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베토벤 - 제5번 <운명 교향곡> 4악장

바람처럼 조회수 : 3,479
작성일 : 2011-12-21 23:07:33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 ― 1827) 작곡

교향곡 제5번 C단조 작품번호 67 <운명> 제4악장

Symphony No. 5 in C minor, Op.67 ‘Schicksal’ 4 movement

 

마무리 ―

 

제4악장: 피날레, 알레그로allegro 빠르게 ~  4/4박자, 소나타 형식

 

3악장의 끝에서 폭풍 전야의 고요함은 크레센도 되다가 악장 사이의 중단이 없이

폭발하여 승리의 함성을 내어 지르는 제1주제를 투티로 연주한다. 베토벤은

드디어 운명과의 처절한 싸움에서 승리하여 승리의 함성을 내어 지르는 것 같다고

로망 롤랑이 말했다고 해서 이 악장을 ‘승리의 악장’이라고도 불린다.

 

1,2,3 악장은 사실 이 4악장을 향하여 힘을 축적시켜 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결부분을 거쳐서 제2주제의 처절한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연결부분과 코데타

거쳐 곡은 힘차게 발전부發展部를 향해 나간다.

 

제1주제와 제2주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발전부는 힘찬 발전을 계속하다가,

잠시 3악장의 끝부분 폭풍 전야를 만들었던 부분을 다시 내 세운 다음, 재현부로

돌입한다. 이 곡의 특징인 대단한 규모의 코다로 화려한 끝을 장식한다.

(퍼온 글)

 

 

크레센도crescendo: (기세‧양‧음‧목소리 등의 크기가) 점점 세어지기.

투티tutti: 악보에서 다 같이 부르거나 합주하라는 말.

코데타codetta: 악곡을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그 부분의 종결에 쓰임.

코다coda: 한 악장의 종결 악구.

 

 

연주자 ―

카를 뵘(Karl Böhm: 1894 ― 1981) 오스트리아 태생의 명지휘자

법학을 전공한 박사 출신.

 

 

~~~~~~~~~~~~~~~~~~~~~~~ ~♬

 

 

오늘로써 베토벤의 <제5번 교향곡> ‘운명’ 전 4악장을 마무리 짓습니다. 선곡할

때 슈베르트의 <미완성 교향곡>과 베토벤의 <제5번 교향곡>은 전 악장을

소개해 드리려고 계획했었습니다.

 

대부분 중‧고등 음악교과서를 통해서 두 작품을 피상적으로 배우게 되거나 일부

악장만을 접해 보고는 전 악장을 들어 보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지요.

그래서 그 명곡이 주는 감동을 함께 느껴보고, 그 의미를 공유하고 싶어 두 곡

만큼은 연속으로 이어서 게시판에 올려드렸습니다.

저로서는 위대한 예술가들의 철학과 인류애가 담긴 불멸의 명곡들을 들려드리기

위해서 곡을 고르고 준비했던 시간이 행복했습니다!

 

인생의 위기에 부딪치거나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베토벤은,

“고난의 시기에 동요하지 않는 것,

이것은 진정 칭찬 받을만한 뛰어난 인물의 증거다.” 하고 말하고 있습니다.

 

 

~~~~~~~~~~~~~~~~~~~~~~~~~~~~~~~~~~~

 

베토벤의 <제5번 교향곡> ‘운명’ 4악장

지휘: 카를 뵘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연주(연주시간: 9분 30초)

