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맘이라서 밥이며 떡이며 전자렌지를 끼고 산지 어언~~결혼이후만도 8년인데..
아기도 생겼고, 안쓰자니 너무 아쉽지만 건강을 생각해서 안써야할텐데..
안쓰시는분들 보통 어떻게 사시나요?
차가운밥 데우기 , 남은 피자데우기 , 땡땡얼어버린 국데우기 등등..........
쓰다보니 더 많은데 부끄러버서 못쓰겠네요~~ 꼭 답변부탁드려요~
여의도들 가셔서 무플되는거 아닐랑가? ㅋㅋㅋㅋ
직장맘이라서 밥이며 떡이며 전자렌지를 끼고 산지 어언~~결혼이후만도 8년인데..
아기도 생겼고, 안쓰자니 너무 아쉽지만 건강을 생각해서 안써야할텐데..
안쓰시는분들 보통 어떻게 사시나요?
차가운밥 데우기 , 남은 피자데우기 , 땡땡얼어버린 국데우기 등등..........
쓰다보니 더 많은데 부끄러버서 못쓰겠네요~~ 꼭 답변부탁드려요~
여의도들 가셔서 무플되는거 아닐랑가? ㅋㅋㅋㅋ
전자파 때문에 버린지 10년 다되가는데
다 잘 살아요 밥솥이랑 후라이팬, 오븐 이용하면 되요
찬밥 밥솥에 재취사 누르고 피자는 후라이팬이나 오븐~
단 그 백설에서 나오는 브라우니를 못해먹어서.....ㅠㅠ
차가운밥은 전기밥솥 뎁히기 기능
남은 피자-후라이팬 또는 직화구이기 이용
얼은건 녹였다가 다시 끓임
저는 안쓴지 5년 됬는데요. 요즘은 다시 구입하고 싶어지는데요. 그냥 쓰세요.
설거지거리가 많이 생겨요.
전자렌지 없이 살고 있어요.
애들도 셌이고요.
왜 필요한거여욤? 뭐뭐 할때 필요하실까나 ~~ ㅎㅎ 습관이되서 제겐 필요없는 물건같아요.
결혼 1년차인데요... 전자렌지가 없어요.
친정에서는 있었는데..
엄마도 저도 써본적이 없구요..
전 밥은 안남기는 편이고 남은 밥은 새로한 밥 귀퉁이 뒀다가 제가 먹어요..
그리고 해동시킬일 있으면
미리 전날 꺼내놔서 해동 시키고..
탕수육 같은거 남은것은 그냥 그대로 먹어요
피자 역시 그냥 먹거나 가스 약불에 데우구요
원래 안쓰고 그냥 그렇게 살아 그런지
전자렌지가 꼭 필요하지는 않더라구요
습관되면 그냥 그런가부다 하게 되요
안쓰려고 노력해요...
그러다보니깐.... 국얼린거는 그냥 다시 냄비에 넣고 끓이고요...
남은밥은 퍼뒀다가...밥 새로하면 옆에다 놓거 데펴먹던가....
피자같은게...참... 곤란한데....
그래서 자주 안먹게 되거나..시키면 작은사이즈로 다 먹을수 있게 시켜요..
요즘엔... 해동기능이 참 아쉬워서.. 해동할땐 쓰네요...
없는대로 또 살아지더라구요.
저도 처음엔 건강 생각해서 일단 없애버리고 전기찜기 사다놓고는 잠깐 쓰고 그냥 쳐박아뒀어요.
지금은 큰 냄비에 찜기 얹어서 대충 쪄먹어요.
땡땡 언 것 해동시키는 시간이 좀 필요한 거만 불편하고 요즘 나오는 전자렌지에 돌려쓰는 팩 같은 건 좀 아쉽긴 하지만 없으면 없는대로 다 살아지잖아요.
일단 없애야 되요. ㅋㅋ
전 아예 전자렌지 안 쓰는 주의인데요
원글님이 말씀하신 대로 하자면
찬밥 데우기 --> 쪄저 먹거나 뜨거운 국에 말아먹기
남은 피자 데우기 -->스텐후라이팬에 아주 약한 불로 뚜껑 덮어 두면 OK
땡땡 언 국 데우기 --> 그냥 냄비에 넣고 녹이면서 끓여요
해동 부분은 가능한 미리 냉동실에서 냉장고로 옮겨 녹이는 편이구요
살다보니 전자렌지 없어도 아무 불편 없다!! 입니다.^^
고장나서 버리고 사용안한지 7년쯤 되어가나봐요.
음료나 우유같은 것은 중탕으로 뎁히고,
음식은 될 수 있으면 한끼에 끝날 수 있도록 적은 양을 해요.
최대한 음식이 남지 않도록 하는 거죠.
만약 남은 음식이 있으면 후라이팬, 전기오븐, 냄비등을 이용해서 데우고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구요, 전자렌지에 데운 것 보다는 덜 눅눅해요.)
