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부간에 존댓말 하는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ss 조회수 : 7,266
작성일 : 2011-11-28 14:58:10

신랑이 저보다 4살 많아요.둘 다 30대구요.

결혼한지 1년되가는데,연애할때 신랑한테 종종 존댓말 해주고 그랬는데..

아무래도 어색하기도하고..친근감이 떨어지는거같고..둘 다 세상에서 제일 친한 친구로 지내다보니 존댓말 하기가 더 어려워지더라구요.

저는 부부간에 존댓말 하는거 옆에서 보면 참 품위?있어보이기도하고,서로 위해주는거 같아서 참 좋아보여서 더 나이들면 서로 존댓말하고 싶었거든요.

그런데 문득.. 둘이 너무 가까이 지내다보니까 신랑이 아무래도 저보다 나이도 많고,남편인데.. 좀 쉽게 보이는거같다는 생각이 든달까요;;

조금 잘 못 틀어졌다싶으면 그냥 반말인데도 왠지 우습게 보는 반말처럼 입에서 나가기도하고..

남편도 좀 더 위해주고 싶고 더 존중해주는 마음을 키우고 싶고 언행에 더 신경써야겠다싶은데..존댓말하면 효과가 있을까요?? 

근데 어른들 앞에서는 존댓말 하는게 틀린거 맞죠??

어른들 앞에서 말고 둘이서만 서로 존댓말해보면 어떨까하는데...어떻게 생각하세요??

존댓말 사용하시는 부부님들 있으신가요?? 

IP : 114.205.xxx.1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1.28 3:06 PM (110.13.xxx.156)

    어른들 앞에서 부부간에 존댓말 하는거 왜 틀렸다 생각하세요? 그런 얘기 처음 듣네요
    어른들 앞에서 부부간에 존대해도 틀린거 아닙니다
    서로 높여주면 싸움도 크게 안된다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 2. ...
    '11.11.28 3:07 PM (14.47.xxx.160)

    상호존대는 아니고 저는 남편한테 존대말 사용합니다.
    남편도 30%정도는 존대말 사용하구요.. 장난반 진담반식으로..

    남편이 저보다 3살적으니 아무래도 더 존대말 사용하게 됐구요..
    유치원에서 근무를 오래 하다보니 존대말 쓰는게 자연스러웠어요.

    그런데 존대는 하는데 아이들 어루는 말투라네요...

  • 3. 00
    '11.11.28 3:08 PM (218.50.xxx.107)

    존댓말 하는것 좋아요.. 그러면 다툼도 덜하게되고 큰소리도 줄어듭니다
    완전 존댓말보다는 반경어체 하시면 좋을것같아요

    물론 어른들 계셔도 반경어체는 상관없지않을까요?

  • 4. 원글이
    '11.11.28 3:32 PM (114.205.xxx.19)

    어른들앞에서 존댓말하는게 잘못된 점이라기보다는..주위에서도 많이 봤으니까요...근데 제 경험상,좀 어색하더라구요.특히 우리 친정쪽에서..내 부모님한테도 존댓말안하는데 신랑한테 하려니까...시댁에서는 모두에게 존댓말을 하게되니까 좀 괜찮은데..
    암튼 확실히 싸움도 크게 안된다는 건 있군요.좋네요.오늘 저녁에 남편오면 의논해볼까 생각중이거든요.

  • 5. 근데
    '11.11.28 3:38 PM (112.168.xxx.63)

    그게 처음부터 자연스럽게 존대하는 경우면 듣기에도 보기에도 좋은데
    친구처럼 반말하고 편하게 지내다 어느날 존대해보자 하고 해보니
    정말 못하겠더라고요.
    반말하던 억양에 존대만 하는 꼴에다가
    습관이 안돼어서 습관되어 버린 반말이 더 자연스럽게 나오고
    그게 오히려 더 편하고 안정적으로 들리더군요.

    저희도 존댓말 써보려다가 금새 포기했어요.

  • 6. 저희 부부
    '11.11.28 3:47 PM (59.20.xxx.241) - 삭제된댓글

    저희 부부 존댓말 쓰는데

    어른들도 보기 좋다고 하세요.

    아이들도 자연스럽게 존댓말 쓰고

    제 남동생도 누나 부부가 보기가 좋다고 합니다.

    남편이 두 살 많은데 존댓말을 계속해서 서로 존댓말을 합니다.

    남편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는데 옆에 있던 사람이 '선생님하고 통화 하느냐?'더군요.

    남편에게 왜 말을 놓지 않았냐고 하니

    제가 놓으란 말을 하지 않아서라며 "이제부터 놓을까요?" 라기에 "아뇨!"라고 했어요.

    저도 밖에서 만난 사람들에게 말을 잘 놓지 않기 때문에 지금이 편해요.

