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태업으로 최악의 상황은 막을수 있다

얼마전 읽은 책 조회수 : 1,210
작성일 : 2011-11-25 13:56:34
유태인 홀로코스트를 다룬 책을 읽었는 데
당시 히틀러영향권에 든 유럽나라들의 반유대주의 정책 차이점을 봤어요.
유대인의 희생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나라는 없고
반유대주의에 관쪽에서 반대한 나라도 거의 없더군요.
하지만 군주국의 경우 왕의 태도, 관료들의 태도, 행정부 고위관리직,
 주민들 행동양식에 따라 그 희생은 정말
차이가 나더군요.
정책입안을 해도 그걸 무력화시킬수 있는 예외조항을 두어 대부분의 희생자가 될 수있는
그들이 예외조항으로 빠져나가 보호할 수 있게 되거나
정책시행에서 관리들이 여러 이유를 들어 시행하기 어렵다고 호소하는 거죠.
개콘에서 응급상황에서 '안돼....어쩌구 저쩌구' 이유를 들어서 아무것도 안하는 사람아시죠.
그런 식으로요. 꽤 효과적이었다고.
그리고 그것에 대한 일을 안해요. 말단 관리들까지....

물론 관조직외에 노조에서 대규모파업을 벌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혹은 휴머니즘차원에서 오랜시간 이웃이었던 유대인을 숨겨주거나
반유대주의자체를 무력화시키는 여론을 조성하거나 혹은 그런 주의자체에 무관심하거나.

그런 여러 노력을 하는 모습이 보인 국가에선 유대인희생이 극소화되었다고 하더군요.
반면 히틀러가 개입하기도 전에 유대인을 자체처형하고 이송시키고 살해한 나라들도 있습니다.
그런 나라들의 유대인희생은 정말 엄청났습니다.

이번에 날치기된 fta비준안도 그렇고
세계적인 추세라면서 안하면 죽는다는 식으로 호도하는 인간들을 보면
우리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생각이 듭니다. 관리들이 최악을 막기위해 노력이라도
하는 나라인지. 그냥 앞잡이들처럼 더 나서서 망치는 나라인지...
일반시민들은 그 협정의 희생량이 되는 사람들에게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나서서 선동하지 않았어도 다수가 침묵했던(독일같은) 나라에서도 희생은 엄청났어요.
IP : 119.17.xxx.241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0365 네네치킨 중 어떤게 맛있나요? 6 ... 2012/02/11 1,875
    70364 가스렌지가 점화는 되는데 스위치에서 .. 11 똘이맘 2012/02/11 3,975
    70363 친환경유기농식당 이미지에 부합하는 슬로건(기본콘셉)은 무엇이 좋.. 3 푸른솔 2012/02/11 682
    70362 세상에 이상한 사람 참 많네요 26 ... 2012/02/11 10,020
    70361 드럼 세탁기에 빨래할때 온도 몇도로 하는게 적당한가요 3 빨래 온도 2012/02/11 3,922
    70360 사람들은 왜 그런걸까요. 2 아이린 2012/02/11 986
    70359 경추베게 효과있나요 1 라라 2012/02/11 2,590
    70358 11살인데 아직 영구치 어금니가 덜났어요 7 2012/02/11 1,993
    70357 셜록...........괜찮은가요?? 8 .. 2012/02/11 1,455
    70356 방금 딸 가출 이야기 쓰고 댓글다니 글 지우신 분... 3 ... 2012/02/11 2,052
    70355 초중학생에게 함소아 기린아 괜찮은가요? 아니면 1 영양제 2012/02/11 751
    70354 대학 선택 조언 구합니다 10 선택 2012/02/11 1,757
    70353 화장실변기속 일주일에 몇번 닦으세요? 9 청소 2012/02/11 3,568
    70352 남편 직장 그만두니 우울하네요 9 싱글이 2012/02/11 4,368
    70351 집안에 햇빛들어오는거.. 7 나린 2012/02/11 4,345
    70350 요즘 제가 넘 무식한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8 파란 2012/02/11 2,192
    70349 기도로 병 고친다고 하더니 결국 죽게 만드네요 2 답답해서 2012/02/11 1,863
    70348 친구아기 돌잔치에 가는데요 축의금을 친구에게 직접 주는건가요?.. 1 궁금 2012/02/11 2,197
    70347 분당아파트요.. 12 겨울안개 2012/02/11 4,555
    70346 사춘기아이들 있는 집 부부관계 3 19금 비슷.. 2012/02/11 6,486
    70345 르쿠르제 냄비 태웠는데 지우는방법 알려주세요 6 궁금 2012/02/11 4,054
    70344 핸드폰 산지 닷새 됐는데 개통철회 가능한가요 3 .. 2012/02/11 1,426
    70343 요즘 신라면 맛없지않나요? 14 ... 2012/02/11 2,844
    70342 스마트폰 저렴하게 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4 ?? 2012/02/11 1,454
    70341 감자가 많은데 뭘 해먹을까요? 11 .... 2012/02/11 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