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금융권 (외국계 은행)임원 상무면 연봉이 어느정도인지...

궁금 조회수 : 7,921
작성일 : 2011-12-16 18:23:25

이제 몇일있음 4학년 올라가네요...(40살)

 

저희는 결혼시 양가 반반씩 부담하고 공동명의로 33평 사서 시작했는데,

 

신랑 외벌이고, 대출 이자 없어서인지.. 아이 한명에 사치는 못해도 그냥저냥 아쉬운거 없이 평범하게 살아요..

 

어릴때부터 친한 친구가 있는데요.. 신랑이 외국계 금융권 임원인데

 

맨날 돈..돈..돈 없다...돈없다..힘들다..이러내요.. 물론 양가 비빌언덕 전혀없는걸로 알고 있지만..

 

제가 알기론 금융권 상무나 전무되면 연봉이 못해도 2~3억은 되는걸로 알고있는데.. 아닌가요..?

 

아이 두명 모두 사립초등학교 보내고, 신랑 혼자 스스로 자수성가로 아파트도 사고..여유있어보이는데..

 

너무 돈..돈...거리니 슬~쩍 만나기가 꺼려지네요...

 

뻔데기 앞에서 주름잡는것도 아니고...

 

 

 

 

 

 

 

 

IP : 1.224.xxx.22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무슨...
    '11.12.16 6:28 PM (14.52.xxx.192)

    지점장도 그 정도 받는데
    임원이면 5억이상은 되겠죠.
    혹시 집에 빚이 많다든가
    주변에 보면 연봉 많아도 주식하다 망한 사람들도 있고
    도박하는 사람들도 꽤 있던군요.
    그런 경우 힘들다 하겠죠.

  • 2. ..
    '11.12.16 6:34 PM (115.136.xxx.167)

    외국계금융권에 이사정도면 높은직급이 아닌지 알아요.
    대체적으로 웬만하면 그런직급들을 줍니다.
    주로 영업을 많이 하기때문으로 알아요.

    그리고 한국계금융보다는 연봉이 좋기는 해도
    2년 계약이고, 자주 옮겨다니고 그래서
    장단점이 있는지 알고 있어요.

    돈은 쓰기나름인데 있어도 돈돈돈 하는 사람이 있고
    많지 않아도 여유롭게 대하는사람이 있고
    성격탓도 있겠지요.

  • 3. ^~#
    '11.12.16 6:43 PM (118.37.xxx.107)

    연봉이 높기는 하지만, 국내회사에 비해 복지는 약한 편입니다.
    국내 금융권의 경우, 직원들이 대출을 받는데에도 우대를 받고, 학자금 대출,임차대출,학비지원,
    의료비 지원 등 복지가 잘 되어있지만, 외국계 회사는 전혀 그렇지 않으니, 돈 없다고 하는 말 속에는
    그런 부분을 포함하고 있을 겁니다.

  • 4. 그냥 하는말
    '11.12.16 10:09 PM (116.37.xxx.141) - 삭제된댓글

    외국계 은행마다 경우가 좀 다른게....
    윗분말씀의 복지가 약한 은행은 별로 없어요. 일본계가 좀 별루고 다~ 좋아요
    국내 복지 + 알파 라고 생각하심되요
    제가 은행 다년거든요
    요즘 국내 은행이 많이 따라왔을것 같긴 한데....그래도.
    근무 당시 우리(여자)끼리 남자 동료 욕했는데ㅡ생명이 짧아요
    어차피 요즘같이 고용불안 시기엔 차라리 다닐때 한푼이라도 더 땡디는게 맞는것 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각설하고, 친구분 그냥 하는 말입니다
    님도 돈 없지요?
    저도 돈 없어요
    각자 자기 규모에서 다 모자라다 생각하잖아요
    그냥 하는 소리일 가능성 크다고 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451 카톡질문이여 5 2012/02/04 1,942
67450 신들의 만찬 보는데.. 알려주세요.. ^^ 5 ... 2012/02/04 3,217
67449 가마솥에 통닭 서울에도있나요?? 3 간식거리 2012/02/04 1,840
67448 제가 예민했나요? 5 82 2012/02/04 2,040
67447 혹시 콜드에프엑스 라는 약을 아시나요? 북미지역쪽 약인 것 같은.. 1 귀뒤혹 2012/02/04 1,630
67446 부산 맛집을 갔는데(개금시장) 6 ㅍㅍ 2012/02/04 3,261
67445 홍콩여행 질문이요 7 바움 2012/02/04 2,146
67444 중졸검정고시 이후 외국에서 고등학교 입학 1 중딩엄마 2012/02/04 1,566
67443 윗층소음으로 미쳐가는데 화 다스리는 법? 10 dkrn 2012/02/04 3,081
67442 여기 싱글 아가씨들 모이는 카페 이름 좀 알려주세요 4 2012/02/04 1,831
67441 책 10권 정도 택배 4 택배 2012/02/04 2,627
67440 베스트 프랜드가 없다는 것..... 5 화사한 2012/02/04 2,929
67439 시간표 앱 만들었어요 2 추억만이 2012/02/04 1,464
67438 아이 린넨 원피스 어디서 살수 있을까요? 1 린넨 2012/02/04 1,064
67437 전인화씨는 나이들어도 정말예쁘네요... 4 2012/02/04 5,073
67436 딴 반찬 다 싫고~ 7 아침 2012/02/04 3,746
67435 새끼손가락 통증(수술 해보신분)봐주세요 8 통증 2012/02/04 5,865
67434 에그베네딕트 잘하는 레스토랑 추천부탁드려요 2 In 2012/02/04 1,254
67433 3월에 오피스텔 월세 놓아요. 아흐 생애 처음 ㅇㅇ 2012/02/04 1,434
67432 다음달에 뉴욕 뚜벅이여행을 갑니다.쇼핑문의 4 미국 가게 2012/02/04 1,797
67431 급질입니다!! 피부양자도 재산이 형성되면 지역가입자로 자동 전환.. 6 급질 2012/02/04 1,970
67430 쌈장 이렇게해도되나요? 13 궁금 2012/02/04 2,343
67429 북경에 대해 잘 아시는 분 질문 2012/02/04 755
67428 전북 익산 맛집 좀 소개해주세요~~ 3 2012/02/04 2,715
67427 몸살에 좋은것 5 알렉 2012/02/04 1,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