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드라마 보면 부분 조명을 많이 쓰던데..

> 조회수 : 2,555
작성일 : 2011-11-30 11:50:24

왜 그럴까요? 아늑해 보여서?? 집이 넓으니 그렇게라도 집 꾸밈을 해 놓아야 해서?

가난한 집이든 부잣집이든 다들 부분 조명이네요

환한 분위기는 시트콤에서나 보여지는듯 하고..

 

천정에 공사를 안하는 건지...부분 조명하면 전기세가 더 비쌀듯 한데..

영화나 드라마 볼때마다 궁금해요~

 

 

IP : 121.170.xxx.9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1.11.30 12:02 PM (174.93.xxx.107)

    외국은 왜 부분조명이냐면요

    건물이 지어진지 오래되어서 그런거 같아요 (제 짐작입니다)
    보통의 집들이 보통 100년씩 오래된 집들이 많거든요

    그 시절에 웬 전등이 있었겠어요

    그러다 전기가 들어왔고, 선을 건물안에 갑자기 넣기보다는
    스텐드라는 걸 쓰는게 쉬웠을거구

    그렇게 살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되었겠죠

    그리고 목조 건물들이 많아서 전선을 안에 넣는거보다는
    스텐드를 쓰는게 안전할거 같네요

  • 2. 동감
    '11.11.30 12:06 PM (222.238.xxx.49)

    윗분 말씀이 맞아요. 우리 나라는 기본적으로 직접 조명이지만 미국만 해도 간접조명이 기본이랍니다.

    미국 아파트 가보면요, 우리 나라처럼 전구만 끼워 넣으면 불 오게 되어 있고 뭐 그런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아요. 전기 꽂는 곳만 있지요. 우리 나라가 집들어 오면 조명 스위치 켜는 식으로 얘네들은 스탠드 켠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 3. ..
    '11.11.30 12:12 PM (221.148.xxx.37)

    미국에서 지진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들었어요. 지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가 커서 우리나라와 같은 조명시설을 하지 않는다고요.

  • 4. 나거티브
    '11.11.30 12:17 PM (118.46.xxx.91)

    미드를 그렇게 보고도 그냥 드라마에서 분위기 잡느라고 그러는 줄 알았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 5. 외국에서
    '11.11.30 12:26 PM (210.94.xxx.89)

    잠깐씩 생활할때 젤 힘든게 바로 그 조명이었어요..
    상대적으로 전력 효율도 나쁜데 왜 그런 누런 백열등으로 부분 조명을 하는지..
    호텔에서 책보기도 힘들고..

    지진 같은 부분도 있긴 하겠지만, 일반 주택의 경우 목조 주택이 많아서 천정 조명을 별로 안한데요

  • 6. 전구발명이
    '11.11.30 12:31 PM (174.93.xxx.107)

    1880년에 전구가 발명이 되었네요

    그런데 미국이나 카나다에 있는 많은 집들은 그당시에 지어진 집들이 아직도 많구요
    전구의 상용화는 한참 이후였을거니까

    스텐드를 쓰기가 훨씬 편했을거구
    그러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된게 맞는거 같네요

    한국도 전에는 전기줄이 천정에 늘어지고 그랬었지요 ㅎㅎ

    그때가 그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768 이즈스킨/이솔/시드물 중에서 천연화장품 2012/03/05 4,295
79767 영어 리딩 레벨 3이면 높은건가요?? 4 질문이요.... 2012/03/05 8,577
79766 나이가 들면 들수록 동생이랑 얼굴이 꼭 닮아가요^^ 3 ^^ 2012/03/05 1,085
79765 드림하이 지겨워요 6 개학했는데 2012/03/05 1,771
79764 엠비..씨네 뉴스데스크 까르띠에광고 방송사고겠죠? 설마.... 5 기막혀~ 2012/03/05 2,150
79763 영어해석 부탁... 2 영어 2012/03/05 652
79762 회사 그만두어야 할 타이밍 인가요? 2 고민녀 2012/03/05 2,301
79761 어린이집에서 하루 종일 울었답니다.. 55 왜그래딸.... 2012/03/05 12,173
79760 이거 성조숙증 증세인가요? 4 고민 2012/03/05 2,159
79759 학원강사)초등학생들 조용히 시키는 노하우 좀 알려주세요 3 아지아지 2012/03/05 4,344
79758 분당이나 수지쪽 가족사진 잘 찍는곳 추천부탁드려요 사진 2012/03/05 620
79757 이번 총선에선 '한나라당'을 지지할 까 합니다 5 mouse 2012/03/05 1,220
79756 중이염으로 아이가 아픈데 내일 진단평가본다는데 결석해도 될까요?.. 4 결석하면? 2012/03/05 1,017
79755 자전거 우비 좋은 거 없을까요? 2 갑갑하다 2012/03/05 1,990
79754 핏플랍, 스팽글 잘 떨어지나요? 7 쪼리 2012/03/05 2,205
79753 증여받은 집(법적으로 아시는분 도움말씀좀...) 7 괴로비 2012/03/05 2,105
79752 주변에 비만인데 이쁘다고 생각하는 사람있으신가요? 그렇게 말하는.. 20 흠냐 2012/03/05 7,056
79751 탑층은 층간소음에서 좀 괜찮을까요? 10 ㅠㅠㅠ 2012/03/05 3,705
79750 이쁜아이도 부모보면 생각이 달라져요.. 2 ... 2012/03/05 1,660
79749 40대 한복 속치마 어떤게 한복맵시가 예쁜가요? 2 질문 2012/03/05 1,477
79748 동향집 4 동향 2012/03/05 3,908
79747 누구눈에는 꿈의 나라라는데. 5 달려라 고고.. 2012/03/05 1,170
79746 무선주전자 소독약 냄새 3 달과 2012/03/05 2,006
79745 4월에 유럽으로 신혼여행겸 배낭여행가는데요..날씨어떤가요? 4 메리미 2012/03/05 3,216
79744 저 지금 나가사끼 끓였는데.. 29 ㅜㅜ 2012/03/05 9,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