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소비성향이 정말 다른 부부에 대한 단상

... 조회수 : 4,984
작성일 : 2011-12-18 13:20:34

요즘 비슷한 글이 많이 올라오는데요, 절약....절약...모드...;;;

타고난 환경이나 성향을 무시할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게 쉽게 고쳐지는 게 아니라는 거죠. 굳이 주식이나 도박 아니라도 명품에 대한 집착이나

뭘 하나 사더라도 백화점에 가서 사야한다는 신념(?)이라든지...여러가지가 있죠.

자신은 절대 과소비가 아니라는 걸 강조하고, 원래 이렇게 살았다든지...남녀를 떠나서 다 하나같이

변명이든 뭐든 할말은 있는 겁니다. 그리고 또...이게 정신질환 수준으로 심해지는 경우에는 치료도

받아야 하구요. 조울증에 그런 증세 있습니다. 며칠만에 수백, 수천만원을 써버리는 신공(?) 말이죠.

 

아래 신혼부부글을 봤는데요. 그 정도는 애교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그게 계속되면 상당한 부부갈등의 원인이 되구요, 결국 다른 싸움의 커다란 불씨가 되는 겁니다.

예전에 모 방송에서 부부이혼에 다룬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이혼한 이유가 어렵게 살아온 남편은 휘슬러

압력솥을 꼭 사야 밥맛이 좋다는 와이프를 이해를 할 수 없었고, 밥알이 남아있는데 한알 한알 다 주워

물에 불려서 먹어야한다는 생각을 고집하는 남자였습니다. (다른 건 안 봐도 DVD겠죠?)

여자는 기겁을 했고, 그 사소한 일로부터 하나씩 둘씩 부딪치다가 결국 이혼 도장을 찍더군요.

 

제가 아는 여자 하나는 남편이 잘 나가는 전공의였는데 정말 가난한 집 아들이었습니다.

징그럽게 가난해서 탕수육이라는 음식을 20살 넘어서 구경해봤다고 합니다. 먹어본 것두요.

상대인 와이프는 본인 집이 여유있거나 하진 않지만 친정에서 오냐받자 키우고 모든 옷을 부티크나

백화점 명품으로 도배하게 하고 꼴랑 전세집 하나 해주면서도 (IMF때 전세2천) 의사 마누라가 타임은

입어야 하지 않겠냐고 80만원짜리 타임 더플코트를 사고 생일 때도 백화점에서 1인당 10만원 넘는

식사를 먹곤 하더군요. 본인이 번 돈은 아니었어요. 현금서비스나 카드론을 쓰더군요. 전공의 월급이

얼마 안되기도 했고 당시 의약분업이라 그나마도 제대로 안 나오는 극한 상황이었지요.

남편이 사랑하는 결혼이고 중간에 여자가 남자가 생겨 이혼하자고 했는데

붙잡고 난리도 아니었어요. (남편은 외도 사실 모름) 물론 개업한 후에는 역전되서 동전 한푼에도

벌벌 떨면서 여자가 수그리고 산다는데 그후 소식은 모르겠어요.

 

가난하게 살아보니 사랑이고 뭐고 싫더라는 게 여자의 변명이었습니다. 의사라는 직업 때문에

조건 보고 결혼했고 나름 멋지게 살 줄 알았느데 아니었던 거죠.

대부분의 남녀가 소비성향이나 경제습관에 대해서는 깊게 고민하지 않는 것 같아 씁니다.

그 문제는 하루 아침에 쉽게 고쳐지는 게 아니고, 나중에 이혼 사유도 될 수 있을 만큼 중대사입니다.

어느 정도 신뢰가 쌓이고 부부간에 정이 있으면 극복되지만 그게 영영 안되는 사람도 많구요.

[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 ]이런 개념으로 접근하는 게 제일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중간 지점에서 해법을 찾아야죠. 남자는 모르겠지만 여자의 소비성향 가운데에는 정신적인 공허함이나

다른 무엇을 채우기 위한 병적인 소비습관이 대개 많아 보여요.

