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이 안팔려 고민이예요.

.. 조회수 : 4,503
작성일 : 2011-12-02 12:53:56

평수 늘려 이사가며 전세놓은 집을 팔아야하는데 영 안 팔리네요.

그때도 안 팔려서 그냥 전세 놓은건데..ㅠㅠ

 

전세비 외엔 다른 대출은 없어요.

그냥 노후 자금이다 생각하고 쭉 갖고 있을까요? 

 

검색해 보니 아파트는 소모성자산(?)이다..뭐 그래서 갖고 있을 수록 손해다.

이런 말이 있던데..그래도 예금보다는 현실 물가 반영은 해주지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지금은 어찌하여 아파트가 2채가 됐지만 제 주변머리에 앞으로 다시 집 살 일은 꿈도 못 꿀거 같고.

또 분양받아 싸게 산 그 아파트는 나중에 다시 사고 싶어도 절대 살 형편 안될거고..

 

급급매로 엄청 싸게 팔면 사겠다고 하는 사람이 있는거 같긴 한데요..

아마도 임대업자인듯..

 

고민되요.현금 쥐고 있다고 해도 어디 투자해서 불릴 주변머리도 없구요..

어떤게 현명한 선택일까요..

IP : 221.150.xxx.220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11.12.2 12:59 PM (118.46.xxx.133) - 삭제된댓글

    갖고 계시면서 전세금 모아 내보내고 월세 받으시는건 어떨까요.

  • 2. 냅둬요
    '11.12.2 12:59 PM (211.192.xxx.141)

    집값 안떨어져요. 임대주택 왕창 만들면 오히려 집값이 오르고
    강남 규제 안풀리면 또 봄철 전세대란이 집값 상승 압력하고

    언제나 오를 구멍은 많아요
    내비둬요

    강남에 집값 폭탄으로 공급 왕창하지 않는 이상
    서울시내 집값 떨어질일 없습니다.

    시기가 비수기라 그렇지
    봄되면 또 전세부터 출렁거릴겁니다.

    또 대선하면 온갖 규제 싹 풀고
    경기부양 들어가면 또 오릅니다

    그래서 대선치르는 해에 집거래를 많이 합니다.

  • 3. ㅇㅇㅇㅇ
    '11.12.2 1:00 PM (115.139.xxx.16)

    대출은요?
    대출 없거나 적으면 그냥 가지고 있기
    대출 많으면 팔기요

  • 4. 저도
    '11.12.2 1:05 PM (111.118.xxx.60)

    대출 없는 집 팔까 고민하다가...저희는 바로 앞에 대학이 있어요.
    그래서 뒀습니다.

    소형이니, 임대수요는 꾸준히 있지 않을까 싶어서요.
    그리고, 혹시 아이가 그 대학갈 수도 있는데, 그 때 살라고 두지 뭐 싶어서요.

    솔직히 그 집 판 돈으로 요즘 뭐를 하겠어요?

  • 5. ..
    '11.12.2 1:06 PM (221.150.xxx.220)

    답변 감사드려요.
    다른 사람들 보면 노후에 여유되면 건물 사서 임대업도 한다고 하는데
    그런 맘으로 그냥 갖고 있을까요?
    올해가 지나면 2년이 끝나는거라 내년부터는 양도세가 많아져
    거래가 되더라도 그양도세 물고 파는게 나은지 그냥 갖고 갈 지..계속 고심중이예요..

  • 6. ..
    '11.12.2 1:10 PM (221.150.xxx.220)

    근데 전세금도 대출이라면 대출이지요?
    당장 빼달라면 은행 대출 해서 빼 줘야 하니까요..
    전세금 빼줄 여유도 없이 쭉 갖고 가는건 위험 할까요?

  • 7. ^^
    '11.12.2 1:13 PM (211.43.xxx.145)

    파세요.
    대출 있든 없든.

    나중에 손해 엄청 보면서 팔게 됩니다.
    그나마 팔리면 다행이지요.

