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산후조리원 vs 산후도우미 + 친정엄마 도움.. 어떤게 좋을까요?

끝없는 고민.. 조회수 : 4,216
작성일 : 2011-12-08 11:48:07

아직 애 낳으려면 많이 남았지만 산후조리원에서 하려면 미리 예약을 해야 하니까 벌써부터 고민을 하게 됩니다.

 

산후조리원에서 2주 + 산후도우미 2주 이렇게 할지

산후도우미 + 친정엄마 도움 4주 이렇게 할지..

 

장단점은.

1. 산후조리원 : 장점 : 편하다. 집근처와 남편직장 근처 (서울)에서 지낼수 있다.

                       단점 : 좀 심심하다. 비싸다 (산후조리원 간다면 허접한데 있고 싶진 않고 괜찮은데 하려면 적어도

                       300 + 산후도우미 2주 비용 합쳐서 400은 들듯)

2. 산후도우미 + 친정엄마 도움 :

                        장점 : 심심하지 않다. 싸다 (200이면 될듯.. 친정엄마는 돈이 많으시니 굳이 돈 많이 안드려도 될듯)

                        언니네도 근처에 살고 있어서 언니네랑도 왕래하며 재밌게 지낼듯.

                        단점 : 친정이 지방이라 멀어서 애 낳는 것부터 친정근처 내려가서 해야 할 듯.. 낳고 한달간은 남편과 떨

                         어져 지내야 됨 (중간에 남편 휴가 1주일 정도 쓸 수 있고 주말에 올 수 있으니 괜찮을 듯도 하고..)

                         엄마와 산후도우미가 해준다고 해도 많이 전문적이진 않음..

 

어떤게 나을까요?

 

돈만 많다면야 굳이 친정에 내려갈 필요가 없는데..

내년에 전세 재계약하려면 몇천도 들어갈거고 (전세가가 많이 올랐어요)

부모님들 환갑때도 몇백깨질테니 돈때문에 고민입니다.

벌써부터 시어머니는 산후도우미도 좋다며 산후도우미 부르라고 난리십니다.

사실 제가 시어머니 눈치를 많이 보는 타입은 아닌데

스스로 생각하기에도 돈이 걸리니까... 큰소리 떵떵치며 산후조리원 들어갈 수 있을까.. 싶네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IP : 121.88.xxx.241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콩나물
    '11.12.8 11:50 AM (218.152.xxx.206)

    무조건 산후조리원 가세요!

    가서 애 많이 안아주지 마세요 애들 잘 몰라요.
    비싼만큼 암것도 안하시고 책도 읽지 마시고, TV도 보지 마시고(눈 나뻐져요)

    오로지 먹고 자고 푹 쉬셔야 해요.
    밤에 수유 하지 마시고 아이 끌어안고 잔다던가 하지 마세요.

    무조건 산후 조리원에서 아이랑 떨어져서 본인만 챙기세요.
    밤에 푹 주므시고요.

    조리 끝나고 나선 님이 감히 상상도 못한 세계에 대비 하세요!!

  • 2. 고민필요없이
    '11.12.8 12:09 PM (220.118.xxx.142)

    첫째면 조리원가세요.
    친정엄마 일주일 정도는 잘 봐주시다가 시간 지나면
    옛날사람들은 오전에 아이 낳고 밭 메러 나갔다 할겁니다.

  • 3. 원글
    '11.12.8 12:16 PM (121.88.xxx.241)

    엄마만 봐주는 게 아니라 산후도우미도 부를건데도 힘들까요?

    출퇴근으로 부를건데..

    아 돈 때문에 너무 고민이되네요.

  • 4. 흠..
    '11.12.8 12:55 PM (202.30.xxx.156)

    두가지 모두 해야할겁니다.
    산후조리원 2주로 조리 안됩니다.
    전 2주 있다 나와서 산후도우미 부르고 밤에는 친정부모님과 함께 있었거든요.
    그래도 무지 힘들었네요. 애고..