찬밥은 밥 할때 쌀 위에 가만히 올려두고 같이 밥하면 새로 한 밥 처럼 되구요.
대신 전자렌지가 없어서 밥을 냉동시킬 수는 없더라구요.
급할 때도 밥을 새로 해야해요. ㅠ.ㅠ(집에 전기밥솥도 없는 사람이라서....)
아 참 또 전자렌지가 생각날 때는 핫팩하고 싶을 때요...
남편이나 저나 몸이 으슬거려 핫팩이 생각날때는 아쉽기는 해요.
그래도 없는데 어쩌겠어요. 다른 방법을 강구하는 수 밖에요. (없으면 없는데로 살아지네요.)
핫팩 대신 사용하는 방법이...
유리병에 끓는 물을 부어 수건으로 감싸서 끌어안고 있어요.^^
저도 아쉬울 때는
딱 핫팩 할때 뿐이에요
밥은 잘 안얼려요
설겆이 할때 매번 다음끼니 쌀을 담그기 때문에
밥이 워낙 금방되서요
국은 두꺼운 냄비에 얼린 팩 꺼내서 뚜껑덮어주면 잘 녹고 끓어요
피자도 매한가지로 약불에서 하면 눝지 않고 따끈하게 데워지고요
없으면 없는대로 별로 불편한지 모르겠어요
역시 살림고수님들~~ 감사드려요~
어제 집에가서 얼른 밥한숟락뜨고 애기 데릴러가야해서 찬밥에 국말아먹고, 남은밥들중 두공기만 얼른 밥솥에 데우기로 넣었어요..근데 글쎄 남편이 전자련지에 데워먹고있더라구요~~ 너무 익숙해진 풍경.. 하나씩 고쳐가야할듯해요..ㅎㅎㅎ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71876 | 시조카 둘 입학 때문에 고민입니다 6 | 레몬찌개 | 2012/02/15 | 1,769 |
71875 | 잠실사는데 걷기운동하기 좋은곳어디있을까요? 7 | 하루한시간정.. | 2012/02/15 | 1,357 |
71874 | 우유로 때 미는 분 계세요? 8 | 대중목욕탕 | 2012/02/15 | 4,596 |
71873 | 한다리 건너 아는 친구...축의금 얼마.. 12 | 축의금 | 2012/02/15 | 1,560 |
71872 | 괜찮은 유선방송 뭐가 있을까요? | xlql | 2012/02/15 | 547 |
71871 | 부엌가구 교체 경험문의 1 | 푸우 | 2012/02/15 | 1,039 |
71870 | 인터넷요금 할인받으려고요... 3 | 절약하자 | 2012/02/15 | 1,356 |
71869 | 내가 미쳤어, 문재인님!! 13 | ... | 2012/02/15 | 2,421 |
71868 | 묵을 쒀야 하나요? | 연꽃씨 | 2012/02/15 | 609 |
71867 | 우리아비바 비과세복리상품 어떤지요? 2 | 복리 | 2012/02/15 | 1,415 |
71866 | 영어책에 표시 안돼있음 리딩레벨 어떻게 알수 있나요 1 | ort | 2012/02/15 | 1,192 |
71865 | 대형 식품사 초콜릿에 어떻게 세균이 들어갈수 있어요? 5 | 궁금해서 | 2012/02/15 | 1,397 |
71864 | 혹시 토목달이라고 들어보셨는지요? | 2012/02/15 | 623 | |
71863 | 신용카드 사용액이 소득보다 많은 ~ 7 | 카드사용액 | 2012/02/15 | 2,092 |
71862 | 아이들 보험을 100세만기 실비보험으로 바꿀만할까요? 10 | 보험 | 2012/02/15 | 1,934 |
71861 | 여드름에 비비 | 딸피부 | 2012/02/15 | 873 |
71860 | 무신에서 월아헤어스타일요 | ... | 2012/02/15 | 750 |
71859 | 요즘 제평(제일평화)나 광희시장가보신분 계세요.. 3 | .. | 2012/02/15 | 2,134 |
71858 | 밀레니엄 미국판 결말을 바꾼 건가요? 5 | ... | 2012/02/15 | 2,424 |
71857 | 부산님들!) 부산 동아대 구덕캠 부근 하숙 도와주세요! 1 | 급한 맘 | 2012/02/15 | 1,817 |
71856 | 제가 사는 동네 엄마들 집에 없는 것 44 | ㅇㅇ | 2012/02/15 | 18,354 |
71855 | 축의금 핸드폱번호로보낼수있나요 2 | 윈터메리쥐 | 2012/02/15 | 765 |
71854 | 알바들 속속 움직이는듯~ 19 | 시급인생 | 2012/02/15 | 1,460 |
71853 | 3월 국내여행 어디가 좋을까요? 6 | 3월한국 | 2012/02/15 | 2,566 |
71852 | 중국서 "한국드라마는 쓰레기" 논란…中정부 규.. 4 | 호박덩쿨 | 2012/02/15 | 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