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드라마 보면 부분 조명을 많이 쓰던데..

> 조회수 : 2,440
작성일 : 2011-11-30 11:50:24

왜 그럴까요? 아늑해 보여서?? 집이 넓으니 그렇게라도 집 꾸밈을 해 놓아야 해서?

가난한 집이든 부잣집이든 다들 부분 조명이네요

환한 분위기는 시트콤에서나 보여지는듯 하고..

 

천정에 공사를 안하는 건지...부분 조명하면 전기세가 더 비쌀듯 한데..

영화나 드라마 볼때마다 궁금해요~

 

 

IP : 121.170.xxx.9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1.11.30 12:02 PM (174.93.xxx.107)

    외국은 왜 부분조명이냐면요

    건물이 지어진지 오래되어서 그런거 같아요 (제 짐작입니다)
    보통의 집들이 보통 100년씩 오래된 집들이 많거든요

    그 시절에 웬 전등이 있었겠어요

    그러다 전기가 들어왔고, 선을 건물안에 갑자기 넣기보다는
    스텐드라는 걸 쓰는게 쉬웠을거구

    그렇게 살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되었겠죠

    그리고 목조 건물들이 많아서 전선을 안에 넣는거보다는
    스텐드를 쓰는게 안전할거 같네요

  • 2. 동감
    '11.11.30 12:06 PM (222.238.xxx.49)

    윗분 말씀이 맞아요. 우리 나라는 기본적으로 직접 조명이지만 미국만 해도 간접조명이 기본이랍니다.

    미국 아파트 가보면요, 우리 나라처럼 전구만 끼워 넣으면 불 오게 되어 있고 뭐 그런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아요. 전기 꽂는 곳만 있지요. 우리 나라가 집들어 오면 조명 스위치 켜는 식으로 얘네들은 스탠드 켠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 3. ..
    '11.11.30 12:12 PM (221.148.xxx.37)

    미국에서 지진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들었어요. 지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가 커서 우리나라와 같은 조명시설을 하지 않는다고요.

  • 4. 나거티브
    '11.11.30 12:17 PM (118.46.xxx.91)

    미드를 그렇게 보고도 그냥 드라마에서 분위기 잡느라고 그러는 줄 알았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 5. 외국에서
    '11.11.30 12:26 PM (210.94.xxx.89)

    잠깐씩 생활할때 젤 힘든게 바로 그 조명이었어요..
    상대적으로 전력 효율도 나쁜데 왜 그런 누런 백열등으로 부분 조명을 하는지..
    호텔에서 책보기도 힘들고..

    지진 같은 부분도 있긴 하겠지만, 일반 주택의 경우 목조 주택이 많아서 천정 조명을 별로 안한데요

  • 6. 전구발명이
    '11.11.30 12:31 PM (174.93.xxx.107)

    1880년에 전구가 발명이 되었네요

    그런데 미국이나 카나다에 있는 많은 집들은 그당시에 지어진 집들이 아직도 많구요
    전구의 상용화는 한참 이후였을거니까

    스텐드를 쓰기가 훨씬 편했을거구
    그러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된게 맞는거 같네요

    한국도 전에는 전기줄이 천정에 늘어지고 그랬었지요 ㅎㅎ

    그때가 그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411 비번을 잘못눌러 경고불이 들어왔어요 3 비번 2012/01/27 1,397
64410 한나라당 새 당명 추천함당...JPG 5 ㄷㄷㄷ 2012/01/27 1,605
64409 건강한 사람이 갑자기 죽을 수 있는지요 43 푸른바람 2012/01/27 12,168
64408 어린이용 책 추천 합니다 1 .. 2012/01/27 1,053
64407 혹시 일드 신의 물방울 영어 타이틀 ( 인터내셔널 타이틀) 있나.. -- 2012/01/27 1,775
64406 중고딩조카 둘이 서울 구경 오는데 어딜 가야 할까요 8 중고딩조카 2012/01/27 1,740
64405 최시중, 그냥 사퇴해버리면 땡??!!! 4 도리돌돌 2012/01/27 1,367
64404 방송출연하게 되었는데요....팁 좀 주세요^^ 8 울렁녀 2012/01/27 2,798
64403 북한친구 중국, 선진국 되기엔 99% 부족해 2 safi 2012/01/27 1,095
64402 체험활동 1 잘살자 2012/01/27 1,026
64401 전신 거울 사야 할까봐요. 1 딸아이 2012/01/27 1,388
64400 내맘대로, 헬쓰 중간 보고 3 헬쓰 2012/01/27 1,814
64399 친정 재산 어찌할까요.... 8 소준마미 2012/01/27 8,170
64398 "세계 7대 자연경관은 나의 사기업 캠페인" .. 2 에구구 2012/01/27 1,776
64397 팔자주름에 필러나 시술 받아보신분 없으실까요? 2 dd 2012/01/27 2,913
64396 세부여행 2 그린핑거 2012/01/27 1,544
64395 가난한 프로그래머의 아내입니다-2 4 빈처 2012/01/27 3,408
64394 30개월 안된 아기 충치치료 해보신분 계신가요? 2 예은누리맘 2012/01/27 4,717
64393 엠베스트 인강에 대해 질문.. 6 엠베스트 2012/01/27 2,598
64392 마이크로 소프트사에 대항하는 엄마 !! 5 ... 2012/01/27 1,638
64391 성균관 스캔들을 볼수가없네요..하이디 티비서요.. 1 사극.. 2012/01/27 1,345
64390 빛과 그림자 보시는 분들 1 궁금해요 2012/01/27 1,499
64389 듀란 듀란 공연표 샀어요... 16 그리운 그 .. 2012/01/27 2,339
64388 고3 국사인강 3 olive 2012/01/27 1,528
64387 초6 되는 여자아이 책상 조언 좀 부탁드려요 1 고민 2012/01/27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