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드라마 보면 부분 조명을 많이 쓰던데..

> 조회수 : 2,555
작성일 : 2011-11-30 11:50:24

왜 그럴까요? 아늑해 보여서?? 집이 넓으니 그렇게라도 집 꾸밈을 해 놓아야 해서?

가난한 집이든 부잣집이든 다들 부분 조명이네요

환한 분위기는 시트콤에서나 보여지는듯 하고..

 

천정에 공사를 안하는 건지...부분 조명하면 전기세가 더 비쌀듯 한데..

영화나 드라마 볼때마다 궁금해요~

 

 

IP : 121.170.xxx.9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1.11.30 12:02 PM (174.93.xxx.107)

    외국은 왜 부분조명이냐면요

    건물이 지어진지 오래되어서 그런거 같아요 (제 짐작입니다)
    보통의 집들이 보통 100년씩 오래된 집들이 많거든요

    그 시절에 웬 전등이 있었겠어요

    그러다 전기가 들어왔고, 선을 건물안에 갑자기 넣기보다는
    스텐드라는 걸 쓰는게 쉬웠을거구

    그렇게 살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되었겠죠

    그리고 목조 건물들이 많아서 전선을 안에 넣는거보다는
    스텐드를 쓰는게 안전할거 같네요

  • 2. 동감
    '11.11.30 12:06 PM (222.238.xxx.49)

    윗분 말씀이 맞아요. 우리 나라는 기본적으로 직접 조명이지만 미국만 해도 간접조명이 기본이랍니다.

    미국 아파트 가보면요, 우리 나라처럼 전구만 끼워 넣으면 불 오게 되어 있고 뭐 그런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아요. 전기 꽂는 곳만 있지요. 우리 나라가 집들어 오면 조명 스위치 켜는 식으로 얘네들은 스탠드 켠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 3. ..
    '11.11.30 12:12 PM (221.148.xxx.37)

    미국에서 지진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들었어요. 지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가 커서 우리나라와 같은 조명시설을 하지 않는다고요.

  • 4. 나거티브
    '11.11.30 12:17 PM (118.46.xxx.91)

    미드를 그렇게 보고도 그냥 드라마에서 분위기 잡느라고 그러는 줄 알았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 5. 외국에서
    '11.11.30 12:26 PM (210.94.xxx.89)

    잠깐씩 생활할때 젤 힘든게 바로 그 조명이었어요..
    상대적으로 전력 효율도 나쁜데 왜 그런 누런 백열등으로 부분 조명을 하는지..
    호텔에서 책보기도 힘들고..

    지진 같은 부분도 있긴 하겠지만, 일반 주택의 경우 목조 주택이 많아서 천정 조명을 별로 안한데요

  • 6. 전구발명이
    '11.11.30 12:31 PM (174.93.xxx.107)

    1880년에 전구가 발명이 되었네요

    그런데 미국이나 카나다에 있는 많은 집들은 그당시에 지어진 집들이 아직도 많구요
    전구의 상용화는 한참 이후였을거니까

    스텐드를 쓰기가 훨씬 편했을거구
    그러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된게 맞는거 같네요

    한국도 전에는 전기줄이 천정에 늘어지고 그랬었지요 ㅎㅎ

    그때가 그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217 중 1,2 아이들 요즘 어떻게 지내고 있나요? 7 공부? 2012/03/04 2,053
79216 유료 어플이요 5 처음이에요 2012/03/04 1,353
79215 온라인 심리검사 참여자 구합니다 (해석도 해드림) 12 오세오세 2012/03/04 2,206
79214 지금 kbs에 송창식 나왔어요. 1 세상 2012/03/04 1,283
79213 요즘에 방영하는 일드중 재밌는거 뭐 있을까요 3 ㅎㅎㅎ 2012/03/04 1,656
79212 중1 과목별 자습서추천좀 해주세요^^ 4 중1엄마 2012/03/04 1,533
79211 피부톤 하얗게 할수 있을까요? 2 얼굴 2012/03/04 2,124
79210 제한적 상황에서 최대치를 끌어내고 싶어요, 살도 빼고 건강해 지.. 7 똥돼지 2012/03/04 2,328
79209 대추를 끓이고 있는데 하얀거품 농약인가요? 8 대추 2012/03/04 4,486
79208 콩나물밥..지금 해 놓으면 내일 아침에 먹어도 괜찮을까요? 6 ㄷㄷㄷ 2012/03/04 1,742
79207 영화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극장 자막땜에 이해안감 1 극장자막 좀.. 2012/03/04 2,070
79206 시낭송 테이프나 CD 시낭송 2012/03/04 731
79205 트루발란스 넘좋네요!! 트루트루 2012/03/04 1,113
79204 좀 아까 아이 발톱을 깎아주다 놀랬어요. 5 ㅇㅇ 2012/03/04 3,249
79203 50대 후반 60 초반 아주머니가 빤히 쳐다보는거.. 35 ㅇㅇ 2012/03/04 16,941
79202 진짜 매력 없는 내 몸뚱아리 7 .... 2012/03/04 3,595
79201 시부모님하고 여행갈때 방을 따로 잡는게 좋나요? 방하나 같이 쓰.. 1 여행. 2012/03/04 2,412
79200 스마트폰이 집밖에선 인터넷 잘터지나요? 6 이뭐여.. 2012/03/04 1,255
79199 염치없지만.. 영어 해석 부탁드립니다.. 2 내생에봄날은.. 2012/03/04 1,146
79198 V3 바이러스 백신이 실행이 안 될 때 10 쥐잡자 2012/03/04 4,566
79197 교육대학원 철학(교육)과는 어느 대학에 있나요? 4 --- 2012/03/04 1,597
79196 한달 30만원적금 어디가 괜찮을까요? 2 적금 2012/03/04 3,725
79195 가슴 큰 사람들의 신체적 특징은 뭘까요? 16 아지아지 2012/03/04 26,152
79194 "김재철, 왜 '여성 피부관리'에 법인카드 썼냐&quo.. 4 참맛 2012/03/04 2,060
79193 지금 82 난리도 아니네요. 24 악성코드 2012/03/04 19,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