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하루 세끼 다 쌀 밥 대신 콩으로 대신 먹으면 어떨까요?

아마폴라 조회수 : 7,687
작성일 : 2011-12-18 22:16:10

예전에 흰음식이 거의 다 안좋다고 본적이 있었는데요.

그래서 한참 블랙푸드 열풍이 불었었죠.

근데 쟤가 요즘 몸도 안좋고 여기저기 많이 아파서

건강에 신경을 좀 쓰고 싶어서요.

 

콩은 건강식품으로 이견이 없고 안좋다는 글은 본적이 없는거 같은데

하루에 쌀밥으로 섭취해야 하는 탄수화물 대신

콩으로만 대체해줘도 괜찮을까요?

반찬은 그대로 먹구요. 국이랑 그런것도..
IP : 114.202.xxx.10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18 10:24 PM (119.192.xxx.98)

    쌀밥먹는것과 몸아픈것과 큰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한국인들 대부분 쌀밥먹어도 건강하잖아요..
    혹시 스트레스 떄문에 몸이 아픈거 아니실까요. 쌀밥 하나도 안먹고 콩밥(?)만 먹으면 배에 가스 많이 찰껄요.
    사포닌 성분때문에 설사 할수도 있구요.

  • 2. 장이
    '11.12.18 10:29 PM (211.223.xxx.109)

    안 좋은 사람들은 오히려 현미나 거친 음식이 소화가 안돼서 나쁩니다.
    흰쌀밥이라고 해서 무조건 나쁘지 않아요. 일단 소화 흡수가 가장 좋기 때문에
    그만큼 사람들이 오래 먹어온 거니까요.
    환자들 회복식에 현미죽 안 나오고 흰죽 나오는 이유가 다 있지요.
    의사들도 위장 안 좋은 사람들은 그냥 흰쌀밥 먹으라고 해요.
    하도 블랙푸드 어쩌고 하면서 유행이지만 모든 사람이 다 맞는 건 아니니까요.
    그리고 콩만 먹으면 콩도 단백질 성분이 많기 때문에 소화할 때 부담느끼는 장기가 있게 됩니다.
    심하면 심한 변비 걸리거나 반대로 설사 하거나 윗분 말대로 가스 차고 그렇죠.
    저 예전에 검은 콩이 몸에 좋다고 우유에 콩가루 타먹은 적 있는데
    변비 걸려서 아주 혼났어요.
    그래서 먹더라도 꼭 밥 먹고 식후에 조금 먹지 절대 빈속에 끼니 대용으로 안 먹습니다.

  • 3. ..
    '11.12.18 10:30 PM (175.210.xxx.243)

    신장 안좋은 분들이 많이 먹으면 안좋은걸로 알아요.
    뭐든 적당히 드셔야지 과용하면 안좋아요

  • 4. 아마폴라
    '11.12.18 10:32 PM (114.202.xxx.107)

    아. 그런가요? 식품,영양 이런거 전혀 몰라서요..^^;
    쌀밥 먹어서 몸이 아프다는건 아니구 나이도 있고 해서 그런지 예전에 괜찮았던 것들이
    점점 힘들어져서 건강에 신경을 좀 쓰고 싶은데 달리 방법을 몰라서요.

    남들이 콩이 좋다고 하니까 그말만 듣구선..;;
    그런데 쌀이 식감도 좋고 맛이 있어서 많이들 먹지만 서양인들은 쌀을 거의 안먹잖아요.

    예전에 티비에서 아토피 굉장히 심하던 남학생이 검은콩밥만 먹고 백옥 피부 되었던 기억도 있고
    해서 좀 알아보려구요..^^

  • 5. 아마폴라
    '11.12.18 10:36 PM (114.202.xxx.107)

    아 콩도 많이 먹으면 신장이 무리가 가는군요.
    정말 뭐든 적당히 하는 것이 진리군요..
    밥에 콩 적당히 섞어서 콩밥 해먹는 걸로 만족해야 겠습니다.^^

  • 6. 서양인들은
    '11.12.18 10:41 PM (211.223.xxx.109)

    쌀농사보다 밀농사가 더 유리하니까 그러지 않을까요.
    그쪽은 밀문화고 아시아쪽은 쌀문화니까요.
    쌀 원산지들 보면 대부분 동남아나 아시아쪽이잖아요. 일단 기후조건부터 차이가 있고요.
    아무래도 사는 지역에 따라 재배하기 가장 용이한 작품을 선택하기 마련이죠.
    콩이 좋긴 한데 끼니 대용으로 장기간 섭취는 좀 조심스럽죠.
    밥도 소량 드시면서 콩도 조금씩 넣어서 드셔보세요.
    너무 콩만 드시는 건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대부분 밥하고 같이 먹거나 밥 외에 추가적 음식으로 영양섭취를 하는 식으로 하니까요.
    그리고 콩은 콩이고 쌀은 쌀이라서
    탄수화물도 우리 몸에서 반드시 필요한 성분입니다.
    요즘 탄수화물의 지나친 섭취를 경계한다지만 부족하면 문제가 생기는
    주요 영양소예요.
    탄수화물 섭취를 지나치게 줄이면 뇌쪽에 병생길 수 있습니다.
    뇌가 활동시 탄수화물을 많이 필요로 해요. 그래서 아침밥 먹으라는 이유도 그렇고요.

