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를 잘라서 만드는 거랑, 포기로 만드는 거랑 맛이 다른가요?

김치초보 조회수 : 3,980
작성일 : 2011-12-18 18:57:13

식구가 얼마 안되어서 배추 작은거 8포기 정도 담그는데

잘라서 담그거든요

근데 보면 다른 분들은 포기째 담그시잖아요

그럼 나중에 꺼내서 다시 잘라야하고 그럴텐데

김치를 포기째 담그는 무슨 이유가 있나요?

너무 초보 질문이라 질문하기도 바보인증같아 망설여지네요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IP : 188.22.xxx.221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18 6:59 PM (1.225.xxx.87)

    맛도 다르고 씹는 식감도 아주 달라요.

  • 2. ....
    '11.12.18 7:19 PM (119.192.xxx.98)

    잘라서 담그면 익으면 죽처럼 흐물흐물거려요. 포기로 담으면 익어도 아삭아삭하구요.

  • 3. 아.. 그렇군요
    '11.12.18 7:22 PM (188.22.xxx.221)

    집에는 담그면 몇 주내에 다 먹어치워서요 ㅋㅋㅋ
    댓글 감사합니다

  • 4. 지나가다
    '11.12.18 7:24 PM (125.188.xxx.87)

    쇠칼이 닿으면 맛이 많이 달라지죠.미식가들은 대나무칼로 김치 썰어요.

  • 5. 김치초보
    '11.12.18 7:29 PM (188.22.xxx.221)

    ㅋㅋㅋㅋㅋㅋ
    제 김치는 대나무칼이 납실 정도의 수준이 아니라서요 ㅋㅋㅋㅋ

  • 6. 1/4로도 안 자르고
    '11.12.18 7:30 PM (114.207.xxx.163)

    다들 배추 한 통, 통째로 담그시나요 ?

  • 7. 크게
    '11.12.18 7:50 PM (210.205.xxx.25)

    크게 반으로 자르려면 포기가작아야해요. 전 큰포기배추사서 6쪽으로 갈라서 담가요

  • 8. 유명한
    '11.12.18 7:52 PM (114.207.xxx.163)

    미용사 그레이스 리 책 보면, 손님 초대해서도 김치만은 딱 젓가락 들기 직전에 자른대요. 시시각각 변한다고.

  • 9. 제가
    '11.12.18 8:07 PM (211.223.xxx.109)

    미각이 좀 예민한 편인데 확실히 김치에 칼 댄 것과 아닌 것이 달라요.
    그래서 김장하면 한동안은 칼질 안 하고 꽁지만? 자르고 길게 해서 그대로 먹어요.
    자르더라도 손으로 북북 찢어 먹는 게 더 맛있죠.

  • 10. 새단추
    '11.12.18 8:15 PM (175.113.xxx.254)

    제가 느끼는 맛의 차이는...깊은맛이라고 할까요???
    포기로 담근김치가 시어버렸을때는 맛있는 김치찌개가 되는데요
    맛김치라고 하죠 잘라서 버무린 김치는 시어버렸을때 맛있긴 한데..뭔가 깊은맛이 빠져버린듯한...

    하지만 원글님은
    그렇게 짧은 시간에 8포기가 소비된다면
    굳이 포기담그실 필요는 없을듯해요^^

  • 11. 하다못해
    '11.12.18 8:53 PM (114.204.xxx.212)

    파는김치도 포기김치랑 맛김치는 가격대가 달라요.

  • 12. 귀차니즘
    '11.12.19 12:24 AM (110.12.xxx.208)

    칼대기가 귀찮아서 맛김치 손으로 북북 찢어서 담가요^^ 결과적으로 좋은거였네요 하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0695 애플 앱스토어에서 어플이 결제되었다고 문자가 왔어요. 도움요청 2 츄파춥스 2012/03/31 1,353
90694 자기축의금만 받고 남의 결혼식은 연락도없는 경우 5 새댁 2012/03/31 2,437
90693 대치동근처에 불가마있는사우나 알려주세요 3 감기몸살발열.. 2012/03/31 2,065
90692 절약글이 그리워요. 새똥님 글 읽고 전기요금 5만원 절약되었는데.. 7 새똥님 팬 2012/03/31 5,166
90691 영화 <건축학개론>은 90년대 대학생세대를 위한영화~.. 3 파란경성 2012/03/31 2,034
90690 사랑비 윤아옷 질문드려요 1 .. 2012/03/31 1,345
90689 결혼, 이혼, 재혼이란 7 아델라 2012/03/31 3,462
90688 입대준비물 함 봐주세요,,(뭐가 또 더 필요한지) 10 .... 2012/03/31 1,690
90687 책전집주문했는데 전집박스는 안왔어요 1 책좋아 2012/03/31 1,137
90686 2030옷 파는곳 어딜까요 1 남대문 2012/03/31 909
90685 이번에 대학 들어간 조카 울어요 14 ... 2012/03/31 11,110
90684 한국에선 말도 않되는 일본 노출 방송 우꼬살자 2012/03/31 1,998
90683 가자미 조림,,만들어 먹었는데,,진짜 맛있네요 2 .. 2012/03/31 1,976
90682 오일풀링이 사고를 쳤네 37 야~~ 2012/03/31 29,137
90681 잘한다 민주당 밀어붙여라.. 3 .. 2012/03/31 1,494
90680 갤s 에서 갤럭시 노트로 바꾸려고요.. 5 갤럭시 노트.. 2012/03/31 1,858
90679 참여정부시절 1급공무원이였더분의 트윗. .. 2012/03/31 1,943
90678 많이 읽은 글의 외제유모차 글을 읽고...^^;; 42 그냥 2012/03/31 4,463
90677 동생생긴 첫째.. 어떻게 잘해줘야 할까요? 5 딸둘아짐 2012/03/31 2,086
90676 [나꼼수] 대작 예고 8 나꼼 2012/03/31 2,815
90675 전재수 노무현 경재수석 행정관 트윗 6 .. 2012/03/31 2,440
90674 집에서 곱창 구워먹을려면. 어떻게 준비해야 될까요? 3 곱창 2012/03/31 3,136
90673 병문안 ??? 1 달콤캔디 2012/03/31 1,001
90672 KBS새노조 불법사찰 공식 입장발표. 1 .. 2012/03/31 1,212
90671 굽네치킨 질문이요~ 2 한약먹는중 2012/03/31 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