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산후조리원 vs 산후도우미 + 친정엄마 도움.. 어떤게 좋을까요?

끝없는 고민.. 조회수 : 4,149
작성일 : 2011-12-08 11:48:07

아직 애 낳으려면 많이 남았지만 산후조리원에서 하려면 미리 예약을 해야 하니까 벌써부터 고민을 하게 됩니다.

 

산후조리원에서 2주 + 산후도우미 2주 이렇게 할지

산후도우미 + 친정엄마 도움 4주 이렇게 할지..

 

장단점은.

1. 산후조리원 : 장점 : 편하다. 집근처와 남편직장 근처 (서울)에서 지낼수 있다.

                       단점 : 좀 심심하다. 비싸다 (산후조리원 간다면 허접한데 있고 싶진 않고 괜찮은데 하려면 적어도

                       300 + 산후도우미 2주 비용 합쳐서 400은 들듯)

2. 산후도우미 + 친정엄마 도움 :

                        장점 : 심심하지 않다. 싸다 (200이면 될듯.. 친정엄마는 돈이 많으시니 굳이 돈 많이 안드려도 될듯)

                        언니네도 근처에 살고 있어서 언니네랑도 왕래하며 재밌게 지낼듯.

                        단점 : 친정이 지방이라 멀어서 애 낳는 것부터 친정근처 내려가서 해야 할 듯.. 낳고 한달간은 남편과 떨

                         어져 지내야 됨 (중간에 남편 휴가 1주일 정도 쓸 수 있고 주말에 올 수 있으니 괜찮을 듯도 하고..)

                         엄마와 산후도우미가 해준다고 해도 많이 전문적이진 않음..

 

어떤게 나을까요?

 

돈만 많다면야 굳이 친정에 내려갈 필요가 없는데..

내년에 전세 재계약하려면 몇천도 들어갈거고 (전세가가 많이 올랐어요)

부모님들 환갑때도 몇백깨질테니 돈때문에 고민입니다.

벌써부터 시어머니는 산후도우미도 좋다며 산후도우미 부르라고 난리십니다.

사실 제가 시어머니 눈치를 많이 보는 타입은 아닌데

스스로 생각하기에도 돈이 걸리니까... 큰소리 떵떵치며 산후조리원 들어갈 수 있을까.. 싶네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IP : 121.88.xxx.241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콩나물
    '11.12.8 11:50 AM (218.152.xxx.206)

    무조건 산후조리원 가세요!

    가서 애 많이 안아주지 마세요 애들 잘 몰라요.
    비싼만큼 암것도 안하시고 책도 읽지 마시고, TV도 보지 마시고(눈 나뻐져요)

    오로지 먹고 자고 푹 쉬셔야 해요.
    밤에 수유 하지 마시고 아이 끌어안고 잔다던가 하지 마세요.

    무조건 산후 조리원에서 아이랑 떨어져서 본인만 챙기세요.
    밤에 푹 주므시고요.

    조리 끝나고 나선 님이 감히 상상도 못한 세계에 대비 하세요!!

  • 2. 고민필요없이
    '11.12.8 12:09 PM (220.118.xxx.142)

    첫째면 조리원가세요.
    친정엄마 일주일 정도는 잘 봐주시다가 시간 지나면
    옛날사람들은 오전에 아이 낳고 밭 메러 나갔다 할겁니다.

  • 3. 원글
    '11.12.8 12:16 PM (121.88.xxx.241)

    엄마만 봐주는 게 아니라 산후도우미도 부를건데도 힘들까요?

    출퇴근으로 부를건데..

    아 돈 때문에 너무 고민이되네요.

  • 4. 흠..
    '11.12.8 12:55 PM (202.30.xxx.156)

    두가지 모두 해야할겁니다.
    산후조리원 2주로 조리 안됩니다.
    전 2주 있다 나와서 산후도우미 부르고 밤에는 친정부모님과 함께 있었거든요.
    그래도 무지 힘들었네요. 애고..