  • 7. 좋아요.
    '11.11.28 3:59 PM (210.218.xxx.32)

    10년넘게 반말하다가, 아이낳고 존대말하게 되었어요.
    아이가 예의바른 아이로 자라려면 부모가 모범이 되면 된다는 아이 대부님의 말씀덕분에요.
    반말하다가 존대하려니 처음엔 어색했는데, 저희는 마침!!
    부부싸움으로 냉전중이라서 더 자연스럽게 존대말을 시작하게 되었어요.
    하루에 3~4마디 할까 말까하니...^^
    여하튼 3일정도만 어색함을 극복하면 잘 할 수 있게됩니다.
    제 아이가 4살이니, 저희도 4년째 접어드네요. 지금은 존대말 하지 않는게 더 어색하게 느껴져요.
    가끔씩 핸드폰 메세지함의 오래전 반말하던 말투의 메시지를 보게되면,
    우리가 이런 날도 있었나, 새삼 생각나기도 하네요.
    부부가 존대하다보니, 아이에게도 엉겹결에 존대하는 말투가 되기도 해요.
    덕분에 말투도 많이 부드러워졌구요. 아이도 자연스럽게 존대말해요.
    전체적으로 집안분위기가 부드럽고 나긋나긋해져요. 강추합니다.^^

  • 8. 오드리
    '11.11.28 4:00 PM (121.152.xxx.111)

    저흰 결혼하기로 하면서부터 존댓말 썼어요~
    어른들도 다 보기 좋아 하시네요~
    친구들은 너 신랑하고 통화할때마다 어색해 죽겠다고 하는데~
    서로 존중하는 마음이 더 생기는 거 같아요.
    말도 함부로 나가지 않구요~

  • 9. 아이도
    '11.11.28 4:05 PM (175.120.xxx.53)

    저희도 존대말 사용합니다. 말 배우면서 아이들도 자연스럽게 따라하더군요
    따로 존대말 가르칠 필요 없이요...
    서로 예의를 지키게 되니 여러가지 좋은 점이 많아요 ^^*

  • 10. 가사로봇
    '11.11.28 5:44 PM (114.203.xxx.95)

    캠퍼스 커플이라 그런지 신랑은 제가 존대말 쓰면 무섭대요

  • 11. 저희도
    '11.11.28 7:43 PM (175.117.xxx.211)

    처음 소개팅에서 만나서 부터 계속 쓰고 있는데,
    친정 부모님께서 서로 존댓말 쓰시는걸 보고자라 자연스럽게 그렇게 됐어요
    신혼 초에는 직장 동료들이 옆에서 통화하면 웃긴다고 했는데
    지금은 나이가 지긋하니 듣는 사람마다 보기 좋다고 합니다.
    실제로 서로 존대하면 싸울 때도 막 나가지 못합니다.
    제가 남편이 지금까지 화났을 때 들은 가장 심한 말은 "자네는" 이라는 말이었네요ㅠ.ㅠ

  • 12. 애들이배워요
    '11.11.28 9:45 PM (115.139.xxx.16)

    우리 시부모님 존대말 하세요. 서로
    100% 존대말은 아니고 그때그때 섞어서 사용하세요.
    시동생네도 그러고 우리 부부도 그래요.

    시부모님 아래에서 자란
    제 남편과 시동생 모두 성품 괜찮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566 나가수 어떠셨어요? 47 나름가수랄까.. 2012/01/08 10,662
57565 괜찮은 쿠킹클래스 추천 부탁드려요. 며느리 2012/01/08 988
57564 현관 중문 하는 게 나을까요? 7 이쁜이맘 2012/01/08 4,087
57563 조만간 국제유가 폭등, 주가 폭락 3 ??? 2012/01/08 2,049
57562 안철수씨가 일단 총선은 관망할 것 같네요 6 ROYAL 2012/01/08 2,155
57561 사이트 안 열렸었죠? 2 Jb 2012/01/08 1,652
57560 남편 주머니속에 콘돔이.... 4 모모 2012/01/08 4,900
57559 진중권 vs 나꼼수 팬 논쟁, 조선일보 떡밥을 물다? 닥치고정치 2012/01/08 2,142
57558 손예진이 이렇게나 이뻤나요??? 40 손예진 2012/01/08 15,441
57557 유통기한 지난 영양제 먹음 안되나요 ㅠㅠ 3 dd 2012/01/08 3,254
57556 요즘 국 뭐 끓이나요? 어묵탕에 간은? 8 고민 2012/01/08 3,052
57555 호박죽끓일때 호박 압력솥에 삶으면 안되나요? 5 초보 2012/01/08 2,390
57554 매너로도 어쩔 수 없는 강한 기질탓이 있다고 봐요. 8 .. 2012/01/08 2,785
57553 주택인데 건물모서리 벽과 천장 만나는 곳에 곰팡이가 생겼어요. .. 1 곰팡이 2012/01/08 1,868
57552 다이아반지 관련해서요. 2 반지 2012/01/08 1,821
57551 제주는 전세값과 집값의 차이가 거의없네요 아파트거래는어떤가요? 3 ... 2012/01/08 2,474
57550 시동생 결혼에 입는 한복 색깔 10 궁금해요 2012/01/08 5,326
57549 오랫만에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느꼈어요.. 2 영화프렌즈 .. 2012/01/08 1,930
57548 과학중점고 선택시 과학 선행은 1 예비중3 2012/01/08 1,927
57547 아름답게 나이들기 4 40이 되고.. 2012/01/08 2,762
57546 교복과 뭘 준비할까요 8 여중생 2012/01/08 1,553
57545 요즘 mb 측근들이 선거에 많이 나오던데... 2 ... 2012/01/08 992
57544 건조한 피부에 파우더와 펙트 중 ? 3 코스모스 2012/01/08 2,143
57543 호래기 젓갈 살 수 있는곳 좀 알려 주세요~~ 젓갈 2012/01/08 1,620
57542 인터넷상에서 정관장 홍삼정 로얄 파시는분들 어떤 경로로 구해서 .. 1 ... 2012/01/08 1,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