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정일 사후 북한의 선택?..

^^별 조회수 : 840
작성일 : 2011-12-20 16:20:37

'김정은 1인체제, 집단지도체제, 내전발생'까지

 

과거 김정일이 김일성의 후계자로서 20년이상 권력 기반을 다진 것에 비해 김정은은 지난 해 9월 노동당 대표자회를

통해 후계자로 공식 등장한 지 14개월밖에 안 된다는 점에서 김일성 사망이후 안정적인 후계구도를 확보한

김정일 위원장에 비해 김정은의 앞날이 휠씬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크리스토퍼 힐 전 차관보는 19일 영국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김정일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북한의 권력 상황에

큰 불확실성이 생겼다”며 “현재 김정은은 인민군 대장 외에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과 중앙위원회 위원의

직함을 갖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김정은의 나이가 27살이 불과하고 국정 경험이 없는 것이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고

말하는 등 김정은을 ‘준비 안 된 지도자’로 정의했다.

 

현재 전문가들은 군부를 김정은 체제의 최대 변수로 꼽고 있다. 다시 말해 군부의 의지에 따라 김정은 체제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김정은 부위원장은 군권을 어느정도 장악한 것으로 보이나 실질적으로는

이영호 총참모장이나 김정각 정치국 제일부국장의 파워가 상당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김정은 체제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높은 가능성으로 꼽히는 것은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 국방위 부원장겸 노동당 행정부장의 도움으로 당,정,군의 핵심 세력과 손잡고 일종의 ‘유훈통치’체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과의 관계를 공고히 하고 대외적인 도발을 자제하는 체제안정에 주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집단지도체제에 대한 가능성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김정은의 권력 기반이 허약하고 북한 민중의 지지도

불확실한 상태에서 1인 지도체제에 대한 당,정,군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각계 권력층이

연대하는 집단지도체제가 구성될 가능성도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경우 김정은은 형식상 최고지도자일 뿐

실질적으로 집단지도체계가 수렴청정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최악의 경우 북한 내부의 권력 투쟁속에 김정은이 체제 통제능력을 상실하고 북한 전체가 혼란에 빠지는 것이다.

이미 중앙 부대를 제외한 지방의 군부대들은 자급자족의 체계를 갖추고 느슨한 중앙 통제속에서 어느 정도 자율적인

부대 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방 부대의 군벌화 또는 당과 군부간의 갈등이 김정은 체제를

무너뜨리고 전혀 예상할 수 없는 혼란으로 북한을 몰고 갈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일단, 대부분의 북한 전문가들은 당장은 김정은 체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김정일 사망이후 북한 군부의

특이 동향이 없을뿐더러 김정일의 장례절차도 순조롭게 진행되는 등 당장 북한 체제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날 만한

조짐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어떤 후폭풍이 일어날 지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예측불가의

영역으로 보고 있다.

(아시아헤럴드=황찬규 기자)

http://www.asiaherald.co.kr/

 

IP : 1.230.xxx.10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721 장터에 누가 제 물건좀 2 낭패 2011/12/20 1,591
    50720 허벅지 붙는 분 계세요? 13 zz 2011/12/20 7,832
    50719 문과 수학 11 입시합격하신.. 2011/12/20 1,784
    50718 절임배추로 백김치 담그는법 좀 가르쳐 줘요 1 2011/12/20 4,319
    50717 야매요리 1 지나 2011/12/20 1,362
    50716 서로 부담없는 출산 선물 추천좀 부탁드려요 ^^ 4 콩새 2011/12/20 1,647
    50715 李대통령 연하장에"힘든 서민 생각에 잠이 안와".. 15 허허 2011/12/20 1,859
    50714 영어 해석 질문입니다 10 하수 2011/12/20 789
    50713 고가의 선물 받으면 부담스러울까요?? 5 선물 2011/12/20 1,371
    50712 1월초 홍콩여행 조언부탁합니다. 6 샬롯 2011/12/20 1,741
    50711 대학에 입학 할 아들의 영어공부 3 궁금녀 2011/12/20 1,305
    50710 네스프레서 바우쳐 5 사람들 참 .. 2011/12/20 1,202
    50709 오우 요즘 술자리 때문에 몸이 말이아니네요 ㅋㅋ 담당 2011/12/20 833
    50708 역설인이 얘기한 차기 지도자가 유시민이라고라? 24 옆에 2011/12/20 3,282
    50707 비만 아들들 ..위 져스트댄스2 로 효과 보네요..-.- 4 빌어먹을유전.. 2011/12/20 2,655
    50706 정시원서..전년도입시결과랑 올해배치표 차이는 어떻게 해석하나요?.. 2 정시 2011/12/20 1,288
    50705 사학과 나오면 어떤일을 하나요? 6 ㅇㅇ 2011/12/20 2,188
    50704 생강차를 만들었는데 4 생강차는 2011/12/20 1,628
    50703 화이트 가죽가방은 너무 때가 많이 타겠죠? 9 소가죽가방 2011/12/20 1,827
    50702 초등학교1학년 여아 크리스마스 선물 4 선물 2011/12/20 4,352
    50701 신사동 가로수길 브런치 카페 1 전등 2011/12/20 2,056
    50700 일산 지금 뭔가 타는 냄새 안 느껴지세요? 1 탄 냄새 2011/12/20 2,188
    50699 토스트빵 먹을때 방법, 답변 꼭해주세요~~ 19 궁금녀 2011/12/20 10,369
    50698 오늘 제가 구경했던 일입니다 4 한희한결맘 2011/12/20 2,292
    50697 어디서 파나요? 5 전통팽이 2011/12/20 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