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내가 반했던 남자, 노무현 / 김어준

저녁숲 조회수 : 3,870
작성일 : 2011-11-29 13:59:12





 

내가 반했던 남자, 노무현
(딴지일보 / 김어준 / 2009-05-25)

 

88년이었을 게다. 그 날은 아침부터 재수, 삼수생 몇 명과 모여 학원 대신 종일 당구를 치고 있었다.

그 시절 그 또래가 5공의 의미를 제대로 알 리 없었다.

게다가 일주일치 식대를 걸고 내기당구까지 치고 있었으니

당구장에서 틀어놓은 5공 청문회에 대한 관심도는, 다이 위의 하꾸 각도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그러니까 그건 순전히 우연이었다. 멈춘 공 앞에 서고 보니 하필 TV와 정면이었고,

그 순간 화면엔 웬 새마을운동 읍내 청년지부장 같이 생긴 남자 하나가 떠 있었다.

무심하게 허리를 숙이는데, 익숙한 얼굴이 언뜻 스쳐갔다. 고개를 다시 들었다.

 

정주영이었다.

그 남자는 몰라도 정주영이 얼마나 거물인지는 그 나이에도 익히 알고 있던 터였다.

그 촌뜨기가 그런 거물을 상대로 대체 무슨 말을 하려는 걸까. 갑자기 호기심이 동했다.

타임을 외치고 TV 앞으로 달려갔다.

 

일해재단 성금의 강제성 여부를 묻는 질의에 "안 주면 재미없을 것 같아" 줬다 답함으로써

스스로를 정경유착의 공범이 아니라 군사정권의 일방적 피해자로 둔갑시키며

공손히 '회장님' 대접을 받고 있던 정주영을, 그 촌뜨기만은 이렇게 몰아세우고 있었다.

 

촌뜨기 : 시류에 순응한다는 것은 힘 있는 사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간다는,

         그러한 뜻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까?

 정회장 : ...

 

촌뜨기 : 그것은 단순히 현상유지에 머무는 것이 아니고

         좀 더 성장하기 위해 힘 있는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하는 것입니까?

 

정회장 : 힘 있는 사람에게 잘못 보이면 괴로운 일을 당한다는 것을 말한 것입니다.

         적극적으로 영합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촌뜨기 : 혹시 그 순응이, 부정한 것이라도 따라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까?

 

정회장 : 능력에 맞게 내는 것은 부정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촌뜨기 : 일해가 막후 권부라는 것이 공공연히 거론되기 이전에는 묵묵히 추종하다가,

         그 권력이 퇴조하니까 거스르는 말을 하는 것은 시류에 순응하는 것이 아닙니까?

 

정회장 : ...

 

촌뜨기 : 왜 부정이 아니라면 진작부터 6.29 이전부터 바른말을 하지 못했습니까?

 

정회장 : 우리는 그러한 용기를 가지지 못한 것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촌뜨기 : 이렇게 순응하는 것이, 힘이 있을 때는 권력에 붙고 없을 때에는 권력과 멀리하는 것이,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가치관의 오도를 가져오게 하고

         정의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수많은 양심적인 사람들의 분노를 일으켰다고 보지 않습니까?

 

정회장 : ...

 

당구 치다 말고 TV 앞에 모여든 놈들 입에서 탄성이 흘러 나왔다.

 

"와, 말 잘 한다."

 

그러나 내가 그에게 순식간에 끌렸던 건 그의 논리와 달변 때문이 아니었다.

다른 모든 의원들이 거대한 경제권력 앞에서 스스로 한껏 자세를 낮추고 있을 때,

그만은 정면으로 그 권력을 상대하고 있었다. 참으로 씩씩한 남자였다. 그건 논리 이전의 문제였다.

그건 가르치거나 흉내로 될 일이 아니었다. 난 그렇게 노무현을 처음 만났다.


 그 날로부터 20여년이 흘렀다. 그 사이 많은 일들이 있었다.

그 많은 일들을 여기서 다시 한 번 되짚는 일은 그만 두련다.

한참이나 기억을 늘어놓다 다 지워버렸다. 그건 다른 이들이 잘 할 테니까.

그 사이 뭘 잘 했고 뭘 못 했는지 하는 이야기도 그만 두련다.

