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보통 손녀딸은 장손 대접 안해주나요?

나거티브 조회수 : 3,821
작성일 : 2011-12-08 10:55:14
다른 글 읽다가 갑자기 든 궁금증입니다.

아버지가 장남이시고, 제가 첫째예요.
어렸을 때 장손 대접 나름 서운하지 않게 받았거든요.
대접이라는 게 별건 아니고
집안 행사 때 할머니 옆에서 식사하고,
따로 준비된 내가 좋아하는 음식,
나만 받은 새 한복.
제사, 차례 때는 아버지 옆에서 이것저것 배우고...
구체적으로 딱 찍어서 얘기할 건 많지 않지만 
좋은 대우를 받았다는 건 확실해요.


방학 때 시골 가면,
할머니가 장날이나 집안대소사(집성촌)에 데리고 다니시면서
우리집 장손이라고 항상 소개하셨어요.
아무도 뭐라 했던 기억이 없거든요.

지금도 장손녀는 저, 장손자는 사촌동생...






IP : 118.46.xxx.91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8 10:57 AM (110.13.xxx.156)

    장손이 아니잖아요? 옛날에는 딸은 출가 외인인데 아버지 옆에서 이것 저것 배우라 해봤자 남의집 며느리라는 인식이 강했던거 아닌가요? 할머님이 깨인분 같네요

  • 2. 나거티브
    '11.12.8 11:06 AM (118.46.xxx.91)

    제 할머니는 그냥 시골할머니셨어요.
    남자형제들 사이의 고명딸이라 조선에 둘도 없는 귀한 딸로 크셨다고 하시긴 했어요.
    여자형제 없어서 아쉬워서 그러셨는지 조카, 손녀딸 할 것 없이 여자아이들을 굉장히 예뻐하신 건 맞아요.
    다만 다른 집안어른들도 비슷한 분위기라...

    사실 친구들은 비슷한 경험 있다는 경우를 잘 못봐서요.
    일단 장남의 장녀 조건에 충족하는 애들도 별로 없어요.

  • 3. ..
    '11.12.8 11:08 AM (112.153.xxx.24)

    보통의 대우는 아니었던것 같아요..

    할머니께서 귀한딸로 크셨으니 그렇게 대우해주셨나봐요..

    장손은 그 집안의 손을 잇는 다는 의미가 크니까

    다른집에 시집가는 딸을 장손대우 안하죠..

  • 4.
    '11.12.8 11:15 AM (175.213.xxx.61)

    장손이라는 제도는 별로 좋아하지않지만..
    장손이라는 의미자체가 대를 잇고 윗대의 제사를 주도하여 지내고 그런의미에서 대접을 받는거지요
    단순히 제일 큰 자식이라는 의미는 아닌거같아요
    가정마다 풍습이 조금씩다르듯이 원글님 댁 할머니가 좀 특이하신 경우고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인 장손의의미는 대를 이어 제사를 지내줄 큰아들을 의미하죠
    나 죽은뒤 제삿밥 차려줄 자식이므로 대우가 조금 달라지긴하겠지만 그게 과연 옳은처사인가는 아직도 의문입니다

  • 5. 맏이 대접을
    '11.12.8 11:15 AM (211.184.xxx.94)

    확실하게 받으셨네요.
    근데 태어난 순서에 상관없이 큰집 큰아들의 첫째 아들이 장손 아닌가요

  • 6. peace
    '11.12.8 11:17 AM (14.33.xxx.72)

    일반적으로 장손은= 맏손자, 즉 남자만 해당되는 이야기지요.

    여자한테 장손이라고 부르는 경우는 못봤는데

    원글님은 할머님께 특별히 사랑받으셨나봅니다.

  • 7. ...
    '11.12.8 11:20 AM (222.106.xxx.124)

    윗분들 말씀대로 제를 지내줄 큰 아들의 큰 아들이 장손이죠.
    큰 아들의 큰 딸은... 일꾼이죠. -_- 손주들 중에서 제일 나이 먹은 여자인데, 그 손을 놔뒀겠나요.
    일찍부터 전부치고 살림에 동원되죠. 젠장...

