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지방국립대 서열이 어느정도인가요?

궁금 조회수 : 3,349
작성일 : 2011-12-03 10:38:26

요새 선호도가 많이 떨어졌다고 들었습니다.

서울의 대학과 비교해 본다면 어느대학 서열정도인가요?

IP : 114.203.xxx.12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인마이오피니언
    '11.12.3 10:53 AM (125.180.xxx.163)

    서열보다도 전 졸업 후 어디에서 터를 잡고 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 지역에서 자라서 그 지역 국립대 나와 그 지역에서 살아가실 분이라면 지방 국립대 추천합니다.
    하지만 서울서 나고 자란 사람이 대학만 지방국립대 졸업하고 다시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사실 분이라면
    비추입니다. 대한민국은 인맥사회입니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요.
    저희들끼리 얘기로 향토존 지키면서 사는데에는 인서울보다도 오히려 지방국립대가 좋다고도 해요.
    지방대학 나와서 요즘 서울에 취직도 어렵지만 취직 된다하여도 학연으로 엮여진 기업문화에서도 좀
    외롭고 힘듭니다. 타지역에 사시는 분이 오로지 등록금 저렴하다는 이유로 국립대 가시는 것은 인생을
    좀 길게 보고 생각할 때 마이너스 요소가 많아요.
    저는 그 지역에서 태어나 계속 살아가실 분에게만 지방국립대 추천합니다.
    저는 15년전에 지방국립대 나와 서울서 취직해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20여년전에 지방에서 내신1등급에 서성한을 추천하던 선생님들고 계셨지만 지방에서 사립대 등록금과
    하숙비용생각하면 지역 국립대 가는 것이 당연한 효도라 생각했던 1인 입니다.
    지금 제 자식들 생각하면 인서울이 목표지요. 지금은 수도권 살고 있으니...
    질문의 의도에 맞는 댓글인지는 모르겠으나 졸업 후의 인생설계도 함께 고려해 보셨으면 해서 글 올립니다.

  • 2. 서열
    '11.12.3 11:08 AM (118.220.xxx.49) - 삭제된댓글

    애매하네요.. 위에 리플 단 분 말마따나 학생의 원래 생활터전이 어디였느냐에 따라 다르겠죠.
    원래 서울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에게는 건동홍 라인 정도가 될 것 같구요.
    그 국립대가 있는 지방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에게는 중경외시 라인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 3. 글쎄요.
    '11.12.3 11:34 AM (1.251.xxx.68)

    그 국립대가 있는 지방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에게도 중경외시 정도는 아닐겁니다.
    절대 아니죠.
    20년쯤 전에는 그랬어요.
    지금은 많이 훅 갔죠.
    인서울 하위권 대학 정도 될까 말까.

  • 4. 과거
    '11.12.3 11:56 AM (125.137.xxx.235)

    요즘은 지방 국립대가 중경외시 못 따라가죠.

    우리 앞집 아이가 지방(제가 사는 지역) 국립대 장학생 포기하고 시립대 갔어요..
    무조건 인서울~~

  • 5. 대학2학년..
    '11.12.3 11:58 AM (183.103.xxx.46)

    우리아이가 경희대와 부산대 ..고민하다가 그냥 부산대갔어요. 2년전..
    저는 그냥 서울로 갔으면 했지만..아이가 원하는 학교와는 넘 동떨어져서..ㅠㅠ
    본인생각은 거기보다는 차라리 여기가자..하는 생각이었던것같아요.
    높은과는 경희대랑 비슷하구요. 좀 낮은과는 그 밑라인 인것같어요.

  • 6. ....
    '11.12.3 12:02 PM (59.25.xxx.90)

    이번에 사법고시.수석이 지방국립대 나온 24세 여자더군요. 고시 힙격률도 서울고려연세성균관이 우월했고 그담 한양이나 지방 국립대ㅡ경북대 전남대ㅡ나 비슷했어요.그러니.건동홍라인이라고 단정 지을순.없는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788 5월 연휴 때 제주행 비행기표 구할 방법 없을까요? 12 야옹야옹 2012/01/26 2,131
63787 수영하면 살빠지고...탄력좀 생길까요? 9 ... 2012/01/26 3,791
63786 삼성TV ..2년6개월만에 수명이 끝났다네요..(급질문) 15 겨울꽃 2012/01/26 4,799
63785 영어학원 안다니는 아들의 영어일기 9 영어학원 처.. 2012/01/26 2,267
63784 민주당이 이명박을 확실하게 심판하는 방법 1 운지 2012/01/26 743
63783 박원순 시장, "한미FTA의 진실 시민들에게 알려야&q.. 8 참맛 2012/01/26 1,022
63782 고야드백 지금도 들고 다니는 사람 있을까요? 10 40대 중반.. 2012/01/26 5,032
63781 동서시집살이.. 8 .. 2012/01/26 4,348
63780 결혼하고 성형수술하신 분 계신가여? 6 2012/01/26 1,626
63779 대학도 대학이지만 고등학교도 교육비 많이 들죠? 8 클로버 2012/01/26 2,225
63778 삼#티비 - 3년만에 고장났는 데, 이런 보상도 있나요??? 3 티비 2012/01/26 1,281
63777 초등저학년 어떤 영어학원이 나을까요 2 어디 2012/01/26 1,476
63776 화재보험 어디것을 들어야할지 아시는분 있음 알려주세요. 3 화재보험 2012/01/26 867
63775 인강샘요 1 ^^ 2012/01/26 715
63774 초등수학 문제 풀이 부탁드립니다. 5 구몬 2012/01/26 981
63773 바람빠진 무우로 무말랭이나 무우차 만들어도 될까요? 5 ... 2012/01/26 2,816
63772 친정언니가 미워요. 4 .. 2012/01/26 3,098
63771 예전에 이런글 저런질문에 영어회화 올려주시고 하신님.. 1 누구였죠? 2012/01/26 639
63770 저는 손맛이 없는 여자인가봐요 ㅠㅠ 우울해요.... 21 === 2012/01/26 3,625
63769 지금 KBS 뉴스 보는데. 3 가슴 짠 2012/01/26 1,346
63768 유시민 통합진보당대표 일인시위. "정봉주 나와라!&qu.. 2 참맛 2012/01/26 1,532
63767 빵을 냉동실에 넣어두면요 2 qq 2012/01/26 2,715
63766 강아지옷 글보니 겨울외출에 강아지옷 입혀야 할까요? 16 ... 2012/01/26 3,560
63765 후라이펜 몇센티가 제일 편해요? 4 후라이펜 2012/01/26 1,627
63764 화상입은데(조리기구에 데임) 습윤밴드 붙여도 되나요? 화상 2012/01/26 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