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딩의 경우 얼마나 선행을 해야할까요?

ㅂㅂ 조회수 : 1,878
작성일 : 2011-12-07 16:41:25

보통 1년 선행인가요?

예를 들어 학원 테스트를 볼경우 중2 1학기초에 본다면 범위를 중2 전체 과정으로 보게 되나요?

아니면 한학기 정도로 보게 되는지..

제가 학원테스트로 여쭤보는 이유는 전반적인걸 알고 싶어서에요.

아이에 따라 다르다라거나 선행의 폐해에 대한 말씀은 말아 주세요. 

나름대로 심화가 중요하다 생각하고 시류를 따르지 않았는데 후회 많이 하고 있어서요.엉~

IP : 116.33.xxx.6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것도
    '11.12.7 4:44 PM (14.52.xxx.59)

    학원마다 달라요
    대개의 경우 2-1학기에 시험을 본다면 자기학년걸 보고,그다음에 그 아이가 어디까지 나갔는지를 또 보기 쉬워요
    자기학년도 점수가 안 나오면 안 받을수도 있고,내려가서 배울수도 있고,자기학년 기초반에 넣을수도 있죠
    2학년인데 자기학년 잘되어있고 중3것도 막 푼다,,그러면 배운 다음부터 나가는거구요
    일단 중학교 과정에서는 제 생각엔 보통이상일 경우 한학기,최상위에 이과지망이면 못해도 1년은 선행해야 할것 같아요

  • 2. ..
    '11.12.7 4:52 PM (110.14.xxx.164)

    예비 중1인데 학원 다니는 경우 지금 중2 나 나가요
    방학때까지 2학년 끝내고 3학년 마친다는 애도 있고요
    얼마나 이해하는지는 모르겠고요

  • 3. ..
    '11.12.7 4:55 PM (211.243.xxx.236)

    아이 수준에 따라서 다 달라요..
    반에서 중상하는 애들은 한학기 선행이상 진도 나가도 이해를 전혀 못하니 의미가 없구요.
    잘하는 애들은 1년 선행정도하구요.. 최상위인 애들은 지금 중2인데 고등학교 일학년과정 끝난 애들도 있어요.

  • 4. ㅇㅇ
    '11.12.7 5:09 PM (122.32.xxx.93)

    선행은 수학과목에서만 의미 있지요.

    어느 선을 원하느냐에 따라 달라요.
    중위권이면 1년 정도 선행
    최상위면 고등과정 이미 시작했죠

  • 5. 부자패밀리
    '11.12.7 5:17 PM (58.239.xxx.118)

    후회를 왜 합니까?
    심화 제대로 했음 나중에 빛을 발하겠죠.
    선행해서 제대로 효과보는애도 적어요.
    선행할애들은 진짜 잘하는애들인데 잘하는애들은 선행안해도 잘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해요.

  • 6. 맞아요.
    '11.12.7 5:54 PM (122.32.xxx.93)

    부자패밀리님이 말씀이 맞아요.
    심화하면 됐죠. 심화든 선행이든 중요한 건 고등학교 때 실력발휘하는거니까,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내 아이에게 맞는 방법을 하면 돼요.
    지금까지 심화하셨으니 앞으로 선행도 하고, 선행하면서 심화도 하고 이렇게 하면 됩니다.

  • 7. ok
    '11.12.7 5:54 PM (14.52.xxx.215)

    애들마다 다르죠
    선행발 받는애들, 해당학기 따라가기도 바쁜애들.
    학원에서 부추긴다고 부화뇌동하면 안되죠
    아이의 상태는 부모가 가장 정확이 압니다.

  • 8. ㅜㅜㅜㅜ
    '11.12.7 7:51 PM (61.38.xxx.182)

    선행할애들은 진짜 잘하는애들인데 잘하는애들은 선행안해도 잘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해요. 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511 국수 좋아하세요? 5 연재 2012/01/18 1,263
61510 ebs 강의에 대해 조언 바랍니다. 두둥실 2012/01/18 538
61509 맛이 꼬소하다~~꼬숩다..영어로 뭐라고 하죠? 9 영어 2012/01/18 6,095
61508 라마코트 털 빠지나요? 2 .... 2012/01/18 2,490
61507 4세 아들 어린이집 보내야할까요? 10 외동이 2012/01/18 1,878
61506 선배맘님들 조언 구할게요.. 딸아이 젖니가 빠지지 않았는데 2 닉네임123.. 2012/01/18 951
61505 한나라당의 위기도 '박근혜 띄우기 기회'?? 호빗 2012/01/18 748
61504 찹살떡 만들어 보고 싶은데.. 3 2012/01/18 843
61503 요즘부자들은 8 허탈 2012/01/18 2,734
61502 당근 보관법 알려주세요 2 궁금 2012/01/18 1,703
61501 국수값 심하게 올랐네요. 5 ㅎㄷㄷ 2012/01/18 2,073
61500 신세계 죽전 주변에 괜찮은 카센타 있나요? 2 mm 2012/01/18 856
61499 한국도자기 뚝배기 계란찜 하면 4 두리뭉실새댁.. 2012/01/18 2,403
61498 부가세 마감했습니다.. 1 노을 2012/01/18 944
61497 '엄마를 부탁해' 어떠셨나요? 16 엄마 2012/01/18 1,876
61496 연어를 사 먹어 볼까 하는데요.. 3 카모마일 2012/01/18 1,257
61495 오늘 백지연의 끝장토론 하는거 맞죠? 2 ... 2012/01/18 707
61494 긴급-곽노현서울교육감 선거공판이 내일 있습니다-많은참석부탁드려요.. 2 기린 2012/01/18 706
61493 색소레이저 시술 후, 딱지가 생기질 않아요 1 어찌된걸까요.. 2012/01/18 5,073
61492 영화 잘 아시는 분 도와 주세요. 1 하나두울셋 2012/01/18 568
61491 깨끗한집 보고 따라해보니,,,어우,,난 못해 14 ㅁㅁ 2012/01/18 7,866
61490 눈두덩이 살이 푹꺼져 보기 싫어 죽겠어요ㅠ 7 어쩌다가 2012/01/18 4,132
61489 김밥 말 때 소고기 옆으로 와르르 떨어지지 않게 하는 법 있나요.. 11 .. 2012/01/18 1,638
61488 교복 브랜드 어느것이 좋은가요? 8 예비중 2012/01/18 2,278
61487 4살딸에게 2 행복하게 2012/01/18 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