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묘하게 수긍가는, 불구경하는 소방관

sukrat 조회수 : 1,942
작성일 : 2011-12-12 10:19:23

 

미국 테네시 주의 한 외딴 농촌마을 이동식 주택에 불이 났다. 잠자던 주인이 일어났을 때 집 안은 이미 연기로 자욱한 상태였다. 겨우 몸을 추스르고 집을 탈출한 주인은 ‘911’에 화재 신고를 했다.

 

신고를 받은 인근 소도시 사우스풀턴의 소방대원들은 소방트럭 등 화재 진압장비를 모두 갖춘 상태로 즉각 현장에 도착했다. 하지만 출동과정에서 집주인 벨씨가 연간 75달러(약 8만6250원)의 소방 요금을 납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한 소방대원들은 차의 시동을 끄고 한가하게 도로 한편에 앉아 불구경만 했다. 불을 끄는대신 요금을 성실히 납부한 다른 이웃집에 불이 옮아붙는지만 면밀히 관찰했다. 벨 씨는 집과 가재도구가 잿더미로 사라지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

 

 

 

소방당국의 이 같은 조치를 두고 “소방관의 사명을 저버렸다”는 비판이 미국 내에서 일고 있다. 하지만 시의 태도는 강경하다.

20년 전부터 이 지역 사람들에겐 매년 75달러를 내고 사우스풀턴 시 소방 서비스를 이용하는 옵션이 있었다. 하지만 주민들 다수가 ‘설마 내 집에 불이 나겠느냐’는 생각에 요금을 내지 않았다. 벨 씨도 그중 하나였다.

돈을 내지 않은 집들 불마저 꺼주면 돈을 낸 집과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 시의 논리다. “예외를 인정해 주기 시작하면 누구도 돈을 내지 않을 것이고 주민들의 소방 요금이 없으면 소방서 운영을 할 수 없다. 다만 재산이 아닌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라면 요금 납부 여부에 관계없이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어떤 집주인은 “불만 꺼준다면 지금이라도 얼마든지 돈을 주겠다”고 애원했지만 소방관들은 끝까지 움직이지 않았다. 화재 현장에서 요금을 받기 시작하면 어느 누구도 연간 정액요금을 미리 내지 않을 것이란 논리였다.

 

순간적으로는 뭐 이딴 나라 이딴 정책 이딴 소방관이 다있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소방당국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매우 수긍이 간다. 소방세를 내지 않으면 소방서는 유지될 수 없다. 양심적으로 소방세를 내지 않은 주민의 1차적인 잘못이 만의 하나 자기 집에 불이 난 상황에 엄청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 것이다.

 

우리나라 소방관들은 박봉을 받고 목숨을 걸고 일을 한다. 화재 진압중 사고나 죽음에 이르러도 제대로된 보상을 받지 못한다, 그래서 때로는 시위도 벌어진다. 그러나 과연 정부만의 문제일까? 우리 정부가 미국처럼 원칙을 세우고 그대로 강경대응 한다면 우리 국민은 받아 들였을까?

 

IP : 180.182.xxx.4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12 10:29 AM (175.124.xxx.46)

    흥미로운 기사네요.
    소방요금도 내야 불꺼주는 나라, 걔네 괴롭겠다..소방보험회사네요.

  • 2. ...
    '11.12.12 10:37 AM (119.149.xxx.193)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 쥐새끼가 또 그거보고 배울까봐 겁나네요.
    민영화하자고 할까봐...

  • 3. 포실포실
    '11.12.12 4:38 PM (61.14.xxx.185)

    옳은 이야기긴 한데,
    '너무 자본주의적이다' 싶고,
    '소방도 민영화됐나?' 싶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740 뉴스타파 2 나무꾼 2012/01/29 1,285
64739 고가의 수입화장품 정말 좋은가요? 7 SK 222.. 2012/01/29 4,308
64738 경험많은 60세 의사에게 앞니성형맡기는거 별론가요? 14 나이많은치과.. 2012/01/29 3,162
64737 지방흡입술 받아보신분 계신가요? 13 ㅠㅠ 2012/01/29 5,685
64736 포이동 쪽 오피스텔 분위기는 어떤지 가르쳐 주세요... jane 2012/01/29 916
64735 남편에게 출산 장면을 보여주지 말라고 하던데 64 stylet.. 2012/01/29 37,086
64734 양문형 냉징고 1 wodyd 2012/01/29 1,073
64733 공부못하는 나라 /독일의 교육 12 ~~공부좀 .. 2012/01/29 3,082
64732 지역난방이 좋은가요? 1 이사 2012/01/29 1,617
64731 연말 정산에 관해 급한 질문 드립니다!! 3 급해요!! 2012/01/29 1,759
64730 1박2일 첫방송부터 보고 싶어요. 2 1박2일 2012/01/29 1,171
64729 결혼은 여자를 편하게 해주는 남자랑 해야 한다는데... 15 정말일까 2012/01/29 12,581
64728 소름끼치는 목사... 9 싫어요 2012/01/29 3,513
64727 오해 어느정도 풀어야 할까요? 4 오해 2012/01/29 1,537
64726 와이셔츠다리기가 너무싫어요 13 직장맘 2012/01/29 3,393
64725 일원동 마당있는 주택 전세 있을까요? 3 ... 2012/01/29 5,087
64724 친구집에 가서 자고 오는 경우가 많은가요? 9 중1 여학생.. 2012/01/29 3,561
64723 제가 강아지를 괜히 키우기 시작했나봐요. 11 괴로워요 2012/01/29 3,615
64722 그냥 궁금해서 여쭤봐요.. 39살인데 유치원 다녔던 분들 많으시.. 51 유치원 2012/01/29 7,928
64721 남편이 하는 말.. 4 ,, 2012/01/29 1,834
64720 스킨 추천해 주세요 5 지나 2012/01/29 1,690
64719 시부모님께 아이 낳기를 미루겠다고 얘기해도 될까요? 11 며느리 2012/01/29 2,384
64718 밥상에 먼지 앉지 말라고 덮는 그거... 2 ... 2012/01/29 2,577
64717 무슨 뜻인가요? 3 슬퍼요 2012/01/29 1,524
64716 아들 설겆이하는동안 며느리가 소파에서 tv보고 있으면 기분나쁜가.. 3 나라별 여자.. 2012/01/29 2,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