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소비성향이 정말 다른 부부에 대한 단상

... 조회수 : 5,490
작성일 : 2011-12-18 13:20:34

요즘 비슷한 글이 많이 올라오는데요, 절약....절약...모드...;;;

타고난 환경이나 성향을 무시할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게 쉽게 고쳐지는 게 아니라는 거죠. 굳이 주식이나 도박 아니라도 명품에 대한 집착이나

뭘 하나 사더라도 백화점에 가서 사야한다는 신념(?)이라든지...여러가지가 있죠.

자신은 절대 과소비가 아니라는 걸 강조하고, 원래 이렇게 살았다든지...남녀를 떠나서 다 하나같이

변명이든 뭐든 할말은 있는 겁니다. 그리고 또...이게 정신질환 수준으로 심해지는 경우에는 치료도

받아야 하구요. 조울증에 그런 증세 있습니다. 며칠만에 수백, 수천만원을 써버리는 신공(?) 말이죠.

 

아래 신혼부부글을 봤는데요. 그 정도는 애교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그게 계속되면 상당한 부부갈등의 원인이 되구요, 결국 다른 싸움의 커다란 불씨가 되는 겁니다.

예전에 모 방송에서 부부이혼에 다룬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이혼한 이유가 어렵게 살아온 남편은 휘슬러

압력솥을 꼭 사야 밥맛이 좋다는 와이프를 이해를 할 수 없었고, 밥알이 남아있는데 한알 한알 다 주워

물에 불려서 먹어야한다는 생각을 고집하는 남자였습니다. (다른 건 안 봐도 DVD겠죠?)

여자는 기겁을 했고, 그 사소한 일로부터 하나씩 둘씩 부딪치다가 결국 이혼 도장을 찍더군요.

 

제가 아는 여자 하나는 남편이 잘 나가는 전공의였는데 정말 가난한 집 아들이었습니다.

징그럽게 가난해서 탕수육이라는 음식을 20살 넘어서 구경해봤다고 합니다. 먹어본 것두요.

상대인 와이프는 본인 집이 여유있거나 하진 않지만 친정에서 오냐받자 키우고 모든 옷을 부티크나

백화점 명품으로 도배하게 하고 꼴랑 전세집 하나 해주면서도 (IMF때 전세2천) 의사 마누라가 타임은

입어야 하지 않겠냐고 80만원짜리 타임 더플코트를 사고 생일 때도 백화점에서 1인당 10만원 넘는

식사를 먹곤 하더군요. 본인이 번 돈은 아니었어요. 현금서비스나 카드론을 쓰더군요. 전공의 월급이

얼마 안되기도 했고 당시 의약분업이라 그나마도 제대로 안 나오는 극한 상황이었지요.

남편이 사랑하는 결혼이고 중간에 여자가 남자가 생겨 이혼하자고 했는데

붙잡고 난리도 아니었어요. (남편은 외도 사실 모름) 물론 개업한 후에는 역전되서 동전 한푼에도

벌벌 떨면서 여자가 수그리고 산다는데 그후 소식은 모르겠어요.

 

가난하게 살아보니 사랑이고 뭐고 싫더라는 게 여자의 변명이었습니다. 의사라는 직업 때문에

조건 보고 결혼했고 나름 멋지게 살 줄 알았느데 아니었던 거죠.

대부분의 남녀가 소비성향이나 경제습관에 대해서는 깊게 고민하지 않는 것 같아 씁니다.

그 문제는 하루 아침에 쉽게 고쳐지는 게 아니고, 나중에 이혼 사유도 될 수 있을 만큼 중대사입니다.

어느 정도 신뢰가 쌓이고 부부간에 정이 있으면 극복되지만 그게 영영 안되는 사람도 많구요.

[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 ]이런 개념으로 접근하는 게 제일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중간 지점에서 해법을 찾아야죠. 남자는 모르겠지만 여자의 소비성향 가운데에는 정신적인 공허함이나

다른 무엇을 채우기 위한 병적인 소비습관이 대개 많아 보여요.