  • 7. 서양인들은
    '11.12.18 10:43 PM (211.223.xxx.109)

    작품->작물...
    꼭 탄수화물도 같이 챙겨서 드시고요. 콩밥으로 해서 드세요.
    아니면 가루로 만들어서미숫가루 식으로 해서 두유같은 것에 타서 마셔도 되고요.

  • 8. caffreys
    '11.12.18 10:49 PM (112.150.xxx.17)

    영양분석표 다운받아 보면 흰 쌀밥에도 여러가지가 많더군요
    단백질도 1회 섭취량당 5~10g 가까이 되구요(100g당 20g 정도)
    전 콩만 먹으면 소화가 잘 안돠던데
    콩밥을 지으면 밥에 윤기도 더해지고 맛도 있어요

  • 9. 아마폴라
    '11.12.18 10:50 PM (114.202.xxx.107)

    ㄷㄷ 님 그 청년 대단하네요.. 살을 빼던 어쩌던 젊었을때 하면 별 무리가 없는데
    나이 들어서는 뭐든 힘든거 같아요. 살을 뺄려면 부작용이 만만치 않고 공부를 할래도
    눈이 시려워서 책을 오래 못보겠고..흠....

    서양인들은님 얘기 들으니까 진짜 건강해질려고 오바하다가 골로 갈뻔했네요..;;;
    요즘 눈 감으면 눈에서 번쩍번쩍하고 뭔가 비치는 증상이 있어서 찾아보니까 섬광증이라는데
    자세한 검사는 해봐야겠지만 참 나이들면서 하나하나 고장나는 내몸때메 서글퍼요.
    .

  • 10. 콩만먹었다는
    '11.12.18 11:09 PM (211.223.xxx.109)

    그 청년은 다이어트 수단으로 일종에 단백질 위주로 식습관을 해서
    몸에 쌓인 지방세포를 다 소비시키려는 목적이지 싶어요.
    예전에 황제 다이어트라고 해서 고기만 죽어라 먹거나, 단백질 위주의 식단으로
    살을 빼는 유행이 있었어요. 계란 노린내 날 정도로 계란만 먹고...ㅋㅋㅋ
    몸에서 필요한 탄수화물 섭취를 극단적으로 줄이게 되면
    일단 몸에선 기존에 쌓여있는 많은 지방을 급격하게 소비하게 되거든요.
    탄수화물이 소화 흡수가 잘 되다보니 그만큼 많이 섭취하면 지방으로 바뀌는 것도
    빠르니까요. 또 그외 영양소들 모두가 제대로 소비되지 않으면
    중간단계는 좀 다를지언정 결국 종착역은 지방으로 쌓이거든요.
    하다못해 과일도 과하게 섭취하면 비타민과 무기질 역할을 벗어나 과당때문에 역시 살이 찌는 원인이 됩니다.
    그래서 과일은 채소 친구가 아니라 과자 친구란 말도 있었잖아요. 게다가 과당은
    탄수화물보다 몸에서 흡수도 엄청 빨라요.
    아무리 콩에도 탄수화물 성분이 들어있다해도 밥이나 빵을 통한 탄수화물 섭취에
    비할 바가 못 되고요.
    그런 식으로 탄수화물 공급은 중단하고 계속 단백질 위주로 하면
    몸에 쌓인 지방들 급격히 소비. 살 잘 빠지겠지요.
    또 단백질은 일단 공급해주니까 몸에 근육세포에 필요한 단백질은 그럭저럭 공급되고요.
    그런데 장기간 그렇게 탄수화물 공급을 극단적으로 줄이는 건 권하고 싶지 않아요.
    그야말로 다이어트 목적이니까요.

    그리고 눈이 안 좋으시면 꼭 안과 가서 검사한번 받아보시고요.
    딱히 이유가 없다고 하면,
    눈 관련 영양제 한개 정도는 챙겨서 드세요.
    나이가 들면 다른 것도 그렇지만 눈 영양제는 꼭 먹어주는 게 좋다고 봅니다.
    제가 영양제를 좀 경시한 사람인데
    눈영양제 만큼은 효과를 봤기 때문에 다른 분들한테도 챙겨 드시라고 해요.
    특히 현대인들은 유독 눈 혹사가 심한 환경이기때문에 보조제 필요해요.
    루테인, 오메가3도 눈에 좋고요, 모이스처 아이 같은 영양제도 도움이 됩니다.
    해외배송 해주는 사이트에 보면 다양한 눈관련 영양제 좀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어요.
    또 눈에 좋다는 각종 식품들도 찾아보면 많아요.
    블루베리가 좋다고 하는데 아직 그건 안 먹어봤지만 많이들 드시더라고요.
    당근도 좋고, 차 중에서 결명자차가 눈에 좋다네요.

