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동향 1층집..

어떨지봐주세요 조회수 : 4,349
작성일 : 2011-12-05 02:55:10
동향집은 대체로 반대하시던데 이 집은 좀 특이한구조네요. 매매 고려중인데, 아이들 어려 1층만 보고 있어요. 안방과 거실, 베란다는 동향. 부엌과 다용도실 겸 작은 베란다 , 그리고 작은방 남향. 중간방과 같이 연결된 창문있는 작은 베란다는 서향이에요. 23평이라 작지만 처음으로 사서 들어가는 집이에요. 하게되면 싹 고치고 들어가려고요. 그런데 동향인게 계속 걸리네요. 가뜩이나 1층이라 볕 잘 안들텐데...한편으론 어차피 1층이니 문 못열고 산다 생각은 하는데 그래도 혹시 82에 1층 동향 살아보신 분들 계실것 같아 조언 구합니다. 부동산서는 그래도 부엌쪽(남향)으로 빛 든다 하지만...10년 넘은 계단식 아파트예요. 아이들 맘놓고 살라고 1층으로 가는 거구요.. 거의 할 것같이 마음 먹었는데 마지막으로 넘 고민되네요....꼭좀 조언해주세요....!
IP : 119.64.xxx.17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growkidmam
    '11.12.5 3:07 AM (210.206.xxx.179)

    제 친구가 동향 1층에 살았었어요. 아이가 셋이어서요. 가끔 놀러가면 형광등 켜놓고 놀았습니다. 일층이 남향이어도 좀 어둡잖아요. 여름이면 습기 올라오고 겨울이면 냉기 올라오고 그 친구네는 일층에서 같은동 같은 라인으로 10층으로 이사했었는데 광명을 찾은거 같다고 했었어요. 그 기쁨도 잠시 아랫층 노부부의 거센 항의에 시달리던 끝에 다른 곳으로 이사했지만요. 지금은 남향집 사는데 너무 좋다네요. 물론 성격좋은 아랫층 만나 더 좋다 하고요
    제 생각으론 주방쪽이 남향이라도 공동 생활하는 공간인 거실에 볕이 어느정도 드는지가 중요할듯해요. 낮에 어느정도 볕이드는지 직접 가보고 결정하세요. 전세도 아니고 집장만이니까요. 화이팅~!

  • 2. 감사..^^
    '11.12.5 3:26 AM (119.64.xxx.172)

    댓글 감사합니다. 자다깨서 글쓰고 윗님들 답글보고 다시 잠자리 듭니다.
    더 다녀봐야겠네요..^^

  • 3. 제가
    '11.12.5 7:13 AM (115.140.xxx.150)

    일주일전에 남동향 1층으로 이사왔어요.

    이사오기전에 엄청 걱정했거든요. 해 못 보고 살까봐요..

    그런데 다행히 앞동이 거리가 있고 저층이라(우리동은 15층) 해 생각보다 훨씬 잘 들어요.

    옛날 32평인데, 해좋은 날 오전에는 부엌 초입까지 깊숙이 해가 드네요.

    춥긴 추워요..특히 확장한 방..

  • 4. ..
    '11.12.5 8:58 AM (112.153.xxx.24)

    동향도 정동향과 남동향은 확연히 달라요...

    정동향은 아침에 해 잠깐 들고 (정말 잠깐) 하루종일 어둡습니다.

    그리고 1층은 추워요...

  • 5. 아파트
    '11.12.5 9:21 AM (121.134.xxx.123)

    아래층은 대체로 어두워요,,남향이라 해도요.

    전,남향 2층 살때,,늘 형광등 켜고 살았는데,,,
    남향 8층으로 이사하고 나니,,
    저 윗분 말씀처럼,
    광명을 찾은 기분이었어요.
    햇살을 하루종일 쬐니,,,우울했던 마음도 덜해지고,,,

    전세라면 몰라도,
    사는 건 별로일것 같아요.