 

저는 글쎄요. 노력 중이긴 하나, 제 남편이 지나친 자린고비형이라 그런지 살면서 그다지 행복하다는 느낌은

별로 없었습니다. 미래를 위해 살면서 왜 아끼고 우리가 허리띠를 졸라매는 것도 정도가 있고 그걸 상대방에게

배우자에게 제대로 납득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강요(?) 수준으로 밀어붙이는 것에 문제가 있어보여요.

천리길도 한걸음부터라는 말이 있지요. 천천히 하나씩 시작해보는 기분으로 그렇게 오해가 쌓이지 않아요.

욱 하는 감정싸움으로 덤벼서 될 일은 하나도 없더라는 게 경험담입니다. ㅎㅎ 좋은 주말 되세요.

 

IP : 121.163.xxx.2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18 1:43 PM (211.253.xxx.235)

    간단하게 생각하면 자기가 번 돈가지고 자기가 쓰는 건 뭐라 안하겠어요.
    본인이 월급 200만원받아서 공동으로 쓰이는 경비 100만원 내놓고 나머지 100을 쓰던가 하는 건.
    (이것도 사실 웃기죠. 본인 노후대비는 배우자 돈으로 하겠단 거니까)
    그런데 원글에도 있지만 왜 남편이 벌어온 돈으로 여자가 쓰려 하는지...
    개인적으로 왜 휘슬러로 밥해야 맛있는지는 이해 못하겠어요.

  • 2. jk
    '11.12.18 1:52 PM (115.138.xxx.67)

    그런 경우 가장 간단한 해답은

    결혼전에 잘 보고 오래사겨보고 정말 나와 생활패턴이 맞는가? 이걸 따져본 다음에 결혼을 선택하는거겠죠.

    반드시 그 사람이랑 결혼해야 한다는 강요라는건 없으니까요

    세상은 넓고 남녀는 널렸어용.......

  • 3. 으..
    '11.12.18 1:56 PM (121.136.xxx.28)

    jk님 말씀대로 세상은 넓고 남녀는 널렸지만...
    그래도 제가 사랑하는 사람이 저랑 소비패턴이 심각하게 달라서 조율이 안될정도면
    그렇게 쉽게 말하고 헤어질수있을것같진 않네요..
    전 좀 소비성향이 소극적인 사람이라 이해는 해보려고 하겠지만..
    아..역시 산다는건 쉽지않은 일이네요.ㅎㅎ;

  • 4. ...
    '11.12.18 2:16 PM (112.151.xxx.58)

    절약을 공부에 비교하신 분도 계시던데
    공부는 혼자하는거고
    절약은 온 가족이 동참해야하는 겁니다. 원글님 말씀데로 부부가 죽이 맞아야 되요.

  • 5. ...
    '11.12.18 3:04 PM (121.136.xxx.180)

    쇼핑이 취미인 신랑. 고민 고민 수백번 고민 한개 버리면 두세개 사다 나릅니다. 라면 하나도 이마트 출동! 자가용은 그렌저스티렉스 11인용(20년만에 새차라 아무소리 못하고) 한두푼 아낀게 허무하지만 지돈 열심히 벌어 쓰는데 뭐라고 하기도 그렇고 그러나 그 물건으로 인한 정리정돈은 고스란히 내 몫. 이거 버리고 치우고 하는게 더 짜증. 저는 애 셋을 키우면서 책값 말고는 돈을 써본적이 없어요. 현재 세아이 모두 제가 키우고 사교육 일체 안 받음. 사람이 좋아서 주변에서 다들 챙겨 주시네요. 메이커 안 따지는거 아니 허름한 옷도 그냥 맘 편하게 주시고. 저는 여기 절약하는 분들에게 뒤지지 않을만큼 절약이 몸에 밴 사람이구요. 쓸때는 씁니다. 나도 상대가 안타깝듯, 상대도 제가 안타깝겠죠. 그냥 팔자려니 하고 상대방 소비 패턴 존중하는 수 밖에요. 그냥 푸념 한번 해 봅니다.