 

저는 글쎄요. 노력 중이긴 하나, 제 남편이 지나친 자린고비형이라 그런지 살면서 그다지 행복하다는 느낌은

별로 없었습니다. 미래를 위해 살면서 왜 아끼고 우리가 허리띠를 졸라매는 것도 정도가 있고 그걸 상대방에게

배우자에게 제대로 납득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강요(?) 수준으로 밀어붙이는 것에 문제가 있어보여요.

천리길도 한걸음부터라는 말이 있지요. 천천히 하나씩 시작해보는 기분으로 그렇게 오해가 쌓이지 않아요.

욱 하는 감정싸움으로 덤벼서 될 일은 하나도 없더라는 게 경험담입니다. ㅎㅎ 좋은 주말 되세요.

 

IP : 121.163.xxx.2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18 1:43 PM (211.253.xxx.235)

    간단하게 생각하면 자기가 번 돈가지고 자기가 쓰는 건 뭐라 안하겠어요.
    본인이 월급 200만원받아서 공동으로 쓰이는 경비 100만원 내놓고 나머지 100을 쓰던가 하는 건.
    (이것도 사실 웃기죠. 본인 노후대비는 배우자 돈으로 하겠단 거니까)
    그런데 원글에도 있지만 왜 남편이 벌어온 돈으로 여자가 쓰려 하는지...
    개인적으로 왜 휘슬러로 밥해야 맛있는지는 이해 못하겠어요.

  • 2. jk
    '11.12.18 1:52 PM (115.138.xxx.67)

    그런 경우 가장 간단한 해답은

    결혼전에 잘 보고 오래사겨보고 정말 나와 생활패턴이 맞는가? 이걸 따져본 다음에 결혼을 선택하는거겠죠.

    반드시 그 사람이랑 결혼해야 한다는 강요라는건 없으니까요

    세상은 넓고 남녀는 널렸어용.......

  • 3. 으..
    '11.12.18 1:56 PM (121.136.xxx.28)

    jk님 말씀대로 세상은 넓고 남녀는 널렸지만...
    그래도 제가 사랑하는 사람이 저랑 소비패턴이 심각하게 달라서 조율이 안될정도면
    그렇게 쉽게 말하고 헤어질수있을것같진 않네요..
    전 좀 소비성향이 소극적인 사람이라 이해는 해보려고 하겠지만..
    아..역시 산다는건 쉽지않은 일이네요.ㅎㅎ;

  • 4. ...
    '11.12.18 2:16 PM (112.151.xxx.58)

    절약을 공부에 비교하신 분도 계시던데
    공부는 혼자하는거고
    절약은 온 가족이 동참해야하는 겁니다. 원글님 말씀데로 부부가 죽이 맞아야 되요.

  • 5. ...
    '11.12.18 3:04 PM (121.136.xxx.180)

    쇼핑이 취미인 신랑. 고민 고민 수백번 고민 한개 버리면 두세개 사다 나릅니다. 라면 하나도 이마트 출동! 자가용은 그렌저스티렉스 11인용(20년만에 새차라 아무소리 못하고) 한두푼 아낀게 허무하지만 지돈 열심히 벌어 쓰는데 뭐라고 하기도 그렇고 그러나 그 물건으로 인한 정리정돈은 고스란히 내 몫. 이거 버리고 치우고 하는게 더 짜증. 저는 애 셋을 키우면서 책값 말고는 돈을 써본적이 없어요. 현재 세아이 모두 제가 키우고 사교육 일체 안 받음. 사람이 좋아서 주변에서 다들 챙겨 주시네요. 메이커 안 따지는거 아니 허름한 옷도 그냥 맘 편하게 주시고. 저는 여기 절약하는 분들에게 뒤지지 않을만큼 절약이 몸에 밴 사람이구요. 쓸때는 씁니다. 나도 상대가 안타깝듯, 상대도 제가 안타깝겠죠. 그냥 팔자려니 하고 상대방 소비 패턴 존중하는 수 밖에요. 그냥 푸념 한번 해 봅니다.