그 역시 다른 이들이 알아서 할 테니까.

지금은 그저 20년 전 처음 만났던 그를 오늘 이렇게 보내고 마는 내 개인적인 심정만 이야기 하련다.

 

난 그를 두 번 직접 만났다. 부산에서 또 다시 낙선한 직후인 2000년 3월이 처음이었다.

그에게서 반드시 듣고 싶은 말이 있어서는 아니었다. 그를 한 번은 직접 만나보고 싶었다.

정말 그렇게 씩씩한 남자인지 확인하고 싶었다.

당시 인터뷰 내용은 차일피일 게재를 미루다 그냥 덮고 말았다. 어차피 만남 자체가 목적이었으니까.

 

그 다음 해인 2001년, 해수부 장관 시절 그를 다시 한 번 만났다.

그때 이야기는 2002년 대선의 잠재후보군을 연쇄 인터뷰하던 시리즈의 하나로 지면에 실었다.

당시만 해도 그를 유력후보라 부르는 건 사실상 억지였으나

그리고 대통령에 실제 당선될 확률은 거의 제로라 여겼으나,

그것과 무관하게 그의 인터뷰를 꼭 싣고 싶었다.

 

그렇게 두 번의 만남에서 오갔던 말들은 이제 기억나지 않는다. 내가 기억하는 건 하나 밖에 없다.

그는 진짜로, 씩씩한 남자였다는 거.

그가 대통령으로 내린 판단 중 개인적으로 동의할 수 없고 지지할 수 없는 결정들도 많았으나

언제나 그를 좋아하지 않을 수 없었던 건, 그래서였다.

정치고 뭐고 다 떠나 그는 내가 아는 한, 가장 씩씩한 남자였다.

스스로에게 당당했고 그리고 같은 기준으로 세상을 상대했다.

난 그를 정치인이 아니라, 그렇게 한 사람의 남자로서 진심으로 좋아했다.

 

그런데 그가 투신을 했단다. 믿을 수가 없었다. 그의 죽음이 갑작스러워서는 아니다.

사람의 이별이란 게 그렇게 갑작스럽게 닥친다는 걸, 이제는 받아들일 수 있는 나이가 되었다.

따지고 보면 그와의 첫 만남도 아무런 예고 따윈 없었으니까.

 내가 받아들일 수 없는 건 그의 죽음 자체가 아니라 그 죽음의 방식이었다.

그는 어떻게든 돌아올 줄 알았다. 최근의 뉴스에 별반 관심이 없었던 것도 그래서다.

그게 사실이든 아니든, 난 그를 완전하고 흠결 없는 정치인으로 좋아했던 게 아니었기에.

뭐가 어찌 되었든, 시간이 얼마가 걸리든, 그는 그 나름의 방식으로 돌아올 거라 여겼다.

그는 내게 그만한 남자였다.

 

그런 그가 투신을 했단다. 투신이라니.

가장 시답잖은 자들에게 가장 씩씩한 남자가 당하고 말았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억울하건만 투신이라니.

그것만은 받아들여지지가 않았다.

죽음이 아니라 그게 도무지 받아들여지지 않아 하루 종일 뉴스를 읽고 또 읽었다.

그러다 투신 직전 담배 한 개비를 찾았다는 대목에서 눈을 뗄 수가 없었다.

그 씩씩한 남자가, 마지막 순간에 담배 한 개비를 찾았단다.

 

울컥했다.

 

에이 씨바... 왜 담배가 하필 그 순간에 없었어. 담배가 왜 없었냐고.

에이 씨바... 그거는 피고 갔어야 하는 건데. 그때 내가 옆에서 담배 한 개비 건네줬어야 하는 건데.

그가 그렇게 가는 걸 말리진 못한다 하더라도 담배 한 개비는 피우고 가게 해줬어야 하는 건데.

노무현은 그 정도 자격 있는 남잔데.

그 씩씩한 남자를 그렇게 마지막 예도 갖춰주지 못하고 보내버렸다는 게,

그게 너무 속이 상해 눈물이 난다.