  • 6. 저도
    '11.12.18 5:28 PM (221.139.xxx.63)

    책도 어지간한건 얻어다 보고(잘사는 사촌이 전집을 주시네요. 애들에게 필요한 수준으로...) 옷도 주변에서 애들꺼 제꺼 다 얻어입고 꼭 필요한것만 사고, 외식은 안해도 먹는건 잘해먹고.... 되도록 요리를 하는편이지요. 저도어릴때부터 이렇게 살아선지 결혼해서 이렇게 사는거 당연한듯 살거든요. 나름 아끼고 절약하면서.... 재래시장가서 장봐오구.... 큰마트 잘 안다니고.. 그래도 경조사비나 이런건 남보다 더 잘내요. 사람 잘 챙기고...
    근데 문제는 남편.
    저랑 소비패턴이 달라요. 직장생활상 골프가 필요해서 배우는데 왜그리 사야하는게 많은지... 물건살때 돈이 얼마인지 안 따지고 사고, 어디가 싸다고 가서 사지 않고... 그저 좋으면 사는 소비패턴...
    남들한테 잘하고, 돈 잘쓰고,,,,,,
    제가 아끼고 아껴도 제가 아낀 한달치 남편이 한방에 쓰는듯해서 가끔 아끼고 사는 나는 뭔가 싶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1218 염색 어떤 색상이 이쁜가요? 새벽 2012/04/02 445
91217 아파트 일층에 딸린 텃밭해보신분.. 8 일층 2012/04/02 2,870
91216 치아 안좋은 남편을 위한 반찬, 뭐가 있을까요? 4 우째야쓰까 2012/04/02 1,589
91215 무쇠구입관련 댓글 절실,,, 8 무쇠 2012/04/02 1,387
91214 버려도 버려도 정리가 안되네요. 정리 잘하시는 분들 팁 좀 주세.. 3 정리의 귀재.. 2012/04/02 2,255
91213 오늘부터 이소라다이어트 5 화이팅 2012/04/02 1,978
91212 클라리넷 렛슨좀 여쭈어요. 3 클라리넷 2012/04/02 1,117
91211 새누리당 "盧때 불법사찰도 특검해야" 8 세우실 2012/04/02 1,153
91210 아니...이제와서 사실파악중? 유체이탈이네.. 2 .. 2012/04/02 831
91209 청기와집에서 사찰증거인멸시 동원한 "디가우저".. 3 증거 2012/04/02 817
91208 이젠 MBN뉴-스 만 보겠습니다. 9 대합실 2012/04/02 1,443
91207 결혼 생활 10년만에처음으로 남편 수입보다 앞섰어요. 2 ... 2012/04/02 2,132
91206 이 여자는 과연 선수 장훈을 사랑하기는 했던걸까 3 ... 2012/04/02 5,945
91205 삼성카드 거부운동 그룹사 확산되나 6 랄랄라 2012/04/02 1,163
91204 변희재와 낸시랭의 토론 보셨나요? 21 ... 2012/04/02 3,152
91203 노무현 정부 당시 사찰했다면.... 2 사랑이여 2012/04/02 908
91202 참여정부 문건과 MB정권 문건 무엇이 다른가? 1 베리떼 2012/04/02 555
91201 글램*스타일러쉬 미니 쓰시는분 계시나요????? ?? 2012/04/02 597
91200 앙마기자 주진우의 명언 3 명언 2012/04/02 1,729
91199 라식 비용이 이렇게 비싼가요?? 8 라식 2012/04/02 1,842
91198 질문_ 기적의 야채스프 두 종류 3 딸기 2012/04/02 7,712
91197 보고서 지침에 "본인이 대통령이라 생각하고 작성&quo.. 3 세우실 2012/04/02 644
91196 박원순 시장이 서울시 빚을 벌써 2조나 줄였다네요. ㅋ .. 18 ^^ 2012/04/02 2,675
91195 서울에는 부름이 고물상 없나요? 5 ^^ 2012/04/02 1,562
91194 드라마보니까 권력엔 부모형제도 없고, 왜 다들 정치를 하려는지 .. 권력 2012/04/02 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