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밑에 중등아이들 공부질문글 보구요. 초등아이도 질문

난몰라 조회수 : 1,730
작성일 : 2011-12-07 21:30:39

해도 될까요.

주옥같은 댓글들을 하나하나 입벌리고 읽다보니 혹 고수님들의 조언 한자락 받을 수 있을까 하는 소망이 용솟음칩니다.^^  울 아들 초4인데 학습습관 매우 잘되어있고 열심히 하는편이얘요.

 책도 매우 좋아하고 암튼 단순암기보다 이해력, 창의력쪽이 좋은 편이구요.

 학원 한번도 안가고 학습지도 해본적 없구요.

초3까지는 거의 올백이나 전체 하나,둘 틀려오고 영재학급도 사교육 전혀없이 합격하더니만  초4되어서는 평균 95를 못넘네요ㅜ.ㅜ  특히 국어, 사회가 구멍이예요.

2학기에 들어와서부터는 이대론 안되겠다싶어 싶어 시험공부를 시켰어요.

10일정도 시험공부를 하는데 암기력보다는 이해력이 앞서는 아이라 먼저 교과서 꼼꼼히 한번 읽고 개념정리를 한후 문제를 인터넷에서 다운받아서 과목당 10장 정도 풀렸거든요.(단원별로 2-3장 정도 푸는셈?)

집에서 할때는 거의다 맞는데 왜! 왜! 학교시험에서는 늘 구멍투성이일까요.

 이번 기말고사에도 집에서 문제풀때는 거의 100점이라 나름 자신감이 넘쳤는데 결과는 국어3개, 사회 4개나 틀려왔네요.

수학, 과학, 영어는 100이구요.

도대체 울아들은 뭐가 문제인걸까요? 시험공부시간이 너무 적어서? 아님 공부양이 너무 적어서? 

전체적인 큰그림을 잘 못보거나 이해력이 부족해서? 

아직 어리니 그정도로 그냥 만족해도 될까요? 아님 뭘 더 보충해줘야 할까요?

본인은 제일 좋아하는 과목이 사회라네요. 재미있대요. 그런데 왜 사회과목 시험을 제일 못보는걸까요? 
며칠전 답답한 맘에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했는데 선생님도 평소에 학습력이 매우 좋아서 조금만 더 치고올라가면 올백도 가능할것 같은데 항상 시험점수가 약간씩 아쉽다고 하시네요.

이런 아이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런 고민 하기에 아직은 어린가요? 이런 아이도 나중에 더 잘할 수 있을까요?

IP : 175.198.xxx.24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7 9:44 PM (118.41.xxx.83)

    초등 백점 안맞아도 되요..백점맞으려고 애 달달 볶지마시고 그냥 길게보고 영어 수학 심화로 시키세요.주위에 학교공부는 올백인데 나중에 영어를 다른애들에 비해 수준미달?이라서 고생하는경우도 많이 봤어요.
    그정도면 상위권인거고 초등때 영어 어느정도 잡아놔야 나중에 편해요..그리고 독서 꾸준히 하게 하구요.

  • 2. 난몰라
    '11.12.7 10:09 PM (175.198.xxx.247)

    글쿤요. 역시 공부양이 적은거군요. 아이는 평범한대 공부는 천재들이나 하는것처럼 조금 시켜놓고 결과는 많은걸 바랬나봐요.
    님 문제집 디립다 아니구요. 한과목당 10장 풀렸어요. 그러니까 사회 25문제씩 있는 시험지 10장 정도요. 이정도 풀면 디립다 푼건 아닌거 같은대요. 암튼 교과서를 더 많이 읽혀야겠네요.
    평소에는 수학, 영어, 독서 딱 이 세가지만 합니다. 공부는 장기전이라고 생각해서요. 하지만 막상 시험점수가 이러면 맘이 막 흔들리네요 ㅜ.ㅜ

  • 3. 책을 좋아하고
    '11.12.7 10:11 PM (203.228.xxx.129)

    잘 읽는다고 생각하시지만, 어떤 책을 어떤 방법으로 읽는 지 한번 확인해보세요
    그냥 글만 읽는게 아닐까요?
    독서습관이 잘 잡힌 아이들은 국어에 구멍이 별로 없고 쉽게 100점 받아오거든요
    이해력이 좋아서 다른과목까지 성적이 좋아지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문제 많이 푸는건 초등때는 아닌것 같아요

  • 4. 저 아래
    '11.12.7 11:31 PM (118.34.xxx.159)

    저 아래 중딩아이 질문한 사람입니다.
    저의 딸아이도 책 엄청 읽어도 국어 한 문제씩은 꼬옥 틀려와요
    지금도 그렇게나 책을 읽고도 국어 제대로 90넘겨 받기 힘들구요
    아이가 영어도 잘하고 언어감각도 있고 수학을 싫어해서 문과적 성향이구나 했더니 지금은 완전히 반대로 수학 과학은 잘보고 사회나 국어는 노력에 비해 영~ 아니올시다 입니다
    오늘 제가 글을 올리고 아이에게 물어봤어요
    아이는 그냥 무조건 닥치고 외우는게 편하지 왜 그럴까 생각하면서 외우면 짜증이 난다고 하네요
    역시 외우는게 쉬우니 이해하기보다는 외우는 쪽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인지 울 딸아이 초딩때 늘 사회는 100점이었어요
    한두번 빼고~
    즉 초딩사회는 암기만 제대로 해도 100점을 나올 수 있지만, 중딩은 그렇지 않거든요