    산후조리원 전혀 안심심합니다. ^^ 산모들과 시간 보내다보면 시간 금방갑니다.
    전 산후조리원 생활이 너무 좋았거든요. 외국 여행 이런거 보다 더 좋았네요.
    맨날 마사지 받고 3끼 밥 맛있게 나오고.. 혼자 편하게 쉬고.. 아기 보고 싶을때보고..
    걱정할 거 하나도 없다가..
    나오면서 힘들더군요.
    친정어머니 힘들다고 하면 비위 맞추어 드려야 하고..
    산후도우미도 좋아봤자 내 맘대로 안해주구요.. ^^

  • 5. 산후조리원 강추
    '11.12.8 1:05 PM (123.108.xxx.58)

    제 형님의 경우 산후 조리원 2주 있다가 친정에서 4주 계셨는데
    저희 시어머니 그 고생을 이루 말할 수 없다 하시네요
    자식도 자식이거니와 매주 오는(그 쪽도 주말에 아주버님이 오셨거든요) 사위 뒷수발은 더더욱 힘들었다 회상하시던데..
    그리고 윗분들 말처럼 산후도우미는 정말 복불복이라서
    저는 그냥 보통은 되는 산후조리원이 나을 것 같네요

  • 6. ...
    '11.12.8 2:03 PM (110.12.xxx.223)

    제일 몸편하고 맘편한건 조리원이예요.

  • 7. 조리원
    '11.12.8 3:15 PM (115.137.xxx.200)

    조리원이 편하긴 해요. 집에서 조리하면 남편 수발은 결국 님 차지...
    조리원은 나와 아이를 돌봐주는 호텔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심심하긴요, 배꺼질만 하면 밥주고 간식주고, 옷 싹 빨아주고, 간간이 프로그램 있고
    계속 애 젖주고 하면 심심할 틈이 없어요.
    그리고 애 낳고 가면 한달 정도는 외부인 들락거리면 안좋아요. 언니라두요.
    그때는 신경이 예민해서 언니나 엄마라도 사이좋게 지내긴 힘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281 이거 칭찬이에요? 6 삐리리 2012/02/16 1,516
72280 새누리, 중진 다수 공천신청 "용퇴는 없다" .. 2 세우실 2012/02/16 712
72279 알류미늄성분(?)이 들지않은 베이킹파우더 어디서살수있나요? 5 베이킹파우더.. 2012/02/16 1,823
72278 이봐--콜록 789 !! 3 꽈기 2012/02/16 842
72277 우리몸에 대변이 이렇게 많이 있나요??(병원에서~) 4 ㅡㅡ 2012/02/16 3,295
72276 어쩜 4년동안 한번을 같은반이 안될까요^^ 2 초등절친 2012/02/16 1,376
72275 수 놓으시는 분들~ 14 궁금 2012/02/16 1,818
72274 새로 이사합니다..자녀방 문제... 4 연년생남매 2012/02/16 1,186
72273 디지털 도어락 어느 제품이 좋은지요? 1 궁금 2012/02/16 1,510
72272 동업하려고 하는데.. 후라이팬재코.. 2012/02/16 768
72271 길에다 쓰레기 버리는 초중고대딩들 어떡합니까 11 가정교육 2012/02/16 1,194
72270 지방 맘이에요. 서울대공원 질문있어요 12 ㅋㅎㅋ 2012/02/16 2,517
72269 5세 아들이 자다가 코피를 흘려요.같은 경험 있으신가요 6 왜 그럴까요.. 2012/02/16 3,820
72268 흥신소이용해 바람난남편과 상대녀 뒷조사 해보신분 3 흥신소 2012/02/16 5,843
72267 나경원과 이정희 의원... 1 콜록789 2012/02/16 935
72266 소이현씨 쇼핑몰 이용하는분 계세요??(단지 궁금해서) 2 혹시 2012/02/16 1,949
72265 생리때 빈혈에는 소고기 무국이 특효 5 정보 2012/02/16 3,749
72264 기숙사들어간 딸 몇일에 한번 통화하나요? 13 엄마 맘.... 2012/02/16 1,750
72263 일반세탁세제 드럼세탁기에사용해도되나요? 5 궁금 2012/02/16 5,069
72262 초5 영재학급 넘 고민되요 5 왕 소심맘 2012/02/16 3,311
72261 '식용유 치즈' 쓴 유명 피자업체 적발 ..... 2012/02/16 1,156
72260 코감기가 안 나아요... ㅜㅜ 2012/02/16 1,142
72259 좋은 소식이네요.. 콜록789 2012/02/16 1,282
72258 아이폰쓰시는 분들, 음악어플 뭐쓰세요? 2 결정 2012/02/16 1,348
72257 아이 첼로 강습을 알아 보는데 선생님마다 첼로 사이즈에 대한 말.. 1 첼로강습 2012/02/16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