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내 안에서 개인을 찾자

쑥빵아 조회수 : 1,067
작성일 : 2011-12-27 02:10:17
한국은 양면성을 가진 나라다. 객관적으로 평가하면 상당히 살기 좋은 것으로 나오는데 한국인 스스로에 의한 주관적 평가는 그것과 정반대다. 국제기관들에 의해 발표되는 지표들이 그런 사정을 잘 반영해준다.
한 나라가 얼마나 살기 좋은지를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베스트 국가 순위’이다. 미국의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가 발표하는데, 건강, 안전, 물질적 풍요로움, 신분 상승의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나라별 등수를 매긴다. 놀랍게도 2010년 한국의 순위는 세계 15위였다. 프랑스(16위), 이탈리아(23위)보다도 앞서고, 싱가포르(20위)보다도 더 높다.

반면 주관적인 행복도는 매우 낮다. 2010년 영국의 신경제재단(NEF)이 세계 143개국을 대상으로 평가한 국가별 행복지수에서 한국은 68위를 차지했다.

사람들은 이러한 차이가 복지 정책의 부재 때문이라고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복지정책이 잘 갖춰진 핀란드, 그리스, 이탈리아 같은 나라들의 행복지수 역시 높지 않으니 말이다. 우리와 비슷하게 낮거나 또는 오히려 더 낮다.

비교에 민감한 우리 사회

객관적으로는 잘 살면서도 불행하게 느끼는 이유는 다른 데에 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열등감과 질투를 느끼는 성향 때문 아닐까. 나보다 잘난 사람을 질투하고, 남들과 다르다는 사실에서 열등감을 느낀다면 아무리 물질적인 생활수준이 높더라도 행복감은 누릴 수가 없다.

그런 면에서 한국은 정도가 심하다. 한국인은 자기 스스로의 주체적 판단보다는 늘 남들과 비교 속에서 느끼고 판단하는 경향이 강하다. 우리가 유행에 민감한 것은 그런 성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남들이 노스페이스 같은 유명 상표의 등산복을 입으면 나도 따라 해야 한다.

무명 상표의 등산복으로는 동네의 등산길에 나서는 것도 눈치가 보일 정도인 것이 한국의 실상이다. 친구들이 나이키를 신으면 나도 그래야 하는 것이 고등학교 생활이고, 친구가 명품 백을 들면 나도 따라해야 하는 것이 대학생의 모습이다. 그리 부자도 아닌 나라가 세계 패션업계의 테스트베드가 된 것은 한국인의 이런 성향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봤을 때 한국의 상품 광고에는 유난히 스타들이 많이 등장한다. 김연아가 선전하면 에어컨이 더 시원해 보이고, 이승기가 웃고 있으면 김치냉장고가 더 갖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빈약한 개인 의식 키워야

그러다보니 한국인에게는 사치가 일상이 되어 버렸다. 경제사정을 기준으로 따지면 분명 사치인데도 모두 함께 사치를 하면 건전한 것처럼 느낀다. 그리도 저축을 많이 하던 나라가 이제 저축률 바닥을 기록하게 된 것도 그런 사정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비교와 질투, 열등감은 인간의 본능이다. 그리고 그것은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우리가 과거에 그랬다. 남들보다 쳐지지 않기 위해 열심히 일했고, 내 자식이 남들보다 빠지는 것이 싫어서 뼈 빠지게 벌었다.

하지만 이제 그 역기능이 훨씬 더 커지고 있다. 질투는 발전의 원동력이 아니라 남을 깎아내리고 파괴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이런 식의 비교 본능은 저급하다. 마치 남자의 바람기 본능이 저열하듯이 남과 비교하고 깎아내리고 불행하게 느끼는 본능 역시 저열하다. 그 본능은 모든 사람이 똑같아지지 않는 한 만족될 수가 없다. 그리고 완전한 평등 사회는 역설적으로 지옥이 된다. 모택동의 중국이 그랬고, 레닌의 소련이 그랬다.

