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지방국립대 서열이 어느정도인가요?

궁금 조회수 : 3,280
작성일 : 2011-12-03 10:38:26

요새 선호도가 많이 떨어졌다고 들었습니다.

서울의 대학과 비교해 본다면 어느대학 서열정도인가요?

IP : 114.203.xxx.12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인마이오피니언
    '11.12.3 10:53 AM (125.180.xxx.163)

    서열보다도 전 졸업 후 어디에서 터를 잡고 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 지역에서 자라서 그 지역 국립대 나와 그 지역에서 살아가실 분이라면 지방 국립대 추천합니다.
    하지만 서울서 나고 자란 사람이 대학만 지방국립대 졸업하고 다시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사실 분이라면
    비추입니다. 대한민국은 인맥사회입니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요.
    저희들끼리 얘기로 향토존 지키면서 사는데에는 인서울보다도 오히려 지방국립대가 좋다고도 해요.
    지방대학 나와서 요즘 서울에 취직도 어렵지만 취직 된다하여도 학연으로 엮여진 기업문화에서도 좀
    외롭고 힘듭니다. 타지역에 사시는 분이 오로지 등록금 저렴하다는 이유로 국립대 가시는 것은 인생을
    좀 길게 보고 생각할 때 마이너스 요소가 많아요.
    저는 그 지역에서 태어나 계속 살아가실 분에게만 지방국립대 추천합니다.
    저는 15년전에 지방국립대 나와 서울서 취직해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20여년전에 지방에서 내신1등급에 서성한을 추천하던 선생님들고 계셨지만 지방에서 사립대 등록금과
    하숙비용생각하면 지역 국립대 가는 것이 당연한 효도라 생각했던 1인 입니다.
    지금 제 자식들 생각하면 인서울이 목표지요. 지금은 수도권 살고 있으니...
    질문의 의도에 맞는 댓글인지는 모르겠으나 졸업 후의 인생설계도 함께 고려해 보셨으면 해서 글 올립니다.

  • 2. 서열
    '11.12.3 11:08 AM (118.220.xxx.49) - 삭제된댓글

    애매하네요.. 위에 리플 단 분 말마따나 학생의 원래 생활터전이 어디였느냐에 따라 다르겠죠.
    원래 서울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에게는 건동홍 라인 정도가 될 것 같구요.
    그 국립대가 있는 지방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에게는 중경외시 라인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 3. 글쎄요.
    '11.12.3 11:34 AM (1.251.xxx.68)

    그 국립대가 있는 지방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에게도 중경외시 정도는 아닐겁니다.
    절대 아니죠.
    20년쯤 전에는 그랬어요.
    지금은 많이 훅 갔죠.
    인서울 하위권 대학 정도 될까 말까.

  • 4. 과거
    '11.12.3 11:56 AM (125.137.xxx.235)

    요즘은 지방 국립대가 중경외시 못 따라가죠.

    우리 앞집 아이가 지방(제가 사는 지역) 국립대 장학생 포기하고 시립대 갔어요..
    무조건 인서울~~

  • 5. 대학2학년..
    '11.12.3 11:58 AM (183.103.xxx.46)

    우리아이가 경희대와 부산대 ..고민하다가 그냥 부산대갔어요. 2년전..
    저는 그냥 서울로 갔으면 했지만..아이가 원하는 학교와는 넘 동떨어져서..ㅠㅠ
    본인생각은 거기보다는 차라리 여기가자..하는 생각이었던것같아요.
    높은과는 경희대랑 비슷하구요. 좀 낮은과는 그 밑라인 인것같어요.

  • 6. ....
    '11.12.3 12:02 PM (59.25.xxx.90)

    이번에 사법고시.수석이 지방국립대 나온 24세 여자더군요. 고시 힙격률도 서울고려연세성균관이 우월했고 그담 한양이나 지방 국립대ㅡ경북대 전남대ㅡ나 비슷했어요.그러니.건동홍라인이라고 단정 지을순.없는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236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8 이건 2012/01/18 998
61235 친정어머니패딩선물 5 옷고민 2012/01/18 1,442
61234 헤나염색약 어떤가요? 2 촌티벗고파 2012/01/18 1,517
61233 cf속 원피스 분노의 검색.. 2012/01/18 704
61232 저희 형편에 조카들 용돈 얼마 정도가 적정한지 봐주세요. 9 고민 ` 2012/01/18 2,054
61231 朴의장 "수사결과 따라 책임..총선불출마"(종.. 1 세우실 2012/01/18 473
61230 회사 출퇴근 시간이 얼마나 되세요? 6 ,,,, 2012/01/18 1,615
61229 직장일과 집안일 다이어리 및 일정 관리.. 1 질문에맛들인.. 2012/01/18 878
61228 네이트 곽노현교육감 기사에 5 ㅠㅠ 2012/01/18 1,164
61227 이 원피스 좀 봐주세요. 3 2012/01/18 1,043
61226 시댁에 정말 잘하고 싶었는데.. 15년 후 이모냥이네요. 9 시댁 가기 2012/01/18 2,741
61225 저도 대기업 외벌이인데요.. 1 가계부 2012/01/18 3,615
61224 음식하면서 그때 그때 그릇씻는거요... 12 물낭비 2012/01/18 3,466
61223 선물 뭘로 해야 할까요..추천부탁~ 1 선물~ 2012/01/18 455
61222 호박 고구마 왜이리 비싸나요 ㅠㅠ 9 심해ㅠ 2012/01/18 2,557
61221 결혼전 입던옷들...??? 8 s 2012/01/18 1,890
61220 구입한 곶감을 하얗게 만들기 1 곶감 2012/01/18 772
61219 드럼 세탁기는 1 이상하다? 2012/01/18 595
61218 연봉이 얼마인가???? 3 디드로 2012/01/18 1,293
61217 여자아이 초등입학가방 이거 어떨까요?? 11 .. 2012/01/18 2,816
61216 스카이라이프 쓰시는 분... 1 .. 2012/01/18 723
61215 내남편의 씀씀이 그외--소비에 대한 생각 3 초코엄니 2012/01/18 1,344
61214 이제 양상추 못먹겠어요 ㅠㅠ 32 나라냥 2012/01/18 13,375
61213 집안에 용띠가 3명이면 정말 좋은걸까요? 12 궁금 2012/01/18 15,269
61212 유시민 노회찬의 <저공비행 1탄> 필요하신 분 손드세.. 3 깨룡이 2012/01/18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