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 절약하면 .....나라 경제가 더 위축되지 않을까요?

갸웃 조회수 : 3,886
작성일 : 2011-12-18 11:40:18

김장->입시에 이어

요즘 82의 핵심어(?)-트랜드 워드라고 해야 하나??-는

"절약"이네요.

근데...

가슴 철렁하면서 제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좋은 글이라고 생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이렇게 다 절약모드로 들어가면

전체적인 나라 경제는 위축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되네요.

너무 오지랖인가요? ㅋㅋ

당장

외식 안하면 그 많은 외식업체 및 종사자들 떠오르고

옷 안 사입어 미장원 안 가고 버틴다 하시면 의류업계 및 미용업계는요?

사교육 줄이고 집에서 가르친다고 하시면 사교육현장이 곧 일터인 분도 많으시잖아요.

등등등...

절약도 좋고 검소도 좋지만

수입의 일정정도는 팡팡 써줘야 전체적인 나라살림이 잘 돌아가지 않을까요?

아..물론.

먹지도 않을(못할) 음식 욕심만 내고 깨작하면서 버리지 말기.

필요없는 방 전등 불 끄기

먹을 만큼만 물 따르고 그거 다 먹기

필요없는 이상으로 차 끌고 다니지 말기.

나 한테 필요없는 물건 쟁겨두고 살지 말기.......

이런 생활 수칙은 정말 꼭 필요하고 지켜야겠지만요.

밖에 나가서 점심 먹으러고 벼르고 있는데

절약이 대세인 분위기라 괜히 딴지 걸고 싶었나봐요.ㅋㅋ

가벼운 글이니 가겹게 읽어주세용^^

즐겁고 따뜻한 오후 보내시길 바랍니다!!

IP : 182.209.xxx.147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1.12.18 11:43 AM (211.237.xxx.51)

    내수를 늘리기 위해선 돈 많이 버시는 분들이 많이 써주셔야 해요.
    다만 환경을 생각해도 그렇고 자원 고갈을 생각해도 그렇고....
    자원을 많이 쓰는것보다는 (전기나 휘발류등등) 서비스 를 많이 사용해주시길 바람 ^^;
    공생을 위해선 외식도 서비스도 누군가는 사용해줘야 중하위층도 숨쉴수 있습니다.

  • 2. 원글
    '11.12.18 11:49 AM (182.209.xxx.147)

    언제부터인가
    글 쓰고 나면..............무서운 인티성 댓글 달리지 않을까 조마조마(?)해지는데

    첫 댓글부터
    제 생각에 지지해주시니 왠지 기분이 좋아지네요.ㅎㅎ

    맞아요.
    절약해서 현금 착착 모아두는 것도 좋은 일이고, 필요한 일이지만
    대승적인 차원에서
    쓸 때는 써줘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요.ㅋㅋ

    근데 아무래도 점점
    제 자신의 합리화를 위한 면피성 글같다는 ^^;;

    어쨌든 따뜻한 칼국수 먹으러 나갑니다. 고고!!

  • 3. 부자들이
    '11.12.18 11:55 AM (175.214.xxx.155)

    돈은 부자들이 많이 써야요
    서민들야 쓸래야 쓸돈이 없어요
    이미 빚내서 쓰고 있는 상황

    지금 국민이 나라걱정할수 있는 상황이 아니에요
    전세값 올려주기도 버거워요

  • 4. ...
    '11.12.18 11:59 AM (112.151.xxx.58)

    저역시 절약 키워드를 보면서 자영업자의 한사람으로서 걱정이
    다들 배추 시래기 얻어다 먹으면 채소장사는 뭐 먹고 살지? 하는 쓸데없는 걱정ㅋㅋ
    연봉 되시는 분들은 좀 제돈주고 배추 사 드세요. 말씀드리고 싶어요.
    계절별로 옷도 사시구요.

