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사교육권에서 아이들을 가르쳐온 한 친구가 말하길 자기는 숙제를 안해오거나 쪽지시험의 목표점수를 못넘기면 그만큼 때린다고 한다. 부모님께 때려도 된다는 허락을 미리 받고 때린단다. 최고 한번에 한명에게 70대까지 때려봤다고 한다. 그러나 그 아이는 자기를 때린 선생을 고소하거나 그에게 대들지 않았다.
아이가 몇달이나 컨닝하는것을 선생님이 봐줬기 때문이다. 부모는 성적을 강요하고 시험을 못보면 안된다는 강박에 아이는 계속 컨닝을 했다. 그런데 선생이 모르니 기고만장해졌다. 그렇게 몇달이 흐른뒤, 선생님으로부터 편지를 받은것이다. 언제부터 어떻게 컨닝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고 이제는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니가 몇점을 맞아도 엄마에게 말하지 않겠다. 지금까지의 너의 행동도 말하지 않겠다는 내용이었다.
그 이후로 아이는 컨닝하지 않았다. 그리고 자기가 틀린 문제수만큼 맞았다. 그리고 마음을 열었다. 성적은 무섭게 올랐다.
지난 5일 인터넷 게시판에 고등학교 남학생과 여교사가 실랑이를 벌이는 영상이 전해져 논란이 일었다. 교사의 훈계를 친구들과 비웃거나 소리치면서 대드는 학생의 모습이었다. 무너진 교권에 대한 논란과 이어 체벌에 관한 논란이 일었다
‘사랑의 매’라는 표현처럼 아이들에게 필요한 매는 사랑이 수반된 매다. 체벌이 금지되어서 교권이 바닥에 떨어졌다고 말한다면 비약이고 핑계일 것이다. 체벌로 지지해야 할 만큼 교권은 연약한것인가? 교권은 매로만 잡히는 것은 아니다. 신문기사에 소개된것 같이 한 누리꾼의 의견처럼 “어떤 경우라도 학생들을 때려서 가르쳐야 할 대상으로 여겨서는 안된다”.
진리의 분명한 궤도를 알려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다. 그리고 선생의 역할이다.
요즘 초등학교에 가보면 지역에따라 다르지만 30%정도는 한부모 가정이거나 위탁시설에 있거나 조부모와 살고 있다고 한다. 가정이 1차적 교육의 역할을 하지 못하니 아이들은 그 스트레스를 가진 채로 학교에 온다. 공교육은 스트레스로 곧 폭발할 것 같은 아이들에게 2차적인 교육의 역할을 다해주지 못한다.
오죽하면 사교육에서 아이들을 북돋아주고 공부를 가르치고 비전을 심어주는 형태로 발전하는가.
한사람의 인간이 건강하게 자라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의 노력과 외부적 환경 두가지가 다 조화롭게 발전되어야 한다. 한가지가 부족해도 다른 한가지가 매우 강하다면 극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사람을 “위인”이라고 한다. 우리는 모두 평민이다. 그래서 선생님이 필요하다. 부모님이 필요하다.
누구만의 잘못도 아니다. 부모가, 교사가, 그리고 아이가. 그들이 모인 사회가
모두다 어느만큼씩 잘못했다. 그러니 탓하지 말고 모두가 반성하고 개선해야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