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자렌지 없이 살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달고나 조회수 : 6,939
작성일 : 2011-11-30 18:16:39

직장맘이라서 밥이며 떡이며 전자렌지를 끼고 산지 어언~~결혼이후만도 8년인데..

아기도 생겼고, 안쓰자니 너무 아쉽지만 건강을 생각해서 안써야할텐데..

안쓰시는분들 보통 어떻게 사시나요?

 

차가운밥 데우기 , 남은 피자데우기 , 땡땡얼어버린 국데우기 등등..........

쓰다보니 더 많은데 부끄러버서 못쓰겠네요~~ 꼭 답변부탁드려요~

 

여의도들 가셔서 무플되는거 아닐랑가? ㅋㅋㅋㅋ

 

IP : 218.146.xxx.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전자렌지 없이 살수있어요~
    '11.11.30 6:19 PM (59.12.xxx.162)

    전자파 때문에 버린지 10년 다되가는데
    다 잘 살아요 밥솥이랑 후라이팬, 오븐 이용하면 되요
    찬밥 밥솥에 재취사 누르고 피자는 후라이팬이나 오븐~
    단 그 백설에서 나오는 브라우니를 못해먹어서.....ㅠㅠ

  • 2. ...
    '11.11.30 6:19 PM (112.151.xxx.58)

    차가운밥은 전기밥솥 뎁히기 기능
    남은 피자-후라이팬 또는 직화구이기 이용
    얼은건 녹였다가 다시 끓임

    저는 안쓴지 5년 됬는데요. 요즘은 다시 구입하고 싶어지는데요. 그냥 쓰세요.
    설거지거리가 많이 생겨요.

  • 3. 늘상
    '11.11.30 6:20 PM (1.246.xxx.160)

    전자렌지 없이 살고 있어요.

    애들도 셌이고요.

    왜 필요한거여욤? 뭐뭐 할때 필요하실까나 ~~ ㅎㅎ 습관이되서 제겐 필요없는 물건같아요.

  • 4. 된다!!
    '11.11.30 6:23 PM (218.49.xxx.46)

    결혼 1년차인데요... 전자렌지가 없어요.
    친정에서는 있었는데..
    엄마도 저도 써본적이 없구요..

    전 밥은 안남기는 편이고 남은 밥은 새로한 밥 귀퉁이 뒀다가 제가 먹어요..
    그리고 해동시킬일 있으면
    미리 전날 꺼내놔서 해동 시키고..

    탕수육 같은거 남은것은 그냥 그대로 먹어요
    피자 역시 그냥 먹거나 가스 약불에 데우구요

    원래 안쓰고 그냥 그렇게 살아 그런지
    전자렌지가 꼭 필요하지는 않더라구요

    습관되면 그냥 그런가부다 하게 되요

  • 5. 저도
    '11.11.30 6:30 PM (114.206.xxx.66)

    안쓰려고 노력해요...
    그러다보니깐.... 국얼린거는 그냥 다시 냄비에 넣고 끓이고요...
    남은밥은 퍼뒀다가...밥 새로하면 옆에다 놓거 데펴먹던가....
    피자같은게...참... 곤란한데....
    그래서 자주 안먹게 되거나..시키면 작은사이즈로 다 먹을수 있게 시켜요..
    요즘엔... 해동기능이 참 아쉬워서.. 해동할땐 쓰네요...

  • 6. 없으면
    '11.11.30 6:55 PM (61.73.xxx.136) - 삭제된댓글

    없는대로 또 살아지더라구요.
    저도 처음엔 건강 생각해서 일단 없애버리고 전기찜기 사다놓고는 잠깐 쓰고 그냥 쳐박아뒀어요.
    지금은 큰 냄비에 찜기 얹어서 대충 쪄먹어요.
    땡땡 언 것 해동시키는 시간이 좀 필요한 거만 불편하고 요즘 나오는 전자렌지에 돌려쓰는 팩 같은 건 좀 아쉽긴 하지만 없으면 없는대로 다 살아지잖아요.
    일단 없애야 되요. ㅋㅋ

  • 7. ^^
    '11.11.30 10:50 PM (121.124.xxx.18)

    전 아예 전자렌지 안 쓰는 주의인데요
    원글님이 말씀하신 대로 하자면

    찬밥 데우기 --> 쪄저 먹거나 뜨거운 국에 말아먹기
    남은 피자 데우기 -->스텐후라이팬에 아주 약한 불로 뚜껑 덮어 두면 OK
    땡땡 언 국 데우기 --> 그냥 냄비에 넣고 녹이면서 끓여요

    해동 부분은 가능한 미리 냉동실에서 냉장고로 옮겨 녹이는 편이구요

    살다보니 전자렌지 없어도 아무 불편 없다!! 입니다.^^

  • 8. 없는데 익숙해지면...
    '11.11.30 11:27 PM (116.122.xxx.14)

    고장나서 버리고 사용안한지 7년쯤 되어가나봐요.
    음료나 우유같은 것은 중탕으로 뎁히고,
    음식은 될 수 있으면 한끼에 끝날 수 있도록 적은 양을 해요.
    최대한 음식이 남지 않도록 하는 거죠.
    만약 남은 음식이 있으면 후라이팬, 전기오븐, 냄비등을 이용해서 데우고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구요, 전자렌지에 데운 것 보다는 덜 눅눅해요.)
    찬밥은 밥 할때 쌀 위에 가만히 올려두고 같이 밥하면 새로 한 밥 처럼 되구요.

