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드라마 보면 부분 조명을 많이 쓰던데..

> 조회수 : 2,570
작성일 : 2011-11-30 11:50:24

왜 그럴까요? 아늑해 보여서?? 집이 넓으니 그렇게라도 집 꾸밈을 해 놓아야 해서?

가난한 집이든 부잣집이든 다들 부분 조명이네요

환한 분위기는 시트콤에서나 보여지는듯 하고..

 

천정에 공사를 안하는 건지...부분 조명하면 전기세가 더 비쌀듯 한데..

영화나 드라마 볼때마다 궁금해요~

 

 

IP : 121.170.xxx.9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1.11.30 12:02 PM (174.93.xxx.107)

    외국은 왜 부분조명이냐면요

    건물이 지어진지 오래되어서 그런거 같아요 (제 짐작입니다)
    보통의 집들이 보통 100년씩 오래된 집들이 많거든요

    그 시절에 웬 전등이 있었겠어요

    그러다 전기가 들어왔고, 선을 건물안에 갑자기 넣기보다는
    스텐드라는 걸 쓰는게 쉬웠을거구

    그렇게 살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되었겠죠

    그리고 목조 건물들이 많아서 전선을 안에 넣는거보다는
    스텐드를 쓰는게 안전할거 같네요

  • 2. 동감
    '11.11.30 12:06 PM (222.238.xxx.49)

    윗분 말씀이 맞아요. 우리 나라는 기본적으로 직접 조명이지만 미국만 해도 간접조명이 기본이랍니다.

    미국 아파트 가보면요, 우리 나라처럼 전구만 끼워 넣으면 불 오게 되어 있고 뭐 그런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아요. 전기 꽂는 곳만 있지요. 우리 나라가 집들어 오면 조명 스위치 켜는 식으로 얘네들은 스탠드 켠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 3. ..
    '11.11.30 12:12 PM (221.148.xxx.37)

    미국에서 지진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들었어요. 지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가 커서 우리나라와 같은 조명시설을 하지 않는다고요.

  • 4. 나거티브
    '11.11.30 12:17 PM (118.46.xxx.91)

    미드를 그렇게 보고도 그냥 드라마에서 분위기 잡느라고 그러는 줄 알았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 5. 외국에서
    '11.11.30 12:26 PM (210.94.xxx.89)

    잠깐씩 생활할때 젤 힘든게 바로 그 조명이었어요..
    상대적으로 전력 효율도 나쁜데 왜 그런 누런 백열등으로 부분 조명을 하는지..
    호텔에서 책보기도 힘들고..

    지진 같은 부분도 있긴 하겠지만, 일반 주택의 경우 목조 주택이 많아서 천정 조명을 별로 안한데요

  • 6. 전구발명이
    '11.11.30 12:31 PM (174.93.xxx.107)

    1880년에 전구가 발명이 되었네요

    그런데 미국이나 카나다에 있는 많은 집들은 그당시에 지어진 집들이 아직도 많구요
    전구의 상용화는 한참 이후였을거니까

    스텐드를 쓰기가 훨씬 편했을거구
    그러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된게 맞는거 같네요

    한국도 전에는 전기줄이 천정에 늘어지고 그랬었지요 ㅎㅎ

    그때가 그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2371 4살된 아이가 3일 연속 어린이집에서 맞고 왓어요..ㅠㅠ 3 딸램아~ 2012/03/12 1,762
82370 자동차세를 1월에 15만원 냈는데... 이거 일년치 다 낸건가요.. 3 뭐지 2012/03/12 1,793
82369 요리조리 질문 1 타산지석 2012/03/12 974
82368 커리전문점 강가 8 커리 2012/03/12 2,099
82367 맛 담백하고 깔끔한 우유 추천해주세요 6 ..... 2012/03/12 2,197
82366 어떻게 해야할지ㅡㅡㅡㅡ 95 alzl 2012/03/12 14,991
82365 내겐 애물단지 아이폰... ㅠㅠ 버릴수도 없고.... 2 사랑하지만 2012/03/12 3,047
82364 돌아온 미녀 별이엄마의 피부과체험기 10 **별이엄마.. 2012/03/12 3,203
82363 사인 가족 식비 월 40 정도면 많이 적나요?? 14 ... 2012/03/12 3,647
82362 니트 보폴 ㅠㅠ 도와주세요 9 ..... 2012/03/12 2,044
82361 컴질문) 다음 까페접속이 안되요. 1 데이지 2012/03/12 1,265
82360 4억 정도 아파트 재산세 얼마나오나요? 2 매수인 2012/03/12 15,866
82359 전 예쁘다는 말을 한 번도 못들어봤어요 13 ..... 2012/03/12 3,826
82358 아들이 영어유치원에 다녀오더니...(냉 펑~) 40 심란맘 2012/03/12 12,533
82357 초등6학년 딸아이 빈혈 5 치키치키 2012/03/12 1,895
82356 10억 있으면 중산층 소리 듣나요???? 9 별달별 2012/03/12 5,564
82355 차, 집 잇으면 내는 세금 몇종류나되나요 5 무늬만주부 2012/03/12 2,345
82354 한눈에 반한 사람 6 휴유 2012/03/12 3,333
82353 이제는 애낳고 산후조리하는 것까지도 지랄들을 하네 9 하다하다 2012/03/12 3,474
82352 원인을 찾기보단 땜방이나 책임전가에 급급한 사회 5 봄밤 2012/03/12 1,393
82351 키위 드레싱 대체 어찌 만드는지 궁금해요. 2 맥시칸 샐러.. 2012/03/12 2,089
82350 도우미분애게 반찬 해달라고 할때 ... 4 식단표 2012/03/12 2,045
82349 핑크싫어는 언제 자나요? 2 핑크 2012/03/12 1,266
82348 kbs 2tv에 지금 하는 드라마보니..... 15 시크릿매직 2012/03/12 3,069
82347 터질게 터졌다...역시 경향신문 1 핑클 2012/03/12 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