    그냥 원글님 글 읽으며 오는 '감'으로 드리는 말씀이예요.

  • 8. 두채면
    '11.12.2 1:15 PM (211.114.xxx.82)

    하난 정리해야죠..
    대세는 하락입니다.

  • 9. ..
    '11.12.2 1:19 PM (221.150.xxx.220)

    귀가 팔랑귀예요..^^;;
    이 문제에 정답은 없겠지요..이휴...

  • 10. 냅둬요
    '11.12.2 1:25 PM (211.192.xxx.141)

    팔면 손해에요
    집 팔아서 그 돈으로 부자된 사람 본적 없서요.

  • 11. -_-
    '11.12.2 1:58 PM (202.30.xxx.237)

    정확히 말하자면 아파트로 돈 버는 시기는 2007년 이후로 끝났습니다. 앞으로 떨어질 일만 남았죠. 가격이 매년 물가상승률 만큼이나마 올라줘야 인플레 헷지수단이라도 되는건데 지금 계속 보합이잖아요? 그럼 가지고 있을 수록 손해인겁니다. 나중에 재건축 걸려도 15층 이상은 분담금이 어마어마합니다. 지금 좀 손해본다 쳐도 파시는게 이득이에요.
    그리고 집 팔아서 그 돈으로 부자 못되는건 제대로 투자를 못해서입니다. 장기적으로 5년 이상 잡고 인덱스펀드만 투자해도 연 10% 가까이 이율 나옵니다. 10년뒤 대한민국 주가지수가 설마 3천 못갈까요?

  • 12. -_-
    '11.12.2 2:04 PM (202.30.xxx.237)

    몇가지 하락요소를 말씀드리자면,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입니다. 미국,일본 모두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시작과 더불어 폭락했죠.
    둘째, 인구구조의 변화입니다. 현재 가구수 2인미만 가구가 전체의 50% 를 넘어섰어요(2010년 센서스기준) 1인 가구의 주거형태는 대부분 고시원,오피스텔,도심형생활주택입니다. 2인가구도 아파트 수요층이라 보기엔 억지가 있구요.
    셋째, 세종시와 거점도시들의 속속 등장입니다. 지금 세종시 분양 경쟁률이 보이시나요? 지금이야 공무원 혼자 내려가지만 기반시설 잡히는 4-5년 뒤에는 전가족 다 내려가게 되어 있습니다. 세종시 개발조감도 검색해보세요. 녹지율이 거의 50% 달하는 완전 신개념 계획도시입니다. 굳이 집값 높고, 사람많은 서울에 아이들 교육하나때문에 눌러앉을 사람 소수입니다.
    넷째, 고층아파트 재건축에 대한 인식의 변화
    다섯째, 88만원세대, 3포세대로 대표되는 청년 실업층 문제-> 미래의 주택소비층인데 할 말 없습니다. 청년 실업율은 앞으로 높아지면 높아졌지 낮아질 수 없습니다. MB의 토건제일주의가 더욱 심화시켰습니다.

  • 13. 만두
    '11.12.2 2:06 PM (119.73.xxx.210)

    원글님 제가 집을 지난달에 팔았습니다.
    저도 원글님과 같은 1가구 2주택이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방학동(전철 않닿는곳) 26평을 팔았고요 지금 30평대 동대문 갖고 있는데요

    소형, 역세권, 대출없고 월세놓을수있다면 팔지 마시구요 그냥 실거주 개념에서 가지고 있었는데 그 지역이랑 인연없고 소형평수도 아니고 그렇다면 파시는것이 정답입니다.

    저도 팔랑귀였고요 집값올라갈때 기다리면서 바보같이 그 집을 이년 가까이 비워놓고 있다가 급매로 이번에 처분했지요. 집한채도 없으면 가지고 있으라고 하겠는데요 2주택이면 파셔요. 그리고 잘못 투자 해서 날릴수도 있으니 그돈 12로 나눠 정기 예금 풍차돌리기로 하면 매달 그래도 돈은 나옵니다. 저는 그래서 그렇게 하려고 해요.