  • 5. 안쓴다고
    '11.12.18 12:02 PM (114.207.xxx.163)

    다 안 쓰는 건 아니구요,
    사교육비 절약하느라 엄마표로 하면, 수요가 줄어 기존에 사교육이 직장인 분이 타격을 받겠지만,
    그돈이 저축으로만 가는 건 아니구요.
    미술관 가거나 캠핑, 생태 체험 가는 쪽으로 이전되어요,
    예전에 전혀 없던 수요가 새로 많이 만들어지는 거죠. 엄마에게 수학을 가르쳐주는 학원도 생기구요.
    엄마도 가르치기 힘드니, 자기에게 주는 작은 선물로 한 번씩 스트레스 해소 해줘야 하구요,

    저희는 집에서 책만 보니, 책값을 30만원 썼는데 10만원으로 줄였어요, 절반은 저축으로 돌리고요,
    도서관 가서 빌려오기 때문에 드는 교통비, 도서관 체험 따라가니 추가로 드는 돈,
    이렇게 한쪽이 슬림해지면서 그 돈이 가는 지출방향이 달라져요.

  • 6. ..
    '11.12.18 12:16 PM (211.172.xxx.193)

    꼭 안쓸려고 하는건 아닌데 안쓰게 되네요. 옷도 작년에 사둔게 있으니까 목도리 하나만 사고 살 마음도 없어요. 사회분위기가 그렇게 흐르는듯 해요. 남들도 별로 옷에 신경 안쓰고 필요한 옷만 몇게 돌려가며 입으니까 나도 그렇게 하게 되고 더이상의 소비는 오히려 불필요하게 느껴지는 그런거요.
    화장품도 뭐 세일해서 사람들이 사면 나도 사게되고 주위에 할인점은 넘쳐나니 저렴하게 사고 그렇게 되네요. 좀 많이 소비 한거는 부부가 스마트 폰 산거 정도에요. 외식도 자주 하는 편이고.

  • 7. jk
    '11.12.18 12:24 PM (115.138.xxx.67)

    자본주의는 돈을 써야 돌아가는 시스템이에용...
    빚을 얻어서라도 써야하죠.

    유럽재정위기라고 해서 유럽국가들이 빚이 많다고 하는데
    그리고 미쿡의 서브프라임모기지도 결국 빚이었죠. 집을 얻는데 빚을 왕창 얻어서 그걸로 집값이 올랐고 집값이 올랐으니 과하게 돈을 써댔죠.

    빚을 얻어서라도 써야 돌아가는게 자본주의인데
    돈을 안쓰고 절약하기 시작하면 불경기가 더 심해지죠.

    그럼 저축은 왜 권장했냐구요?
    한국은 기본적으로 기업들이 생산해서 수출(내수가 아님)을 해서 돈을 벌어왔던 나라입니다.
    이럴려면 기업이 돈이있어야 하는데 기업도 돈을 빌려야해요. 어디서 빌리느냐? 은행이죠.
    그럼 은행은 돈을 찍어냄? 아뇨.. 누군가가 저축한걸 가지고 그걸 토대로 빌려주는거죠.
    결국 저축률이 낮으면 기업들이 돈을 못빌리니까 돈이 없어서 투자를 못하니 저축하라고 했던거고

    지금은 어짜피 돈이 넘쳐나기 때문에 저축할 필요는 없어용...

    불경기에 필요한건 절약이 아니라 사실 빚을 얻어서라도 쓰는거죠.
    문제는 그 빚이 과하니까 정부에서 규제를 하려는거구요.

    자본주의에서 소비는 미덕이고 절약은 불경기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이건 어쩔수없는거에요...

  • 8. jk
    '11.12.18 12:25 PM (115.138.xxx.67)

    다만 이 말이 된장질을 하라는건 아네용...

    사치품들의 경우 내수발전에 별 영향을 끼치지 않아요.

    기본적인 생활 필수품들을 적절히 소비하는게 내수발전에 더 도움이 되죠.