 

그에 대한 정치적 평가도, 정권에 대한 성토도 지금은 다 싫다. 
지금은 그저 담배 한 개비를 그에게 물려주고 싶을 뿐이다... 
그렇게 못했다는 게 너무 속이 상할 뿐이다...
그 담배 한 개비는 피고 갔어야 했는데... 
그게 속이 상해 자꾸 눈물이 난다...

 

나머지는 다음에, 다음에 천천히 이야기하자...



 
출처 :정봉주와 미래권력들 원문보기▶   글쓴이 : 쿠사나기 
IP : 58.235.xxx.47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글 여러번 읽었지만
    '11.11.29 2:01 PM (59.6.xxx.65)

    그저 눈물만 납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노통님..믿겨지지않는 그이름..노무현..

  • 2. 납작공주
    '11.11.29 2:08 PM (220.85.xxx.175)

    아.. 속상하다..

  • 3. 볼때마다
    '11.11.29 2:09 PM (112.187.xxx.132)

    눈물 납니다.

    언제쯤이면 눈물이 안날까요..그런날이 오긴 올까요 ㅜㅜ

  • 4. 지나가다
    '11.11.29 2:10 PM (125.128.xxx.10)

    에이...ㅜㅜ 진짜...ㅜㅜㅜㅜㅜㅜ
    김총수도 아프지마..씨바..ㅜ

  • 5. 주루룩
    '11.11.29 2:12 PM (203.247.xxx.210)

    주룩 주루룩

  • 6. 닥치고 정치..
    '11.11.29 2:16 PM (118.221.xxx.216)

    아, 씨바. 노무현 보고 싶다.

    이명박 같은 자가 그런 남자를 죽이다니 도저히 참을 수가 없어

    내가 노무현 노제 때 사람들 쳐다볼까 봐 소방차 뒤에 숨어서 울다가

    그 자리에서 혼자 결심한 게 있어. 남은 세상은, 어떻게든 해보겠다고

    우리도 그 어떻게든에 힘을 보태고 싶네요..

  • 7. 새날
    '11.11.29 2:21 PM (175.194.xxx.139)

    노제때 시청광장에 일렁이던 노란 물결을 항상 기억하려합니다..
    잊지말고
    그날 흘렸던 눈물이 헛되지않도록..ㅠ.ㅠㅠㅠㅠㅠㅠ

  • 8. 그렇게 가시고...
    '11.11.29 2:23 PM (115.140.xxx.126)

    제 인생도 정전되어 버린 두 달여.
    이제는 앨범 사진처럼 빛바랜 기억같은데,
    떠오르면 또 다시 가슴이 메이고 눈물이 그치질 않습니다.

  • 9. ...
    '11.11.29 2:23 PM (121.162.xxx.91)

    원글님 왜 또 저를 울리십니까? ㅜ.ㅜ

  • 10.
    '11.11.29 2:46 PM (183.98.xxx.158)

    눈물나~
    이 글은 볼 때마다 사람을 울려요.

  • 11. phua
    '11.11.29 2:50 PM (1.241.xxx.82)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12. ababara
    '11.11.29 2:59 PM (14.39.xxx.3)

    그 인터뷰를 읽고 노통을 알게 되고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총수의 눈을 믿었고 그 예리한 질문에 대한 진지하고 열정적인 답변에 반했더랬습니다.
    당시에 이회창도 인터뷰했었는데 똑같은 질문에 어쩌면 그리 무미건조한 답만 하던지...
    제가 반했던건 다름 아닌 그 불같은 열정이었던 같네요.

    그리고 그 날
    아침부터 여기저기서 걸려오는 전화에
    전화기를 꺼놓고 하루종일 잠만 잤습니다.
    일어나면 현실이 될까봐....

    아직도 가슴이 먹먹하네요.
    언제쯤이면 이 슬픔을 내려놓을수 있을까요...

  • 13. 아 씨바
    '11.11.29 4:01 PM (114.205.xxx.27)

    오늘같은 날............하늘도 울고 나도 결국 우는구나.......
    이 비참한 현실.....

    그 날 이후로 난 내 인생에서 누군가를 이토록 가슴절절하게 가슴에 품어본적이 없다..
    내 손으로 직접 뽑은 나의 첫 대통령님.....
    나는 너무 화가났다...나 역시 가장 시덥잖은 자들에게 가장 씩씩한 남자가 당한것이 분통해서...