http://www.youtube.com/watch?v=F1qASfzTAfQ&feature=related

 

~~~~~~~~~~~~~~~~~~~~~~~~~~~~~~~~~~~

IP : 121.131.xxx.11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자연과나
    '11.12.21 11:54 PM (175.125.xxx.77)

    바람처럼님의 좋은 말씀 깊이 새깁니다..

    인생의 의의는 균형된 생활을 즐기는데 있는 것이 아니고

    균형된 생활을 이상으로 하여 달려가는 것이다. 이런 이상은 도달할 수도 없는 것

    이고, 행복은 바로 이런 분투의 과정 속에 놓여 있다

    더없이 명언입니다..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고 했는데.. 첨단문명사회에서 인간 소외는 더 깊어져야만 하는건지..

    오늘 여고생 자살을 보면서 마음이 무척 아픕니다.

    정말 인문 철학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구나를 느끼게 하는군요..

    그 소녀도 하늘에서 편히 쉬길 바래요.

  • 2. 바람처럼
    '11.12.22 12:50 AM (14.39.xxx.18)

    현대와 같은 자본 중심주의 사회에서 ‘인간의 가치’ 가 소외되는 현상은
    바로잡히지 않으면 안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자본주의는
    반성되어야 한다는 뜻이지요.

    로마서 8장 22절에 보면 ‘피조물의 신음소리....’ 혹은 ‘피조물의 탄식....’
    이라는 말이 있는데, 저는 현실에서 어떤 생명이 가혹한 힘에 의해
    짓눌리거나 죽어나가는 상황이 발생할 때면 항상 이 말이 떠오르곤 해요.
    우리는 모두 피조물이잖아요.

    그런데, ‘자연과 나님’ 은 따뜻한 마음의 소유자라는 생각이 들곤 하네요

  • 3. 참맛
    '11.12.22 4:09 AM (121.151.xxx.203)

    오늘은 감기가 걸려 늦게 들어왔네요.

    "운명과의 처절한 싸움에서 승리하여 "

    제 인생을 돌이켜 보면 중요한 시기에 도망치는 스타일이어서 ㅎ

  • 4. 바람처럼
    '11.12.22 6:21 AM (14.39.xxx.18)

    참맛님’ 지금, 대구도 추운 날씨인가 보지요 ?
    서울 새벽 공기가 무척 쌀쌀하네요.
    날씨의 변화 탓인지 저도 요즈음 감기를 달고 사는데
    빠른 쾌유가 있으시길...........
    그런데, 대구는 겨울에도 눈이 오나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419 대전 교육청 2 ... 2011/12/22 1,597
51418 뜨악~~~즐겨찾기를...상대방이 알수 있나요??? 7 이럴수가.... 2011/12/22 2,585
51417 檢, 이상득 의원 소환 않을 듯 23 참맛 2011/12/22 2,451
51416 대딩자녀들 학교에 보통 몇 시쯤 가나요? 6 늦잠싫어. 2011/12/22 1,853
51415 그럼 이제 나꼼수는 못듣는건가요 3 봉도사님~ 2011/12/22 1,686
51414 오후 2시반에 BBK관련 민주당 인사들 기자회견 한대요. 8 나거티브 2011/12/22 2,478
51413 일진어른되다 8 동네아짐 2011/12/22 2,600
51412 인체에 제일 좋은 그릇은 뭐예요? 8 뭘까. 2011/12/22 3,283
51411 어제보다 오늘이 덜 추운거 아녜요? 10 이상해요 2011/12/22 2,142
51410 정말 질좋은 레몬에이드 가루 없을까요? 1 호텔에서파는.. 2011/12/22 2,699
51409 연봉인상분이 다음달부터 ㅠㅠ 1 아휴..;;.. 2011/12/22 1,427
51408 메주 주문 어디서 하세요? 4 독수리오남매.. 2011/12/22 1,515
51407 수험생에 좋은 음식 추천 부탁해요 알려주세요 2011/12/22 1,100
51406 봉도사 집어넣는것은 2 흥! 쫄줄알.. 2011/12/22 1,319
51405 5살아이를 유치원안보내고 집에서 보시는분... 5 ^^ 2011/12/22 2,391
51404 검사결과 이상 없는데 항상 아프다, 를 달고 사시는 노인분들이요.. 4 ........ 2011/12/22 1,815
51403 19금)생리끝에 하는 관계 5 민망 2011/12/22 14,646
51402 한명숙 "역시 우리의 봉주르는 당당" 2 참맛 2011/12/22 1,743
51401 정봉주 유죄, 그 누구도 납득할 수 없다. - 통합진보당 논평 2 참맛 2011/12/22 1,282
51400 어떤 치과의사 한달 매출액인데 무려ㅎㄷㄷ 12 개포동 2011/12/22 6,378
51399 한국 근현대사 책 추천부탁드려요~ 4 팔랑엄마 2011/12/22 1,362
51398 이명박 대통령 "국론 분열되면 국가신용도 떨어져&quo.. 19 세우실 2011/12/22 1,678
51397 꿈꾸는 자 잡혀간다 1 나거티브 2011/12/22 864
51396 남동생한테 몰래 용돈은 그만 줘야겠어요 ㅎㅎ 근데 동생 여친한테.. 14 2011/12/22 3,041
51395 한솥 도시락 창업관련 조언 부탁드려요. 11 고민중 2011/12/22 6,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