  • 6. ......
    '11.12.5 9:55 AM (110.14.xxx.164)

    주로 생활하는 거실이 동향이고 1층이면 어두워요
    친구가 그런집에 오래 살다보니 전기료도 많이 나오고 애들 시력이 많이 안좋아지더군요 물론 유전 영향도 있겠지만..
    다 안경 썼어요 어릴때부터요
    그러다 남향 2층으로 이사하더니 신세계 라고 하더군요
    남향 1층도 어두운데..동향은 더 심하죠

  • 7. 저는 18층
    '11.12.5 10:10 AM (122.42.xxx.21)

    동향 앞트임
    .......결국 1년만에 싸게 팔고 나왔어요
    우울증 오겠습니다

  • 8. 말리고 싶음
    '11.12.5 12:08 PM (121.166.xxx.233)

    같은 아파트에서 남향 2층 살다가 동향1층으로 이사갔는데 (복도식)
    진짜 우울증 올 뻔 했습니다.ㅠㅠ

    춥고 어둡고..
    이사한 첫날 알겠더라구요.. 아~ 이사 잘못왔구나.

    2년살고 얼른 옮겼어요. 남향으로..

    나중에 제값 팔고 팔기도 힘들어요.

    (저 지금 엄청 바쁜데 지나칠 수가 없어서 답글 다는거에요.
    말리고 싶어서요.. 신중히 다시 한번 생각하세요~~ㅠㅠ)

  • 9. ..
    '11.12.5 1:06 PM (121.165.xxx.130) - 삭제된댓글

    향을 떠나서 일층은 어두워요..
    일층을 원하시면 밝은건 포기하셔야 할것 같아요..

  • 10. .n.n
    '11.12.5 2:16 PM (220.122.xxx.179)

    저 지금 동향 4층에 전세 사는데요...겨울이 이리 길 수가 없어요..

    11월 말 부터 4월 까지 아주 추워요..해도 오전에 잠깐 거실의 5분의 1만큼 들어 오고

    그 다음은 너무 어둡고 춥고 빨래 안 마르고 특히 안방이 너무 추워서 얼마 전에 전기 매트

    새로 구입했는데요...애들 방학되면 다른 곳에 가서 지내다 올까..생각해요..

    그리고 제가 새 아파트인데요..강화마루 라는데...뭐가 문제인지...

    보일러를 틀어놔도 1도가 잘 안 올라가요...가스비 엄청 들어요...ㅜ.ㅜ

    저는 동향 살아보니 나중에 돈을 더 주더라도 꼭 남향 집 살꺼예요..

  • 11. 동신엄마
    '11.12.5 3:39 PM (125.186.xxx.57)

    동향 2층 아파트에 살고 있어서 로그인했어요. 어두워서 일년내내 불키고 살아야하구요. 햇빛이 정말 아침에 잠깐 들어옵니다. 우울증까진 아닌데 집에 있으면 우울할려구 합니다. 햇빛이 안들어와서 아토피 비염 더욱 심한거 같아요. 자외선소독이 안되서 그러나봐요. 아이들 키우시면 남향집 되도록 구하세요. 전세라면 몰라도 사는건 다른 조건의 집들도 알아보구 사세요.

  • 12. ..
    '11.12.5 7:34 PM (211.109.xxx.80)

    음...
    원글님이 고민하시는 수 많은 이유로
    혹시라도 매매하시게 되면 다른 매수자도
    똑같은 고민을 하게될겁니다

  • 13. 매매는위치가중요해요
    '11.12.5 9:40 PM (115.143.xxx.81)

    남동향 15층 낀집(사이드X) 전세 3년 살다가
    같은 단지안에서 매수했는데 그 향은 쳐다보지도 않았어요...
    암만 싸게 나온게 있어도 말이죠...
    3년 전세살면서..매매한다고 집보면서 느낀건..
    비싼건 이유가 있고 싼것도 이유가 있다는 생각이네요...