  • 8. 복이시네요
    '11.12.8 11:23 AM (220.118.xxx.142)

    장손이라는 단어도 역사속으로 묻히겠군요.
    8남매가 그 장손이라는 존재로 어려서부터 젖도
    빼앗기고 줄줄이 차별을 당해온 집안이 있어
    그 장손이라는 단어는 별로 좋아보이지 않아요.
    성만 아버지지 어머니 더 닮은 딸,아들 아버지 더 빼닮
    은 딸,아들 각양 각색인데 그저 가운데다리 달렸다는
    이유로 그 씨가 그씨라는 보장이 어딨나요?
    능력되고 모실 수 있는 분이 모시면 되는것이고 고정관념은
    피곤합니다. 역대 왕들도 장손과 상관없이 되신분들도 많구요.
    능력있슴 여자분이 장손역할 할 수도 있지요. 현재 그러신 분도 계시고요

  • 9. 복이시네요
    '11.12.8 11:24 AM (220.118.xxx.142)

    저희 친정엄마가 그런 관심속에 자랐어요. 8남매인데도 특히 할머님의
    사랑 독차지해 자랐다고 하더군요. 밥안먹고 학교가면 도시락 싸들고
    학교까지 찾아오시는 분이셨다고 해요.

  • 10. ..
    '11.12.8 11:25 AM (61.98.xxx.189)

    대접??대우???

  • 11. ..
    '11.12.8 11:49 AM (211.36.xxx.111)

    제가 맏며느리인데 딸만 하나에요 남편이 맏아들의 맏아들의 맏아들이구요.ㅋ
    그래도 저희 시부모님 그것 가지고 가타부타 얘기 없으셨구요.
    대체로 딸이 귀한 집안이고 집안의 첫 손주라서
    제 딸이 조부모에게나 작은 아버지들께 두루두루 귀함을 받고 컸지요.
    그래선지 본인도 내가 집안의 맏이라는 의식이 무척 강했는데
    어느 명절날엔가 모처럼 오신 작은 어머니(딸에겐 작은 할머니)가 제 동서네 아들내미한테
    우리집 장손이라며 남자 어른들 곁에서 같이 식사하라고 자꾸 부르시는 거에요.
    물론 그 분 눈엔 나름 자기가 이 집 대들보라고 여겨왔던 제 딸래미는 보이지도 않았겠지요.
    아마 그게 큰 충격이었던 것 같아요. 지금도 두고 두고 그 얘기를 하네요.
    정작 우리집에선 그런 차별 없이 키우는데 항상 곁가지들이 와서 물을 흐리더라구요.
    지금도 제가 시부모님께 고맙게 생각하는 건
    손녀딸들을 출가외인 될거라고 열외시키지 않으시고 공평하게 이 집안의 자손으로 대우해 주시는 거에요.
    물론 그 자식들인 저희 내외나 작은집들도 앞으로 그러할 거구요.

  • 12. 은현이
    '11.12.8 11:51 AM (124.54.xxx.12)

    우리 큰애가 다른 애들보다 나이차가 많아서 그런지 딸이라도 장손 역할 합니다.
    제사 모실때도 같이 하고 시부모님들도 가장 많이 생각하시는 편이구요.
    전 그런것 달갑지 않아요.
    형님 눈치도 보이구요.
    큰애도 어른들이 많은 기대를 한다는걸 아니까 용돈 많이 받는 것은 좋아 하지만 부담 스러워 하구요.
    저번에는 저에게 '엄마 난 월급 타면 빗 갚느라 허리 휘겠다' 하는걸 보니
    좋지만은 않은가 봅니다.

  • 13. 나거티브
    '11.12.8 12:27 PM (118.46.xxx.91)

    음... 집안의 특이한 정서인가보네요.
    아버지 고향이 집성촌이라 촌수상으로 가깝지 않은 집안어른들도 비교적 자주 보고 자랐는데
    할머니 외에도 딸을 두고 대놓고 남녀차별하는 건 못봤거든요.
    고모부, 고모할아버지들도 지금 기준으로 봐도 처가에 아주 잘하셨고...
    그냥 제가 장손인 줄 알고 컸어요.


    장손이라고 대접도 잘 받았지만, 부담감도 심하긴 했어요.
    꽤 어렸을 때도 고시패스하도 하여 입신양명 해야하는데 능력 부족이라 고민도 하고,
    집안 땅 팔아야 하는데 제가 장손이라고 초등생인 저 앉혀놓고 아버지가 상의하시고,
    결혼적령기 즈음 까지도 부모님이 데릴사위 데려올 수 있으면 데려오라고 하셨거든요.
    돈 있는 집도 아니고, 명예 있는 집도 아니고, 하다못해 제가 능력이 좋은 것도 아니고, 연애라도 제대로 하는 게 아닌데 뭘 믿고 데릴사위를 바라셨는지 ㅎㅎㅎ
    지금도 집안행사에 목돈이라도 턱턱 내놓지 못해 미안하고, 애 조금 더 크면 종친행사가서 일이라도 열심히 해야할 것 같은 부담도 있어요.

