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어 공부 잘하는 비결을 전수해주세요

중딩맘 조회수 : 3,281
작성일 : 2011-12-01 10:00:16

중1 남아인데 영수는 제법 점수가 잘 나옵니다.

1학기때는 나름 80점대를 유지하더니 2학기 중간고사부터

서술혈 평가까지 국어점수가 기함을 합니다.

중간고사 70점 초반,서술형 점수 67점...

 

초딩때는 거의 국어가 만점이었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아이는 국어가 어렵다고 합니다..

영어,수학은 공부가 너무 재미있다고 하는데

국어는 지루하고 재미가 없어 하기 싫다고 하네요..

게을러서 사회,과학도 잘 외우지 않아 점수가 80점대에서 머뭅니다.

 

국어를 어떻게 공부를 하면 점수를 올릴까요?

아이가 재미없어 하고 점수가 잘 안나오니 더욱 하기 싫어 하는 것 같아요...

IP : 210.99.xxx.34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1.12.1 10:03 AM (122.32.xxx.93)

    사회, 과학 모두 국어랑 연관있네요.
    혹시 학원 다니는 과목만 시험 잘보고, 스스로 해야 하는 과목은 점수 안나오는 거 아닌가요?
    아직 욕심이 없네요.

  • 2. 우리앤 초4라
    '11.12.1 10:04 AM (1.251.xxx.58)

    답하기가 그렇지만, 애가 책(교과서 말고)은 많이 읽은 애인가요?
    그렇지 않다면 만화라도 책을 많이 읽혀보세요.
    그러면 국어를 비롯해서 모든 과목(영수는 잘모르겠구요)을 잘하게 돼요.

    머리가 틘다고 해야하나요...그렇더라구요.

  • 3. ㅇㅇ
    '11.12.1 10:04 AM (211.237.xxx.51)

    지문을 빨리 읽고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키우기.
    출제자가 원하는 답 골라내기
    이 두가지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영수에 비해서 나머지 과목들이 훨씬 강한 중3저희딸의 공부방법보면
    거의 처절합니다
    외우고 반복하고 풀고 또 반복하고
    국어책의 경우는 거의 지문 외우다시피 합니다. 왜냐면... 시험볼때 그거 다 읽고 파악할 시간
    없으니 그거 줄인다고요.
    평소에 독서를 많이 해놓는게 중요하다고는 하지만 이미 그러기에 너무 늦었다면
    문제 많이 풀고 지문 많이 읽어놓아서 지문 읽고 파악하느라 드는 시간 줄여놓으라 하세요.

    외우는과목도 한번에 안외워요..
    몇번에 걸쳐서.. 한번읽고 며칠후에 또 읽고 며칠후에 중요한것 외우고 며칠후에 또 외우고
    그 다음엔 계속 문제집 풀고 이런식으로 합니다.

    영수도 공부 한만큼 그만큼 좀 잘 나왔으면 좋겠는데 아쉬워요..ㅠㅠ

  • 4. 비결없고
    '11.12.1 10:08 AM (114.207.xxx.163)

    관심있는 분야 책이나 주간지 꾸준히......... 읽히세요.

    초딩 중딩 때 책 딱 백 권을 읽었어요, 돈 없어서 그것만 여러 번 반복.
    거기서 왜 그답인지 논리적으로 설명은 잘 못하겠지만 감........이 발달해서 언어 외국어 사회 다 잘 봤어요.
    과학 빼고는 다 독해력 이해력이죠.
    그중에서 어린이 삼국유사는 7번 읽었는데 역사시간엔 머리속에 나만의 비디오가 펼쳐졌어요.

  • 5. 제가
    '11.12.1 10:08 AM (61.79.xxx.61)

    예전에 항상 국어는 100점을 받았어요.
    항상 하는 말이지만 책을 많이 읽은 애들이 이해력이 좋아 그게 국어랑 통하는 거 같기는 해요.
    그래도 아직 중1이니까..
    1교과서를 정독합니다, 반드시
    2자습서를 보면서 외울거 외우고 그 과를 파악합니다.
    3문제를 연습장이나 국어 노트에 한번 풉니다.채점해서 틀린 문제는 문제지에 체크해 놓구요.
    4문제지에 문제를 한 번 더 풉니다. 그래도 틀린 문제는 오답노트 해 두고 그 문제만 시험때 보면 됩니다.
    문제집 문제 다 맞추면 학교 시험도 100점 받는답니다.
    그리고 국어 학원에 보낸 아이를 봤는데 잘한다고하더군요.

  • 6. ㅇㅇ
    '11.12.1 10:12 AM (122.32.xxx.93)

    과학은 완전 이해력으로 하는 거구요.
    수학은 머리와 연습의 산물. 중딩 때면 연습이 90%를 차지.

  • 7. ....
    '11.12.1 10:15 AM (14.47.xxx.160)

    제가 국어를 잘했어요.
    돌맞을소리인지 모르겠지만 국어는 따로 시험공부를 안해도 거의 만점이였던...

    저희 아이들도 남자아인데도 국어 잘합니다.

    공통점은?