    산후조리원 전혀 안심심합니다. ^^ 산모들과 시간 보내다보면 시간 금방갑니다.
    전 산후조리원 생활이 너무 좋았거든요. 외국 여행 이런거 보다 더 좋았네요.
    맨날 마사지 받고 3끼 밥 맛있게 나오고.. 혼자 편하게 쉬고.. 아기 보고 싶을때보고..
    걱정할 거 하나도 없다가..
    나오면서 힘들더군요.
    친정어머니 힘들다고 하면 비위 맞추어 드려야 하고..
    산후도우미도 좋아봤자 내 맘대로 안해주구요.. ^^

  • 5. 산후조리원 강추
    '11.12.8 1:05 PM (123.108.xxx.58)

    제 형님의 경우 산후 조리원 2주 있다가 친정에서 4주 계셨는데
    저희 시어머니 그 고생을 이루 말할 수 없다 하시네요
    자식도 자식이거니와 매주 오는(그 쪽도 주말에 아주버님이 오셨거든요) 사위 뒷수발은 더더욱 힘들었다 회상하시던데..
    그리고 윗분들 말처럼 산후도우미는 정말 복불복이라서
    저는 그냥 보통은 되는 산후조리원이 나을 것 같네요

  • 6. ...
    '11.12.8 2:03 PM (110.12.xxx.223)

    제일 몸편하고 맘편한건 조리원이예요.

  • 7. 조리원
    '11.12.8 3:15 PM (115.137.xxx.200)

    조리원이 편하긴 해요. 집에서 조리하면 남편 수발은 결국 님 차지...
    조리원은 나와 아이를 돌봐주는 호텔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심심하긴요, 배꺼질만 하면 밥주고 간식주고, 옷 싹 빨아주고, 간간이 프로그램 있고
    계속 애 젖주고 하면 심심할 틈이 없어요.
    그리고 애 낳고 가면 한달 정도는 외부인 들락거리면 안좋아요. 언니라두요.
    그때는 신경이 예민해서 언니나 엄마라도 사이좋게 지내긴 힘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724 압구정초,중,고 어떨까요? 7 이사 2012/03/20 3,690
85723 백지영 얼굴 한창 이뻤는데 지금 안타깝네요. 12 안타까워 2012/03/20 11,099
85722 박진영이 말하는 박재범의 잘못이라는 거 아무것도 없을거 같아요 10 ... 2012/03/20 5,381
85721 티팟 좀 찾아주세요.. 제발.. 2012/03/20 1,356
85720 박근혜 대신 박지만이 대선 출마해라 (펌) 8 맞어 2012/03/20 1,624
85719 닉네임 sy ( 116.45.xxx.17 )의 글에 댓글 달아주.. 1 알바.. 2012/03/20 1,974
85718 체하면 두통이 반복적으로 생기나요? 11 두통? 2012/03/20 5,395
85717 학교폭력은 여전합니다. ... 2012/03/19 1,491
85716 컴푸터운영체게가 비스타예요 8 비스타는 괴.. 2012/03/19 1,386
85715 이정희 실망스러워서 비례대표 통합진보당 표 안줄 겁니다 58 소탐대실 2012/03/19 4,023
85714 판교에 월든힐스나 그근방 타운하우스 살기 어떨까요? 1 아이둘 2012/03/19 4,773
85713 콘도같은집,,으로 하려다가~~ 2 // 2012/03/19 3,853
85712 남의 물건 함부로 만지는 아이에게 14 예의 2012/03/19 5,092
85711 경희대국제캠퍼스 다니는 따님 방 구하시는 분 계신가요? 혹시 2012/03/19 1,847
85710 6살아이 미술때문에 너무 속상해요..ㅠ.ㅠ 7 상처받았어요.. 2012/03/19 2,841
85709 혹시 유아기 성장통에 대해 아시나요? 급해요 ㅡㅜ 4 아이가 울어.. 2012/03/19 2,994
85708 네이버 블로그 임시 차단 가능한가요?? 1 ... 2012/03/19 1,695
85707 나는 야구선수와 결혼했다.. 1 ,,, 2012/03/19 2,378
85706 70세 할머니(글 모름)가, 아들 이혼하고 손자,손녀 키워야 하.. 4 ,, 2012/03/19 2,636
85705 야당이 수도권 이겨도 새누리가 1당 가능성 높아 5 정권교체 2012/03/19 1,484
85704 스폰지는 어떻게 버려야되나요? 산국 2012/03/19 3,570
85703 영어해석 좀 부탁드려요 3 영어해석 2012/03/19 1,204
85702 일본 모스버거 한국 상륙 12 마루타 2012/03/19 5,290
85701 진중권 "김종훈 강남을, 조선일보도 비웃더라".. 5 prowel.. 2012/03/19 2,539
85700 선물로 뭘 드리는게 좋을까요? ㅎㅎ 2012/03/19 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