  • 11.
    '11.12.18 11:24 PM (14.52.xxx.59)

    폭픙으로 가스배출하겠어요
    그리고 통변 엄청 좋아지겠구요
    그러니 살은 빠지겠지만 소화는 엄청 안될겁니다
    차라리 메주콩을 삶아서 드셔보세요

  • 12. 아마폴라
    '11.12.18 11:30 PM (114.202.xxx.107)

    윗님 쟤가 궁금하고 필요했던 정보들만 얘기 해 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과일도 많이 먹으면 좋지 않다는건 얼핏 알고 있었는데 왜 안좋은지 알게 되었네요..
    정말 요즘 눈이 뿌옇고 침침해서 더 우울하거든요. 안과 가도 안구 알레르기와 건조증
    얘기만 했었는데 이번엔 정밀 검사를 좀 받아보려구요..
    블루베리는 올 여름부터 꾸준히 먹고 있는데 저는 손톱만치의 효과도 보지 못했어요..ㅠ.ㅠ
    뭐 약도 아니고 음식으로 드라마틱한 효과가 단기간에 나는게 더 이상하지만요..^^;
    말씀하신 눈 영양제 꼭 구입해서 복용해야겠네요..^^
    자세히 답글 달아주셔서 많이 배웠어요. 다시 한번 감사해요..^^

  • 13. ..
    '11.12.19 7:43 AM (211.178.xxx.146)

    콩보다는 현미잡곡밥으로 바꾸는 게 좋습니다~
    콩은 단백질. 질 좋은 탄수화물은 현미로~ 탄수화물 섭취는 꼭 해줘야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265 일본 수상 고이즈미가 언제 그만두었는지 딴 얼굴이 수상이네요? 12 .... 2011/12/24 1,498
52264 정봉주 의원 부인 송지영씨 모습.jpg 19 tipt 2011/12/24 20,726
52263 제 남편과 비슷한 남편 두신 분 있나요? 9 ㅎㅎㅎ 2011/12/24 2,796
52262 영어 해석...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5 p 2011/12/24 1,057
52261 아이의 학원수학샘 때문에사단이 나네요 28 으이구 2011/12/24 8,148
52260 올해의 뉴스 투표하는데 의견란에 정봉주 무죄로 도배네요 2 정봉주 무죄.. 2011/12/24 1,002
52259 기름집앞에 들깨통이 엄청 많던데요 4 방앗간 2011/12/24 2,335
52258 바보죠? 내가.. 7 ... 2011/12/24 1,850
52257 혹시 상대방이 타행이체시켰는데, 저한테는 안올수도있나요??? 8 2011/12/24 2,177
52256 초등학생 여아 아동복 브랜드 추천해주세요. 4 아동복 2011/12/24 5,536
52255 왕따는 아무튼 소심하고 여린아이한테... 3 // 2011/12/24 2,691
52254 명문대는 순위로 정하나요? 12 !!! 2011/12/24 2,794
52253 휴게소에 컵라면 먹을수 있는 뜨거운물 나오나요? 4 두아이맘 2011/12/24 2,730
52252 이정희 의원 1인 미디어 들어보세요. 4 피노키오 2011/12/24 1,002
52251 신생아모자뜨기....같은 우리나라 아기들 돕는 실천 봉사는 어떤.. 3 우리나라에서.. 2011/12/24 1,581
52250 나이 50대인데도 동서중에 왕따 이네요 ㅠㅠ 5 .. 2011/12/24 3,701
52249 어린 아이들이나 아기들은 목욕을 해야 잘 자나요? 3 목욕 2011/12/24 1,154
52248 달려라 정봉주 책 샀는데 두가지인가요 1 정봉주 사랑.. 2011/12/24 1,189
52247 길거리 캐롤송 없어진게 저작권때문인가요 3 캐롤 2011/12/24 6,200
52246 시판 청국장 어디것이 맛있나요? 2 공장에서 나.. 2011/12/24 1,665
52245 밥상 차릴때 수저부터 놓으세요? 11 궁금 2011/12/24 2,889
52244 아기 해열제 먹고 열이 내린 후 다시 열이 나기도 하나요? 4 초보맘 2011/12/24 3,714
52243 많이 보고 싶었나 봅니다. 2 영화 2011/12/24 1,844
52242 남편이 우네요ㅠㅠㅠ 26 이밤 2011/12/24 16,094
52241 요즘도 백화점 상품권 싸게 파나요? 아이루 2011/12/24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