    제사는 어머니가 없애셨으니 벌초 때 갈퀴질이라도 열심히 해야겠어요.

  • 14. 김씨
    '11.12.8 12:39 PM (218.52.xxx.213)

    아마 아까 제 글 읽고 그런 생각이 드셨나봐요. 남매 아들 어쩌고 하던.ㅎㅎ

    저희딸도 양가에서 첫손주-그것도 아이가 잘 안들어서다 생긴 경우라-이고
    시동생들도 한참 있다 결혼들을 해서
    아주 몇 년 동안 양가에서 독보적으로 혼자 귀여움 받으면서 자랐어요.

    저희 시댁도 아직 첫 손주라고 이래저래 대접은 해주세요.
    하지만 장손은 또 따로 있구요.(=저희 아들)
    저희집 아이들은 첫 손주, 장손 이래서 나름 혜택을 받은 셈이에요.
    여튼 나거티브님 조부모님들이 그 시대에 상당히 깨이고 멋진 분들이셨네요.
    흔하지는 않은 케이스지요.

  • 15. sweet_hoho
    '11.12.9 11:48 PM (218.52.xxx.33)

    저도 그 비슷한 대접 받으며 살았어요.
    딸 귀한 집에서 몇 대만에 태어난 딸이고, 할머니가 제 아빠를 어려워하고 자랑스러워 하셨었거든요.
    그래서 저도 첫 아이 대접 톡톡히 받으며 컸어요. '장손'이라는 단어도 ㅎㅎ
    제 아래로 작은 집들에도 주르륵 딸 태어나서 딸이 귀한 상황도 끝나고, 다른 집에 아들 하나 태어나긴 했는데도 할머니가 저만 챙기셔서 제가 작은 엄마 눈총을 좀 받았었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767 아이친구가 서울대에 합격했어요. 27 이런마음이.. 2011/12/12 14,347
47766 “한·미 FTA 4월총선 쟁점 피하려 한국, 미국에 새해 1일 .. 3 세우실 2011/12/12 1,585
47765 자녀교육이나 체력관리로 유명한 블로그 알고싶어요 헬프미 2011/12/12 1,351
47764 결혼 8개월 밖에 안됐지만.. 아줌마가 되어가는게 느껴지네요.... 6 아줌마 2011/12/12 2,329
47763 용인근처 미용실 추천해주세요. 골룸 2011/12/12 1,440
47762 아이가 담배를... 11 땡비맘 2011/12/12 3,330
47761 새로나온 떠먹는 요구르트 yaani 2011/12/12 1,261
47760 8일된 아기 햄스터 엄마가 죽었어요..ㅠㅠ 4 햄스터.. 2011/12/12 3,798
47759 초4 집에서 공부 어떻게 봐 주시나요? 1 쌍둥맘 2011/12/12 1,605
47758 한국 산업 기술 대학교는 어떤지? 3 대학질문.... 2011/12/12 2,145
47757 좋은쪽만으로 생각한다는 우리 올케... 7 시누이 2011/12/12 2,990
47756 초등 1학년 낼 눈썰매 타러가는데 옷 어떻게 입혀야 할까요?? 3 고민 2011/12/12 1,628
47755 방금 뭔가가 후딱하고 지나갔는데..... 6 jk 2011/12/12 3,474
47754 초등아이 50점 받아와도 내버려두실분? 19 어디에한표 2011/12/12 3,569
47753 아이들 방학대비 뭐 준비하신거있으신가요? 5 방학 2011/12/12 2,068
47752 숭실대학이 어떤가요?? 4 ... 2011/12/12 3,644
47751 전세도 공동명의로 해야할까요? 6 공동명의 2011/12/12 5,005
47750 애가 비염. 감기. 폐렴...홍삼 효과가 있을까요? 걱정 2011/12/12 1,894
47749 주변에 종편 방송 보는 사람있어요? 10 sfd 2011/12/12 2,600
47748 4시 5시 ..애들 밥 주는데 맞추는 엄마.. 6 화합 2011/12/12 3,068
47747 지금..김미화의 여러분에 유시민 대표님 나오시네요~ 1 주목 2011/12/12 1,516
47746 30대후반 뭘 사용하면 좋을까요? 1 미샤...... 2011/12/12 1,644
47745 펌)삽질의 재앙: 토지 주택, 정책 주택금융,전력, 도로부채- .. sooge 2011/12/12 1,534
47744 프랑스는 110볼트 쓰나요? 아니면 220볼트 쓰나요? 2 .... 2011/12/12 3,279
47743 자궁내벽이 얇으면 5밀리 ㅠ.ㅠ 착상이 정말 안될까요? 3 임신소망 2011/12/12 3,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