    그리고 집값이 오르면? 이런 생각되시죠? 나머지 한채 가지고 있는 집값도 오르고요 요즘같은 시기에 자산을 일방적으로 부동산에 몰빵해놓고 계시면안됩니다. 포트폴리오 분산차원에서라도 처분하셔서 현금 보유하시고 금융상품 공부도 해보셔요.

  • 14. ㅜㅜ
    '11.12.2 4:34 PM (180.231.xxx.141)

    파셔야한다고 생각하셨으면
    요즘시세보다 많이 싸게 내놓으셔야지
    안그럼 안팔려요
    내린다에 한표

  • 15. ..
    '11.12.2 5:31 PM (121.170.xxx.92)

    내린다에 한표...보합이면 사실 떨어지는 거죠..재산세에 세금도 만만치 않은데~

  • 16. ..
    '11.12.2 7:13 PM (211.221.xxx.40)

    많은 말씀 감사드려요~
    일단 부동산 가서 좀 더 고민해 봐야겠네요..이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852 다른사람이 쓰던 식기 얻어와도 될까요 5 식기 2012/01/19 3,129
61851 보너스도 없고, 월급도 25일....참나!! 14 뚱딴지 2012/01/19 4,327
61850 나이가 어리고 수준차이가 나다보니 항상 얻어먹는꼴이 되었어요 5 어쩌다보니 .. 2012/01/19 3,593
61849 혹시 산토끼 파는 농장 아시는 분(집토끼 말고요) 7 산토끼 2012/01/19 3,674
61848 아래 사교육비 이야기..에 질문있어요 3 궁금 2012/01/19 2,109
61847 급질!!!!서울 구반포역 근처에 맛있는 선물용 쿠키살 곳 있을까.. 2 쿠키 2012/01/19 2,199
61846 사진에 파일이름이나 날짜가 찍히게 하는 프로그램있나요? 6 사진 2012/01/19 2,402
61845 서울에서 대전오는 고속버스 타려면? 9 한번더 2012/01/19 2,253
61844 중학생 외부봉사 하는데 힘든일을 하네요 6 흐린하늘 2012/01/19 2,393
61843 처음가는 서울 나들이 질문 6 큰맘먹고 2012/01/19 1,989
61842 명절때 동서끼리 대화는 많이 하세요? 7 ㅇㅇ 2012/01/19 3,626
61841 리틀팍스 6 리팍 마니아.. 2012/01/19 3,933
61840 마음다스리는곳 10 준세맘 2012/01/19 3,090
61839 이사할까, 말까...정말 선택이 어렵네요.^^; 8 고민고민고민.. 2012/01/19 2,663
61838 명절 보너스 벌씨로 들어왔음~ 3 ㄷㄷ 2012/01/19 2,737
61837 떡국용으로 등심과 채끝등심중 어떤걸로? 16 컴앞에 대기.. 2012/01/19 6,922
61836 노트북으로 인터넷을 하려면... 3 컴맹 2012/01/19 1,986
61835 네이트 보다가 웃긴다 2012/01/19 1,644
61834 소화 불량과 비만의 상관관계? 4 비만질문 2012/01/19 4,941
61833 임신일까요? 3 새댁 2012/01/19 1,793
61832 아기자기한 소품 이쁜곳 알려주셔요. 1 은새엄마 2012/01/19 1,736
61831 학부모에게 맡겨도 도둑놈 소리 듣네요..... 사랑이여 2012/01/19 1,845
61830 써보니깐 효율적이네요. 2 별별바비 2012/01/19 2,009
61829 이 트렌치코트 어떨까요? 지름신 2012/01/19 1,642
61828 아들 생일은 챙기시면서...^^ 6 주절주절 2012/01/19 2,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