    책을 굉장히 좋아합니다. 신문보는것도 좋아하고 종류가리지않고 책을 정말 많이
    읽어요.

  • 8. 마음이
    '11.12.1 10:26 AM (222.233.xxx.161)

    우리애들 경우엔 큰애는 어릴때부터 책을 가까이해선지 국어과목은 공부량에 비해서
    점수가 잘 나오고요 반면 책읽기 싫어하는 작은애는 국어점수가 좀 딸리네요
    근데 작은애가 신문을 매일 본인스스로가 챙겨서 보기 시작하게 좀 되는데
    그래선지 국어과목 점수가 좀 오른거 같아요
    큰애가 고1인데 본인말로는 감이 있어야 하는거 같다라고 말하더군요
    자기보다 공부 더 많이한 애보다 자기 점수가 늘 더 높다고하면서요

  • 9. ㄱㄱ
    '11.12.1 10:53 AM (116.33.xxx.76)

    고등학생이면 독서 많이 하란 말하기에 좀 늦은 타이밍인데 중학생이라니 독서 많이 하게 하세요.
    어차피 중학교 성적으로 대학 가는거 아닌데 당장 10점, 20점보다 내실 쌓는게 더 중요해요.
    최상위권애들이 수능에서 망하는 두 가지가 언어 아니면 수학이에요.
    문제집만 많이 풀어서 나오는 점수는 모래성에 쌓은 탑같은 겁니다.
    중학교때 기본기 닦아두면 고등학교가서 편해요.

  • 10. ㅠㅠ
    '11.12.1 11:12 AM (152.99.xxx.168)

    국어도 어느정도 타고나요.
    아무리 책을 읽어도 핵심파악능력과 이해력이 떨어지는 애가 있고 조금만 읽어도 논리적으로 요약이 척척되는 애가 있더군요.
    우리집에 있는 두놈 이야기예요.
    너무 슬프네요. 그래서 저는 책읽으면 된다는 얘기 안 믿어요.
    어릴때부터 같은책 읽혀놓고 질문해보면 벌써 차이가 났었는데 갈수록 더 벌어져요.

  • 11. @@
    '11.12.1 11:29 AM (125.187.xxx.165)

    책 많이 읽고 이해력 기르면 국어점수가 100% 완성되는건 맞겟죠
    그러나 무조건 책 많이 읽는다고 모두 점수가 잘 나오는건 아니에요
    국어를 다른과목에 비해 잘 못하는 아이들은
    문제를 파악하지 못해서 그러는게 대부분이에요
    무엇을 물어보는건지 모르는거죠
    중학교때 문제를 많이 풀면서 연습을 하면 고등학교때 훨씬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영 수는 점수가 나오는데 국어점수 안나와요 하는 아이들 보면
    국어를 영어 수학만큼 공부하지 않아요 어느정도만 공부해도 풀 수는 있으니까
    급한 과목부터 하는거죠
    지금 중1이라면 마*텅 중학국어 문제집 사서 풀어보게 하세요
    문제가 상당히 많은 문제집인데 일단 문제를 열심히 성실히 읽어보는 훈련을 시키세요
    문제풀고 채점하고 끝내는게 아니라 틀린문제는 공책에 문제를 옮겨적고
    지문도 다시 읽어보게 하세요 국어문제들이 지문만 달라질 뿐이지 일정한 공식이 있다는걸
    알게 될거에요
    이렇게 3학년까지 공부하면 고등학교 가서 모의고사 무조건 1등급나옵니다.
    우리 아이가 내년에 수능 볼건데 언어영역은 전혀 걱정이 없네요
    다른 아이들 보다 쉽게 시간을 덜 들여도 95점 이상 나옵니다.

  • 12. jiny
    '11.12.1 11:35 AM (210.97.xxx.236)

    다 나름인것 같아요. 저의 딸 초6 책을 무지 좋아하고 수학과학 잘합니다만 국어를 힘들어해요. 못하는것은 아닌데, 작가의 관점이라던가 지문에서 요구하는 답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답과의 괴리를 많이 느끼네요. 국어는 지극히 주관적관점으로 하고싶다는것이 제딸대답입니다. 다행히 책을 많이 읽고 요령을 잘알아서 국어 시험을 잘 치지만, 중등 고등때는 걱정이에요.

  • 13. 뽐뽐
    '11.12.1 12:00 PM (112.149.xxx.77)

    저 중고등 내내 국어 시험에 1개 이상 틀린적이 없구요.
    수능에서도 1개 틀렸는데
    나름 국어부분은 엄청 잘했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타고 나는거 같아요.

    물론 책을 많이 읽기는 읽었어요. 어렸을때 부터 아빠 책장에 있는거 까지 다 읽기는 했는데요.

    전 국어 문제 푸는거 자체가 즐거웠어요.
    고등학교 때 시중에 나온 문제집 안푼게 없었어요.
    너무 즐거워서 거짓말 진도와 관계 없이 좀 보태서 일주일에 한권정도?

    딱히 어떤 방법으로 공부한게 아니거든요. 시험 공부를 하나 안하나 성적은 항상 잘나왔어요.