    전세살던집은 앞뒤 막힌곳 없는 집인데도 정오만 넘으면 집에 해가 안들더라고요...
    안방,거실,큰베란다가 남동쪽이었는데...지금 생각하면 남쪽보단 동쪽을 더 많이 끼고 있었던듯..

    꼭두새벽 6시부터 해가 들어서 잠설치고...정오 넘으면 해가 빠져거 집이 어두침침..
    부엌쪽으로 하루종일 불켜고 있어야 하고..빨래도 안마르고...우울증 생기겠더군요...

    님댁같으면 오후시간에 거실,안방에 불켜고 지내야 할겁니다...
    작은베란다엔 정오이후 해가 들어서 물건 놓기는 부적절할듯...빨래는 그쪽이 잘 마르긴 하겠네요..
    남향인 작은방 말고는 춥고 어둡고 그럴겁니다(특히 겨울에)

    전세라면 경험삼아 가는것도 나쁘지 않지만..동향 1층...매매는 비추입니다....
    게다가 그 집 사이드집 or 확장한 집이면?? 절대로 가지 마세요...
    (1-4호까지 있는 동이라면 1호 4호가 사이드집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409 짧은 홍콩여행 중 마카오 다녀오는거, 어떨까요? 10 주말여행 2012/01/29 2,840
63408 [펌] 한명숙씨 연구? 6 빠가사리 2012/01/29 828
63407 스마트폰이 필요할까요? 2 40대중반전.. 2012/01/29 1,283
63406 프라다폰 괜찮네요. ... 2012/01/29 823
63405 이 재수기숙사학원 어떤지 판단좀 해주세요. 1 지성감천 2012/01/29 1,759
63404 꿈에 김어준 등장 발차기 연습을 하는거에요. ㅋ 4 ... 2012/01/29 715
63403 49평 거실요.. 11 아트월 2012/01/29 3,342
63402 출산한 지 얼마 안 된 산모인데요.. 9 도와주세요 2012/01/29 2,325
63401 아나운서인지 기자인지 잘 모르겠는데 이름이 기억이 안나요 7 )) 2012/01/29 1,349
63400 서울에서 가장 맛있는 치즈케이크 파는곳좀 알려주세요 23 ... 2012/01/29 6,869
63399 저녁에 시댁가서 통닭시키면 안좋아하실까요? 16 노아이디어 2012/01/29 3,260
63398 양지머리고기를 다르게 먹을순 없나요? 6 소고기덩이 2012/01/29 4,788
63397 계산적여 보인다는 얘기 16 에효 2012/01/29 3,095
63396 피부건조 해결방법 없을 까요? 3 건조 2012/01/29 2,082
63395 돐잔치에 4인가족 축의금 5 실수할라 2012/01/29 2,493
63394 박원순시장이 전두환 경호동 폐쇄 검토중이래요. 4 가리가리 2012/01/29 1,554
63393 저는 반대로 만족도가 높은 직업군 조사 2 봤어요 2012/01/29 1,705
63392 연인과 이별로 자살을 생각해 보신적이 있나요? 22 반짝이 2012/01/29 27,164
63391 파리바게트 커피 절대 테이크아웃 하지마세요. 30 해맑음 2012/01/29 19,450
63390 좀 있음 생일이여서 남편이 뭐 사줄까 하는데요 2 dd 2012/01/29 839
63389 엠베스트 인강 종합반 질문할께요. 5 아까 2012/01/29 2,408
63388 운동할시간이 전혀 안나는데 살뺄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14 현이훈이 2012/01/29 3,242
63387 82 csi님들께.. 레고... 에 관한 질문 4 벚꽃 2012/01/29 753
63386 유시민은 왜 안티세력이 많은건가요? 30 손바닥티비 2012/01/29 2,683
63385 안락의자 추천해 주세요... 4 궁금이 2012/01/29 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