  • 6. 저도
    '11.12.18 5:28 PM (221.139.xxx.63)

    책도 어지간한건 얻어다 보고(잘사는 사촌이 전집을 주시네요. 애들에게 필요한 수준으로...) 옷도 주변에서 애들꺼 제꺼 다 얻어입고 꼭 필요한것만 사고, 외식은 안해도 먹는건 잘해먹고.... 되도록 요리를 하는편이지요. 저도어릴때부터 이렇게 살아선지 결혼해서 이렇게 사는거 당연한듯 살거든요. 나름 아끼고 절약하면서.... 재래시장가서 장봐오구.... 큰마트 잘 안다니고.. 그래도 경조사비나 이런건 남보다 더 잘내요. 사람 잘 챙기고...
    근데 문제는 남편.
    저랑 소비패턴이 달라요. 직장생활상 골프가 필요해서 배우는데 왜그리 사야하는게 많은지... 물건살때 돈이 얼마인지 안 따지고 사고, 어디가 싸다고 가서 사지 않고... 그저 좋으면 사는 소비패턴...
    남들한테 잘하고, 돈 잘쓰고,,,,,,
    제가 아끼고 아껴도 제가 아낀 한달치 남편이 한방에 쓰는듯해서 가끔 아끼고 사는 나는 뭔가 싶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522 블럭 추천 부탁드려요(크리스마스 선물) 2 선물 2011/12/20 1,180
50521 매달100만원씩 적금드는 것보다 예금 드는게 더 이득인가요? 12 전에 얼핏 .. 2011/12/20 10,835
50520 디도스 ‘한국판 워터게이트’ 되려나 5 세우실 2011/12/20 1,378
50519 아이가 두달째 감기약을 먹고 있어요 8 걱정 2011/12/20 1,597
50518 스테인레스 구멍 떼울수있을까요? 2 해결될까 2011/12/20 1,263
50517 강추 - 나꼼수 호외2 도표로 깔끔정리 1 참맛 2011/12/20 2,005
50516 내가 별뜻없이 말한게 상대방에게 상처줬다면,,,제가 이상한가봐주.. 33 인관관계 2011/12/20 5,596
50515 대문에 걸려 있는 김혜경선생님 음해글이요... 15 안티 2011/12/20 2,946
50514 돌장이 아기 철분이 부족하다는데 어떤영양제를 먹여야 할까요 13 난다 2011/12/20 1,617
50513 아이틴 요금제 설명좀 해주세요. 아이틴 요금.. 2011/12/20 796
50512 장터에 팥죽을 파네요.. 14 도전 2011/12/20 2,868
50511 이정렬 판사의 트위터가 또 난리네요 ㅋㅋㅋㅋ 3 참맛 2011/12/20 3,536
50510 죄송하지만, 꿈이 잘 맞는편이라 꿈해몽좀 부탁드릴게요. 2 꿈해몽 2011/12/20 1,385
50509 보험 질문요. ㅠㅠ 2 찬희맘 2011/12/20 896
50508 12월 1월 2월 도시가스비 2-3만원 할수 있으세요? 19 할수 있을까.. 2011/12/20 2,803
50507 수학시험에서 59점 받은 울아들(초2) 구제 하게요... 11 맛난 점심 2011/12/20 2,022
50506 제가 현명치 못한 행동을 한 건지 좀 봐주시겠어요? 10 .. 2011/12/20 2,078
50505 지방4년제와 수도권전문대학 어느곳이 나을까요? 11 2011/12/20 2,562
50504 남편 추운 사무실에서 입을 패딩이나 다운 조끼좀 추천해주세요~ 4 2011/12/20 1,298
50503 뉴라이트 단체 대표, 20억대 횡령으로 구속기소 7 참맛 2011/12/20 1,175
50502 올케가 임신했는데 '딸'이라서 후련해요~ 35 눈꽃 2011/12/20 13,493
50501 친정아버지 팔순인데 의견부탁드려요..함께해주세요 ㅠ 4 팔순 2011/12/20 1,684
50500 '박근혜 비대위' 출범… 朴 "국민만 보고 가겠다&qu.. 11 세우실 2011/12/20 1,064
50499 고등학생 엄마들 모임엔 꼭 나가는게 유익한가요? 9 고등맘 2011/12/20 2,765
50498 일년 가계부정리중.. 일년중 언제가 젤 많이 쓰셨나요? 4 겨울은 지름.. 2011/12/20 1,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