이미 지나친 공동체주의 사회다. 미국, 영국 뿐만 아니라 스웨덴 핀란드 같은 나라와 비교하더라도 개인 의식이 빈약하다.

이제 한국인도 자기 자신을 찾아야 한다. '떼(집단)’와 하나가 되고 싶어하고, 떼 속에 있을 때 희열을 느끼는 것은 동물적 속성이다. 인간은 떼에서 분리되어 개인으로 느끼고 판단할 때 인간답다. 이제 당신도 떼를 벗어나 자신 속의 개인을 찾아나서 보는 것이 어떤가.

IP : 121.164.xxx.208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인플레 때문
    '11.12.27 7:39 AM (121.136.xxx.207)

    국민 세금들이 제대로 안 쓰이고

    다른데로 흘러가거나 ,부가가치없는 토건 사업에 쳐박히니

    부채는 늘고 ,

    또는 개인 주머니로 흘러들어가는

    결국 국민들이 돈은 없고 , 그래서 빚내고

    정부는 이걸 핑계로 공공기업 민영화하여 돈 땡기려하고 (실제는 몇몇 개인들의 주머니로
    가져가려는 시도)

    이건 소설 , 쥬어 없음 , 고발 대상 아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962 앰네스티 ‘정봉주 양심수’ 검토…“선정시, 세계적 구명운동” 6 단풍별 2011/12/29 2,407
53961 저는 집에 전화해서.. 4 나는 엄만데.. 2011/12/29 2,063
53960 짝에서 말이죠.. 남자들의 심리가.. 정말 궁금.. 17 .. 2011/12/29 5,631
53959 김문수 도지사 장난전화 관련 패러디를 모아보았습니다. 11 세우실 2011/12/29 3,233
53958 우동집에서주는.. 3 ,,,,,,.. 2011/12/29 2,054
53957 내년 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문제 / 김문수편 1 저녁숲 2011/12/29 1,586
53956 아산병원도 폐, 심장쪽 잘 보나요? 3 ,. 2011/12/29 2,085
53955 이정희 의원님 트윗-한미 FTA대책법안 올리온 본회의 열렸습니다.. 2 sooge 2011/12/29 1,761
53954 3g스마트폰 추천좀 1 스마트폰추천.. 2011/12/29 1,495
53953 SQ3R을 통한 재능교육 촤하 2011/12/29 2,412
53952 어떻게 해석하나요??ㅠㅠㅠ 2 op 2011/12/29 1,339
53951 고3때 학과선택해야 하는 입시구조 1 고3엄마 2011/12/29 1,667
53950 본회의장의 박근혜.....오늘도 꼼꼼히...... 3 zzzzz 2011/12/29 1,596
53949 갤노트 조건 괜찮은 건가요? 4 toto 2011/12/29 1,822
53948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시국선언 서명운동에 참여해 주세요! 7 KU 2011/12/29 1,770
53947 마이홈 쪽지함 저만 그런가요...? ....? 2011/12/29 1,341
53946 문법 강의는 어디가 좋을까요?? 1 문법 2011/12/29 1,592
53945 (29일) 아파트서 중학생 목매 숨진 채 발견 3 ㅠㅠ 2011/12/29 3,705
53944 식탁에 유리 안깔고 사용하시는 분 계세요? 5 나무 2011/12/29 6,025
53943 이불커버는 어디서들 사시나요? 4 이불커버 2011/12/29 3,327
53942 박원순 시장님께 바라는 보여주기가 아닌 현실적이고 민생을 위한 .. 량스 2011/12/29 1,516
53941 이런 경우 며느리의 도리는 어느선일까요? 12 둘째며느리 2011/12/29 4,033
53940 나의 나꼼수 전파 사례분석 -밑의 글 보고 2 역사는 살아.. 2011/12/29 1,875
53939 봉도사님께 법무부 인터넷 서신으로 편지 썼는데 전달됐나봐요 ㅋㅋ.. 2 봉도사 2011/12/29 4,594
53938 딸아이 이름 들어간 도장 팔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질문 2011/12/29 1,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