정치인들은 새삼스레 공동체주의를 구호로 들고 나오지만 한국은 이미 지나친 공동체주의 사회다. 미국, 영국 뿐만 아니라 스웨덴 핀란드 같은 나라와 비교하더라도 개인 의식이 빈약하다.

이제 한국인도 자기 자신을 찾아야 한다. '떼(집단)’와 하나가 되고 싶어하고, 떼 속에 있을 때 희열을 느끼는 것은 동물적 속성이다. 인간은 떼에서 분리되어 개인으로 느끼고 판단할 때 인간답다. 이제 당신도 떼를 벗어나 자신 속의 개인을 찾아나서 보는 것이 어떤가.

IP : 121.164.xxx.208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인플레 때문
    '11.12.27 7:39 AM (121.136.xxx.207)

    국민 세금들이 제대로 안 쓰이고

    다른데로 흘러가거나 ,부가가치없는 토건 사업에 쳐박히니

    부채는 늘고 ,

    또는 개인 주머니로 흘러들어가는

    결국 국민들이 돈은 없고 , 그래서 빚내고

    정부는 이걸 핑계로 공공기업 민영화하여 돈 땡기려하고 (실제는 몇몇 개인들의 주머니로
    가져가려는 시도)

    이건 소설 , 쥬어 없음 , 고발 대상 아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7429 누가 당신을 위해서 뛰어 다녀 줄까요? 2 샬랄라 2012/03/24 1,504
87428 남편 생일 선물 뭐 해주죠? 1 LA이모 2012/03/24 1,933
87427 메이크업 수정용 트윈 케잌이나 파우더 팩트 추천 부탁드려요~ 6 connie.. 2012/03/24 4,004
87426 예전부터 쓰신글 보는 방법을 모르겠어요 궁금합니다... 2012/03/24 1,379
87425 스페셜 K같은 곡물 씨리얼 정말 식사 대용 좋은가요? 3 ----- 2012/03/24 2,806
87424 한 번 쓴 화장품은 팔려면... 욕 먹겠죠?? 7 으음 2012/03/24 2,462
87423 소심하거나 찌질, 뒤끝 작렬 남자 주인공 보면, 내가 저렇게 보.. 1 .. 2012/03/24 1,759
87422 소파에 남편은 어디에 앉으시나요 7 이것은 무슨.. 2012/03/24 2,410
87421 새벽 3시에 쿵쾅거리는 윗집 2 무서워요 2012/03/24 1,938
87420 이 문제 좀 봐 주세요.. 7 .. 2012/03/24 1,770
87419 아 이제 외모의 전성기가 지난 것 같아요... 9 늙어가네 2012/03/24 4,334
87418 신경치료후에 이 씌워야하나요? 비용은요? 14 ... 2012/03/24 2,963
87417 연예인들 돈은 정말 많이 버네요 14 .. 2012/03/24 11,185
87416 비례대표를 진보신당에 밀어줘야되는 이유.. 19 .. 2012/03/24 2,187
87415 다시 점 세개로 돌아온 ... 17 ... 2012/03/24 3,207
87414 (글펑합니다)죄송 6 2012/03/24 1,680
87413 모형cctv 달아보신분 있으신가용 2 무서워 2012/03/24 1,851
87412 90년대 가요 특집 처음보는거 같아요 1 ..... 2012/03/24 1,515
87411 이정희 의원의 거짓말 34 너무한다 2012/03/24 3,748
87410 스케치북 김건모 정말 노래 잘하네요 8 지금 2012/03/24 2,873
87409 김희철 의원 트위터에서 무차별 당하는중 !! 14 ㅇㅇ 2012/03/24 2,091
87408 파리에서 사는 건 어떤가요?? 19 Uh 2012/03/24 10,705
87407 클럽에 간 딸 30 딸고민 2012/03/24 10,350
87406 비오는 밤 맥주의 이유 4 풍경 2012/03/24 1,671
87405 근데 금성무는 쌍꺼풀 수술 왜 했을까요. 11 .. 2012/03/24 5,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