    그 날 이후로....암흑같던 이 나라에서....또 한 줄기 희망을 보았다...
    몇 년 전,답이 보이지않던 내 젊은 시절...우연히 알게된 책을 통해 나를 위로해준 분..
    그리고 지금..
    그 분을 다시 만나게되었고....
    그 때 이후로 처음으로 또 기대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이젠 그냥 기대지만은 않을거다..또 그 때처럼 바보같이 그런 분을 놓치면 안되니까..

  • 14. 깊푸른저녁
    '11.11.29 4:03 PM (175.118.xxx.4)

    가슴에 상처가 됩니다.
    다음 정권에서 밝혀낼 수 있을까요?
    노통님을 몰아부친 그자들을 꼭 가려내 시시비비를 가렸으면 좋겠습니다
    천추의 한 아닙니까 이나라의

  • 15. ㅠ.ㅠ
    '11.11.29 5:17 PM (118.46.xxx.133) - 삭제된댓글

    누군가를 생각하면 이유없이 미안한것도
    누군가를 생각하면 이유없이 분노가 치미는것도
    가까이 겪지 않더라도 진심을 느낄수 있어서 그런것 같아요.

    언제나 생각해도 참으로 아까운분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595 친구들과 간단히 저녁 먹을건데 어떤 메뉴가 좋을까요 ? 3 회식메뉴 2012/01/08 1,311
57594 유승준은 왜 군대를 안 간 걸까요? 72 뜬금없지만 2012/01/08 8,116
57593 오늘 fta폐기에 관한 토론회있지않았나요? 2 쥐박이out.. 2012/01/08 890
57592 현대성우리조트 스키강습 좀 문의드려요 3 코알라 2012/01/08 1,405
57591 어떤 일본 여배우(?)의 쇼킹한 주장 45 세상 말세네.. 2012/01/08 16,299
57590 나이먹어 더 늦기전에 한번쯤 셀레이는 로맨스 꿈꾸시지들 않나요.. 20 마지막로맨스.. 2012/01/08 2,926
57589 에델만이라는 회사 아시는 분~ 7 에델만 2012/01/08 1,449
57588 대구 친구가 하는말인데 대선에서 박근혜 10 ... 2012/01/08 2,587
57587 상체비만 어떤 운동으로 빼야 될까요? 2 살빼자^^ 2012/01/08 2,682
57586 무거운 마음에 글을 써봅니다. 92 눈물 2012/01/08 18,818
57585 애정만만세 변정수-_-;; 24 지잘못은몰라.. 2012/01/08 11,888
57584 고등학교에서 방과후프로그램을 맡으려면 4 조언 부탁드.. 2012/01/08 1,104
57583 초밥 뷔페는 문전성시던데... 스시 2012/01/08 1,688
57582 잡채 냉장보관 얼마나 가능할까요? 8 steal 2012/01/08 23,622
57581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열면 주르륵 열리는거 어떻게 하면 안되게 .. 1 주부 2012/01/08 1,022
57580 뉴질랜드산 감마리놀레산 500밀리자리 180캅셀이 39000원이.. 1 ........ 2012/01/08 760
57579 통돌이6모션샀는데요 먼지 아직도 잘 안걸러지나요? 고민 2012/01/08 1,613
57578 요즘 운전면허증 따려면 학원가면 돈이 얼마나 드나요? 4 아침 2012/01/08 1,716
57577 어제 진중권 vs 정봉주 논쟁에 대한 블러거 의견 22 첫눈 2012/01/08 2,338
57576 3개월 끊은 헬스장 연기 가능할까요? 1 다이어트 2012/01/08 2,269
57575 이학영 후보 좀 충격적이네요. 2 ㅎㅎ 2012/01/08 2,340
57574 나경원 후보가 '부재자 투표' 싹쓸이"…의혹 제기 2 ㅡ,ㅡa 2012/01/08 1,647
57573 <뇌진탕 아시는 분>서울대학병원 진료 의뢰서 반드시 .. 7 머리아픔 2012/01/08 2,505
57572 조용한 윗집 만난것도 복이니라.. 14 새벽 2012/01/08 3,308
57571 초등학교 시간 강사 업무 범위가 어디까지인가요? 5 강사 2012/01/08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