    그게 처음 보는 지문을 읽거나, 시를 읽거나 해도 그냥 딱 감이 온다고 해야할까...


    그런데, 수학은 ㅡㅡ;; 고3 내내 문제집 한권도 다 못풀었어요. ㅜㅜ
    정석은 쳐다 보지도 않았구요.

    그래서 결국 수능을 수학으로 망쳐먹었지요. ㅡㅡ;;

  • 14. 국어도
    '11.12.1 1:08 PM (125.140.xxx.49)

    낱말 이해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미미한 의미의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
    예를 들면'비교'와 '비유'의 차잇점이라든지
    '대조'와 '대비'의 차잇점이라든지 등등.

    또 한가지는
    다독이 다 해결해 주는 게 아니라
    한 권을 읽더라도 작가의 생각을 정확하게 짚어 내는 능력을 기르는 게 중요하지요.

    그리고 저 위에 어느 댓글처럼 언어적 '감'이 있어야 하는데
    저처럼 책을 많이 읽지는 않아도 좀 타고 난 감이 있어서
    국어는 정말 공부를 따로 하지 않아도 크게 점수 변화가 없이
    고득점을 유지한 거 같아요.
    5학년 후반대인 지금도 수능 언어영역은 시간 제대로 지켜서
    한번씩 풀어 보는데 2등급에서 3등급 점수가 나오네요.

  • 15. ..
    '11.12.1 1:13 PM (112.187.xxx.132)

    책읽기가 가장 중요합니다.
    전 학창시절에 국어 시험은 공부 안했어요. 공부하면 오히려 80점 맞고 그냥 보면 90점대였는데 정말 책 많이 읽었습니다.

    친구가 학원샘하는데 그 친구가 가르치는 학생이 국어를 못하니 수학도 못한다고.
    간단한 산수는 잘하는데 수학문제를 읽고 이해를 못한다네요.

    그리고 독서도 수준에 맞춰 지도해주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독서를 아무리 많이해도 수준에 맞게 읽지 않으면 소용없더라구요.
    책읽는걸 싫어한다면 위에 님 말씀대로 만화책부터라도 읽어보게 하세요!!

  • 16. VERO
    '13.10.15 1:56 PM (59.12.xxx.248)

    국어공부법,,저도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031 내 남편 나한테 꽉 잡혀살아~! 하는 사람들.. 8 애처가?공처.. 2012/02/06 3,511
68030 얼마전에 손해보고 환매한 펀드때문에. 6 얼마전 2012/02/06 2,317
68029 소화가 계속 안되고 트림이 나오고 살이 빠지는경우... 4 시어머님 2012/02/06 4,734
68028 40중반골프채풀세트추천** 4 골프채 2012/02/06 1,418
68027 주택담보대출에 관해서 문의좀.. 2 봄비 2012/02/06 1,197
68026 남편 카카오톡에 모르는 여자가 등록되어있어요 12 .. 2012/02/06 4,219
68025 어떤 스탈의 트랜치코트가 어우릴까요? 3 얼큰의 비애.. 2012/02/06 1,416
68024 90년대 아역배우인데 이름 아시는 분 8 궁금 2012/02/06 6,200
68023 오줌 맞는 꿈 꿨는데. 좋은 꿈인가요? 2 궁금이 2012/02/06 7,700
68022 강용석 "막말 트위터 취중에 썼지만 진심" 7 세우실 2012/02/06 2,056
68021 장근석이 누군지는 잘 모르지만 일본에서 키가지고 비난이 있나 보.. 25 .... 2012/02/06 5,286
68020 교회 다니는 분께 여쭤요. 교회활동에 열심인 조카얘기 7 개신교문의 2012/02/06 2,201
68019 미국산 잣이 있나요.? 4 미국사시는분.. 2012/02/06 2,396
68018 코엑스 vizavi (비자비) 부페어때요? 2 ... 2012/02/06 2,482
68017 김현정의 뉴스쇼 [변상욱의 기자수첩]2월6일 ; 강용석 의원의.. 사월의눈동자.. 2012/02/06 2,123
68016 위킹맘들은 동네 친구 안만드시나요? 8 손님 2012/02/06 2,884
68015 집은 A부동산에서 보고 계약은 B에서 해도 되나요? 7 싫어 2012/02/06 5,469
68014 ‘한국의 밤’에 초대된 외국유명CEO들.... 한국의 맛에 매료.. 1 lsatan.. 2012/02/06 1,429
68013 입주 교포 이모님 의료보험 관련 2 신세계 2012/02/06 2,194
68012 쌈으로 먹을 다시마가 너무짜요.ㅠㅠ 5 다시마 2012/02/06 2,061
68011 남편은 사고쟁이 1 .. 2012/02/06 1,438
68010 오늘 인간극장 보셨어요? 36 보셨어요? 2012/02/06 14,474
68009 가스오븐레인지 사려는데, 어떤 제품이 좋을까요? 2 가스오븐레인.. 2012/02/06 1,764
68008 장터에서 드림을 했습니다. 20 .. 2012/02/06 3,153
68007 초등학교 학군 여쭤볼께요. ㅊㄷㅎㄱ 2012/02/06 1,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