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드라마 보면 부분 조명을 많이 쓰던데..

> 조회수 : 2,422
작성일 : 2011-11-30 11:50:24

왜 그럴까요? 아늑해 보여서?? 집이 넓으니 그렇게라도 집 꾸밈을 해 놓아야 해서?

가난한 집이든 부잣집이든 다들 부분 조명이네요

환한 분위기는 시트콤에서나 보여지는듯 하고..

 

천정에 공사를 안하는 건지...부분 조명하면 전기세가 더 비쌀듯 한데..

영화나 드라마 볼때마다 궁금해요~

 

 

IP : 121.170.xxx.9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1.11.30 12:02 PM (174.93.xxx.107)

    외국은 왜 부분조명이냐면요

    건물이 지어진지 오래되어서 그런거 같아요 (제 짐작입니다)
    보통의 집들이 보통 100년씩 오래된 집들이 많거든요

    그 시절에 웬 전등이 있었겠어요

    그러다 전기가 들어왔고, 선을 건물안에 갑자기 넣기보다는
    스텐드라는 걸 쓰는게 쉬웠을거구

    그렇게 살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되었겠죠

    그리고 목조 건물들이 많아서 전선을 안에 넣는거보다는
    스텐드를 쓰는게 안전할거 같네요

  • 2. 동감
    '11.11.30 12:06 PM (222.238.xxx.49)

    윗분 말씀이 맞아요. 우리 나라는 기본적으로 직접 조명이지만 미국만 해도 간접조명이 기본이랍니다.

    미국 아파트 가보면요, 우리 나라처럼 전구만 끼워 넣으면 불 오게 되어 있고 뭐 그런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아요. 전기 꽂는 곳만 있지요. 우리 나라가 집들어 오면 조명 스위치 켜는 식으로 얘네들은 스탠드 켠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 3. ..
    '11.11.30 12:12 PM (221.148.xxx.37)

    미국에서 지진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들었어요. 지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가 커서 우리나라와 같은 조명시설을 하지 않는다고요.

  • 4. 나거티브
    '11.11.30 12:17 PM (118.46.xxx.91)

    미드를 그렇게 보고도 그냥 드라마에서 분위기 잡느라고 그러는 줄 알았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 5. 외국에서
    '11.11.30 12:26 PM (210.94.xxx.89)

    잠깐씩 생활할때 젤 힘든게 바로 그 조명이었어요..
    상대적으로 전력 효율도 나쁜데 왜 그런 누런 백열등으로 부분 조명을 하는지..
    호텔에서 책보기도 힘들고..

    지진 같은 부분도 있긴 하겠지만, 일반 주택의 경우 목조 주택이 많아서 천정 조명을 별로 안한데요

  • 6. 전구발명이
    '11.11.30 12:31 PM (174.93.xxx.107)

    1880년에 전구가 발명이 되었네요

    그런데 미국이나 카나다에 있는 많은 집들은 그당시에 지어진 집들이 아직도 많구요
    전구의 상용화는 한참 이후였을거니까

    스텐드를 쓰기가 훨씬 편했을거구
    그러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된게 맞는거 같네요

    한국도 전에는 전기줄이 천정에 늘어지고 그랬었지요 ㅎㅎ

    그때가 그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868 냄새 안나는 청국장 맛있네요 3 .... 2012/01/17 1,390
60867 로봇청소기 쓰시는 분 계신가요? 3 문의 2012/01/17 1,511
60866 섬유유연제 추천해주세요 (동네 슈퍼에서 살거에용) 7 정전기 2012/01/17 1,619
60865 흑마늘에 대해서 잘 아시나요? 6 갈등이야 2012/01/17 1,771
60864 캐시미어 100% 남자 코트요.. 9 쇼핑맘 2012/01/17 4,918
60863 카이스트나 서울대 이공계 졸업 후 진로가 어찌 되나요? 34 의대싫은 이.. 2012/01/17 34,151
60862 제가 욕심이 많은걸까요? 22 장남며느리 2012/01/17 4,165
60861 도우미아주머니 딸 결혼할 때 축의금은 얼마가 나을까요? 3 도우미아주머.. 2012/01/17 2,172
60860 민주 정동영 부산 영도서 총선 출마 19 세우실 2012/01/17 1,997
60859 이민정씨 보고 제발 여신이라고 좀 하지마세요 65 이상함 2012/01/17 16,125
60858 결혼할때 반반씩 해가서, 시댁 눈치 안보고 일 덜하는 분 계신가.. 36 ㅇㄹ 2012/01/17 6,382
60857 사골끓이고 냉동실 보관은 어떻게 하시나요? 5 사골 2012/01/17 2,141
60856 정준하씨 노래가 저를 울리네요 ㅠㅠㅠ 6 진심 2012/01/17 2,360
60855 아파트에 살면서 유선안보는데도 kbs가 안나오네요 2 케이블티비 2012/01/17 1,918
60854 요즘도 한국에서 유럽 미국행 화물 선박이 일본 들러서 가나요? 방사능 2012/01/17 1,027
60853 82회원님 남편분이 신춘문예 당선되었다고... 3 궁금 2012/01/17 1,772
60852 사고력수학 교수법을 배울까요 말까요? 5 익명 2012/01/17 1,713
60851 딕쏘 원터치 ...살려고 하는데..써 보신 분?? 1 rrr 2012/01/17 1,884
60850 <누가 박정희를 용서했는가> 저자 김재홍 전 의원 인.. 2 객관적평가 2012/01/17 1,247
60849 어린시절 학대했다며 친모 살해하려 한 전직 한의사 구속 12 ... 2012/01/17 4,519
60848 1,2시간 기다리는것은 아무것도 아닌가봐요 3 동네 미장원.. 2012/01/17 1,300
60847 2007년 박근혜 캠프 수억원대 경선자금 불법모금 참맛 2012/01/17 921
60846 500만원정도 적금 1년짜리 들만한곳... 4 저리 2012/01/17 2,366
60845 특강비용 너무 비싸요 3 학원특강 2012/01/17 1,642
60844 사회 지도층의 자제가 공대가는것 봤나요? 14 사회지도층 2012/01/17 3,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