  • 9. ㅁㅁㅁ
    '11.12.18 2:47 PM (211.199.xxx.211)

    저는 절약하는 대신에 동네 시장가고,
    동네 작은 마트가요.
    큰 마트가서 돈 써봤자... 그 회사 본사와 대주주만 부자되는데
    그 대주주 중에는 외국인도 많잖아요.
    우리 동네에서 쓰면 우리 동네 이웃이 부자되고 동내 내수도 좋아지고

  • 10. 과소비
    '11.12.18 11:55 PM (123.212.xxx.170)

    를 줄이자는 거겠죠..^^
    자원의 절약은 필요한거고... 쓸돈은 써야하는거죠.
    내수가 얼어붙었다자나용... 그럼 경제가 바닥으로 떨어질수 밖에 없어지고...;;

    전 근데.. 원래 그렇게 생겨먹었는지.... 스스로 잘하고 있는 편이라... 위로해요..;;;

  • 11. 명품가방
    '11.12.19 3:39 PM (110.15.xxx.248)

    한 개 안사고 그 돈으로 가족끼리 국내 여행 간다면..
    해외로 빠져나가는 돈만 절약해도 내수 경기 살아날 수 있겠지요..

    써야 될 사람들은 명품에 홀릭해서 해외로 돈 보내고
    못쓰는 사람은 허리띠 졸라매고 살고 있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597 인터넷 서점에서 책 사면 반품된 재고 푸나봐요 2012/03/20 1,913
85596 초등1 공부방책상 일자형이나은가요? 책장형이 나은가요? 1 책상고민.... 2012/03/20 2,444
85595 카프리제 만들때 발사믹은? 3 .. 2012/03/20 2,022
85594 ㅡ급ㅡ저요오드식단 하나씩만 알려주세요 4 2012/03/20 4,252
85593 김종훈이 맞는말 했구만요 뭘ㅋㅋㅋㅋ .... 2012/03/20 1,601
85592 화상을 입었어요 20 따갑다 2012/03/20 4,151
85591 (펌) 이런거 밝혀도 될런지...이번 관악을 여론조사 참여한 .. 12 그냥 2012/03/20 3,492
85590 압구정초,중,고 어떨까요? 7 이사 2012/03/20 3,689
85589 백지영 얼굴 한창 이뻤는데 지금 안타깝네요. 12 안타까워 2012/03/20 11,096
85588 박진영이 말하는 박재범의 잘못이라는 거 아무것도 없을거 같아요 10 ... 2012/03/20 5,380
85587 티팟 좀 찾아주세요.. 제발.. 2012/03/20 1,354
85586 박근혜 대신 박지만이 대선 출마해라 (펌) 8 맞어 2012/03/20 1,622
85585 닉네임 sy ( 116.45.xxx.17 )의 글에 댓글 달아주.. 1 알바.. 2012/03/20 1,972
85584 체하면 두통이 반복적으로 생기나요? 11 두통? 2012/03/20 5,392
85583 학교폭력은 여전합니다. ... 2012/03/19 1,491
85582 컴푸터운영체게가 비스타예요 8 비스타는 괴.. 2012/03/19 1,386
85581 이정희 실망스러워서 비례대표 통합진보당 표 안줄 겁니다 58 소탐대실 2012/03/19 4,022
85580 판교에 월든힐스나 그근방 타운하우스 살기 어떨까요? 1 아이둘 2012/03/19 4,767
85579 콘도같은집,,으로 하려다가~~ 2 // 2012/03/19 3,853
85578 남의 물건 함부로 만지는 아이에게 14 예의 2012/03/19 5,088
85577 경희대국제캠퍼스 다니는 따님 방 구하시는 분 계신가요? 혹시 2012/03/19 1,844
85576 6살아이 미술때문에 너무 속상해요..ㅠ.ㅠ 7 상처받았어요.. 2012/03/19 2,838
85575 혹시 유아기 성장통에 대해 아시나요? 급해요 ㅡㅜ 4 아이가 울어.. 2012/03/19 2,991
85574 네이버 블로그 임시 차단 가능한가요?? 1 ... 2012/03/19 1,687
85573 나는 야구선수와 결혼했다.. 1 ,,, 2012/03/19 2,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