    전 초4아들도 있지만, 이 녀석 누나랑 달리 공부하기 싫어해서 올 들어 한 번도 시험 준비를 시키지 않았습니다
    왜냐면, 하기 싫어하는 녀석 억지로 시켜봤자 남는 것도 없고
    그렇게 해서 시험 잘 보게 하고 싶지 않아서요
    초등은 그렇게 대강 개념 정리하고 문제만 풀어도 왠만하면 100점 맞아요
    근데 그게 가장 큰 독약이 될 수 있답니다
    제가 보기엔 원글님 아이의 공부방법의 문제는 교과서를 안 본다 인 것 같아요
    작년에 한 번 저의 아들 사회를 100점 맞은 적이 있는데요
    그게 제가 교과서를 딱 보니 중요한게 보이더군요(예~ 큰 아이 키워보니 둘째는 절로 알게 돼요^^)
    그래서 교과서를 펴 놓고 설명했어요
    왜 문제에서 이런 지문들이 나왔는지 교과서를 보면서 설명해줬어요
    그리고 정말로 외워야 할 것들 짚어주고~
    그랬더니 학년 평균 80인데도 울 아들은 100점 나오데요

    즉 제가 할려는 말의 요지는 초딩공부 중요하지 않다
    문제 많이 푼다고 좋은 것 아니다
    차라리 교과서를 펼쳐 놓고 같이 이해하면 된다 (사회는 교과서의 그림이 하나의 문제나 지문이 되더군요)

    그리고 그보다 더 좋은 것은 양질의 사회나 과학관련 책을 읽어본다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 더~
    저의 중딩 큰 아이도 책을 많이 읽었으나 그 책들을 연결을 못하고 작은 잡지식으로 많이 가지고 있어요
    초딩때 그리 역사책을 많이 아이가 원해서 읽었음에도
    아이는 역사적 사실을 잘 연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
    다른 아이들(저의 아이랑 비슷하게 많이 읽은 아이는 스스로 관련책도 찾아보고 백과사전도 찾아보고 해서
    권수는 적어도 훨씬 체계적으로 읽는 것에 비해 저의 아이는 그냥 다독이더군요
    그래서 10권 읽어도 남들 1권 분량도 안되는 습득을 해요 ㅋ

    이것도 사실 중딩 시험 보고 나서 원인을 파헤치다보니 알게 되었네요
    그러니 독서습관도 잘 보시고
    고쳐주라는 말이 아니라 아이가 저의 아이와 같은 성향이면 기대치를 내려놓고
    천천히 수정해주세요 파이팅!!!

  • 5. ..
    '11.12.8 7:44 AM (175.112.xxx.72)

    사회과목은 학습만화도 많이 도움이 됩니다.
    우리 애들은 사회 문제집 안풀어도 사회과목 점수 잘 나왔어요.
    책많이 읽는 아이들은 처음엔 점수 잘 안나와도 고딩되면 잘나옵니다.
    아이들은 믿고 기다려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064 피부질환 잘보는 병원 좀 추천 좀 해주세요.. 3 ,. 2012/02/01 907
66063 급하게 한복이 필요한데 싸게 구입할곳 어디일까요? 2 한복 2012/02/01 973
66062 여자나이 40대, 어떤 사회적 지위를 갖고 계신가요? 32 우리 2012/02/01 7,540
66061 챠일드 세이브-방사능을 걱정하는 카페 4 님들도 안들.. 2012/02/01 1,326
66060 책장을 주문해놓고왔는데... 1 은새엄마 2012/02/01 725
66059 쌍커플 재수술 하고 싶어요. ㅜㅜ ... 2012/02/01 1,582
66058 이런 우스운 일도 있었네요. 2 씁쓸한 헤프.. 2012/02/01 1,445
66057 이렇땐 어떠신가요 ? 친구의저건이.. 2012/02/01 662
66056 미샤 상설매장은 어디에 있나요? 3 미샤 2012/02/01 1,768
66055 환청/환시와 귀신들림의 차이점. 6 냠... 2012/02/01 6,576
66054 4계절중 겨울은 없었으면 좋겠어요 ............ㅠㅜ 14 mmmm 2012/02/01 2,358
66053 집에 손님 오는 거 어떠세요? 11 2012/02/01 4,513
66052 [원전]일본산 냉동고등어·냉장명태서 세슘 또 검출 2 참맛 2012/02/01 1,298
66051 박근혜, 기자들 향해 “촉새가 나불거려서…” 세우실 2012/02/01 2,251
66050 시립도서관예약도서 2 나이듦 2012/02/01 931
66049 5세여아 책 추천해주세요. 1 책읽어주자 2012/02/01 965
66048 자녀가 선천성 갑상선 질환인 분 계신가요? 1 에구 2012/02/01 1,357
66047 세계 최대 이단 사이비 종교의 몰락! safi 2012/02/01 1,376
66046 어제 백분토론 보다 궁금해서요.유지나 교수 원래 횡설수설하는 스.. 4 you 2012/02/01 2,399
66045 낼 손님이 오세요~ teresa.. 2012/02/01 1,120
66044 친정이 든든하신 분들, 남편이 함부로 못 하나요?,,,,,원글 .. 22 자존감 2012/02/01 5,552
66043 존경심 팍팍!! 4 남편 2012/02/01 1,300
66042 남자코트 댓글부탁 키작은사람 4 남자 2012/02/01 1,429
66041 잔병많은 4살 꼬맹이..면역력 강화에 무슨 음식이나 약이 좋을까.. 3 제이미 2012/02/01 1,891
66040 대파 화분에 심어놓고 먹으려고 하는데요, 흙 뭍지 않은 대파는 .. 9 대파 2012/02/01 2,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