    대신 전자렌지가 없어서 밥을 냉동시킬 수는 없더라구요.
    급할 때도 밥을 새로 해야해요. ㅠ.ㅠ(집에 전기밥솥도 없는 사람이라서....)

  • 9. 없는데 익숙해지면...
    '11.11.30 11:32 PM (116.122.xxx.14)

    아 참 또 전자렌지가 생각날 때는 핫팩하고 싶을 때요...
    남편이나 저나 몸이 으슬거려 핫팩이 생각날때는 아쉽기는 해요.
    그래도 없는데 어쩌겠어요. 다른 방법을 강구하는 수 밖에요. (없으면 없는데로 살아지네요.)
    핫팩 대신 사용하는 방법이...
    유리병에 끓는 물을 부어 수건으로 감싸서 끌어안고 있어요.^^

  • 10. 없는대로 살아요
    '11.11.30 11:54 PM (124.195.xxx.143)

    저도 아쉬울 때는
    딱 핫팩 할때 뿐이에요

    밥은 잘 안얼려요
    설겆이 할때 매번 다음끼니 쌀을 담그기 때문에
    밥이 워낙 금방되서요

    국은 두꺼운 냄비에 얼린 팩 꺼내서 뚜껑덮어주면 잘 녹고 끓어요

    피자도 매한가지로 약불에서 하면 눝지 않고 따끈하게 데워지고요

    없으면 없는대로 별로 불편한지 모르겠어요

  • 11. 원글이..
    '11.12.1 3:06 PM (218.146.xxx.4)

    역시 살림고수님들~~ 감사드려요~
    어제 집에가서 얼른 밥한숟락뜨고 애기 데릴러가야해서 찬밥에 국말아먹고, 남은밥들중 두공기만 얼른 밥솥에 데우기로 넣었어요..근데 글쎄 남편이 전자련지에 데워먹고있더라구요~~ 너무 익숙해진 풍경.. 하나씩 고쳐가야할듯해요..ㅎ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818 생협 요리애 어떠세요? 5 정보사냥 2011/12/01 1,442
43817 신문 업은 종편 “1년에 100억 달라” 대놓고 광고 압박 4 매일행복 2011/12/01 1,292
43816 종편티비안나오는 iptv없나요?? 알려주세요 바꾸게요. 2 아준맘 2011/12/01 1,233
43815 거실에 식탁 두신 분 계신가요? 10 거실에 2011/12/01 8,282
43814 12월 1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세우실 2011/12/01 1,044
43813 6학년 남아 가방 어떤 종류를 드나요? 3 플로렌스 2011/12/01 1,036
43812 모유수유할때요, 많이 먹어야 젖양도 느는건가요? 6 돼지가 되가.. 2011/12/01 2,024
43811 나는 꼼수다를 바라보는 추산 인원의차이 5 광팔아 2011/12/01 1,720
43810 경제 독점과 정치독제는 한 배. 올바른 주권.. 2011/12/01 666
43809 나꼼수 콘서트...아침뉴스 보다 씁쓸.. 6 에구 2011/12/01 3,123
43808 박그네가 대통령되면 공포정치의 시대가 오겠죠.. 5 푸하학 2011/12/01 1,304
43807 역시 명불허전! tv조선이네요.ㅋㅋㅋ 9 푸학 2011/12/01 5,141
43806 (이 시국에 죄송)냉장고 선택좀 도와주세요. 6 고민 2011/12/01 1,087
43805 한나라당 국회의원과 이명박을 뽑지 않았으나.. 3 힘들어 2011/12/01 1,012
43804 10만 넘을지도 5 FTA폐기 2011/12/01 1,932
43803 오늘 종편 개국! 예능, 드라마 쭉 한번 살펴보세요. 호기심이 .. 39 아하 2011/12/01 8,999
43802 나꼼수 다녀왔는데요 5 반지 2011/12/01 2,186
43801 민주주의의 발전이 이런거네요,, 2 나나나 2011/12/01 1,166
43800 12월 10일이 무슨날이기에.. 1 죄송한데 2011/12/01 1,891
43799 뉴스에 나오네요,,, 10만 1 나나나 2011/12/01 2,079
43798 가방관련 꿈해몽 부탁드려요.. 1 꿈해몽 2011/12/01 7,417
43797 딴지일보 사이트 잘 돌아가나요? 1 .. 2011/12/01 1,342
43796 저도 후기요 4 한미fta반.. 2011/12/01 1,518
43795 두런두런 경제까페 놀러가서 내년 살림 진단해봐요~ 나도꽃 2011/12/01 731
43794 FTA 관련 예산 수년째 과다 책정 25%를 딴 곳 전용 참맛 2011/12/01 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