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딤채 기사님이랑 설전을 펼쳤네요. 딤채 사신분들 다 이래요??

억울 조회수 : 4,209
작성일 : 2011-11-24 11:18:24

FTA에 집중해야 할 시기에 이런 글 올려서 민망합니다만

82 아니고는 달리 자문을 구할곳이 없어서 글을 씁니다.

 

타사의 김치냉장고를 쓰다가 수명이 거의 다 되어서

이번에 딤채 김치냉장고 뚜껑형 180리터로 바꿨어요.

열흘만에 배송 받은 후에 작동이 잘 되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총각김치를 담아서 하루익힘을 해보았습니다.

하루 지났는데도 거의 익지를 않아서 의아했으나..

설명서에는 그럴듯하게 써놨지만 아무래도 하루만에 익기는 무리인가 보다 했어요.

 

제품 기능이 시원찮은것 같아서 찜찜한 마음에

그 다음날 배추김치를 담아서 발효과학 익힘코스를 해보았어요. ( 3일만에 익는다고 되어있네요)

설명서를 보면 ,발효과학 코스 후에 그.때.부.터 맛있게 익.은 김치를 드시면 된다고 써있어요.

즉 익힘코스 끝난후엔 익은 김치를 먹을수 있다는 소리지요.

 

근데 3일후에 코스 끝나고 보니 하나도!!! 안 익었어요.

약간이라도 익은맛이 든것 조차도 아니고 겉절이 인것 처럼 전혀 안 익었다니까요.

제품에 분명히 하자가 있구나 싶어서 기사님 부르고 여차저차 상황 설명을 했더니

고장이 아니랍니다.

딤채 김치냉장고는 다 이런데요. 3일만에 익힐수가 없고

3일동안은 유산균을 심는과정이고, 익힘코스 후에 20일 정도가 지나야 맛있게 익어있다고 하네요;;

아니 총 23일 정도가 걸려서 익히는 거라면 그냥 밖에서 익히거나 그냥 냉장고에서 익히고 말죠.

 

제가 8년전쯤 잠시 딤채 김냉을 쓴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3일만에도 분명히 맛있게 익었다

어떻게 8년이나 지났는데 제품이 발전은 못할망정 퇴보 할수가 있냐고 했더니

지금은 딤채 김치냉장고가 다 이렇게 나온다고 하네요;;;;;;

어차피 제품 교환을 해도 또 이런 제품이 온다고 선택은 알아서 하시라고 하네요.

 

제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수가 없어서 82님들께 여쭤봅니다.

김치냉장고 딤채 쓰시는분들 익힘코스 돌리면 안 익어있나요? 익힘코스 후에 20일정도 경과해야 익는건가요??

(제 소견으론 김치냉장고가 이상이 있는데, 기사님이 억지 주장을 하시는것 같아서요.)

특히 최근 일이년 사이에 구입하신 분들이 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IP : 36.38.xxx.25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1.24 11:31 AM (59.5.xxx.164)

    저 얼마전에 딤채 샀구요.

    예전에도 딤채 썼었구 지금 스탠드 디오스도 쓰고 있는데 익힘 코스 이런거 한번도 사용안하고

    실온에 하루 이틀 두었다가 보관만 했었는데

    이번에 새 김치 냉장고 산 기념으로 매번 광고하던 바로 그 익힘 발효과학?? 이런거 한번 해볼까 하고

    배추 포기 김치 담아서 바로 발효과학? 인가 암튼 익힘 코스로 두었어요.

    3일정도 후에 보관으로 바뀌던데요.

    결론

    저도 똑같이 생김치 그대로 였어요 ㅋㅋㅋ

    그래서 실온에 며칠 둔후(빨리 익혀 바로 먹으려구요) 보관으로 두었는데

    지금 맛있게 먹고 있어요.

    저는 안익길래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별 신경 안썼는데요

    보관중일때 온도가 어느정도 일까 하고 열어봤었는데 냉장고처럼 시원하더라구요.

    실온에 두어야 2-3일 만에 익지 이렇게 시원해서 익으려나 ?? 생각했었거든요.

    저는 익힘코스라기에 조금 따뜻하게 해서 빨리 익히는건가 ?? 해서 시험해봤었어요.

    기사님 말이 맞는거 같으니 열내지 마시고 그냥 잘 쓰세요.

    제가 안그래도 쓰지도 않는 익힘기능이 왜케 많고 광고를 심하게 하는지 이상하게 생각했었어요.

    주위에 익힘기능 쓰는 사람 한명도 못봤구요 ㅎㅎ

  • 2. 에구
    '11.11.24 12:58 PM (114.204.xxx.110)

    좋은 기능 해봐도 별맛이 없게 되네요......그래서 실온에 익혀서 보관만 합니다.
    기사님도 이론만 아는데 어쩌겠나요.
    주위에 코스돌려서 김치 익혀 먹는다는 사람 없답니다. 경험으로 다 익혀서 김냉으로...........

  • 3. 저는
    '11.11.24 1:27 PM (211.51.xxx.98)

    2003년도에 구입한 뚜껑형 딤채에서 발효코스로 돌리면 4일인가 걸리는데
    4일 후에 보면 김치가 어느 정도 익어 있어요. 그래서 요즘엔
    김장하고 나서 약 2일만 발효코스로 놨다가 2일 후에는 김치보관으로
    바꿔버리는데, 그래도 좀 익은 냄새가 나거든요.
    제껀 옛날 꺼라 그럴까요?

  • 4. ㅇㅇ
    '11.11.25 7:17 PM (121.130.xxx.78)

    저도 처음으로 딤채 제일 작은 거(한 칸 짜리) 하나 사놓고
    오늘 김장 담근 거 어떻게 할까 고민중입니다.

    이거 저거 검색 결과
    12~24시간 정도 베란다에 둔 후
    장기 보관할 것은 '비타민 발효과학 익힘' 상태에 일단 넣고
    바로 먹을 건 딱 맞게 익혀서 보관할까 하는데요....어떨지요.

    비타민 발효과학 익힘 이란 기능이 대체 뭘 하는 건지
    원글님 글 보니 당장 먹기에 맛있는 정도로 익히는 건 아닌가 봅니다.
    설명서에는 비타민c를 생성시켜주는 신기술이라고 써있고...
    발효과학 코스가 끝나면 '김치류-표준' 램프에 불이 켜지고,
    이때부터 맛있게 익은 김치를 드시면 됩니다 라고 써있는데
    원글님 글 보니 아닌가 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714 토정비결이 잘 맞는지요 11 토정 2012/01/28 3,924
64713 소송이혼은 어떻게 진행이 되야 되는지..알려주세요 3 알려주세요 2012/01/28 1,241
64712 친척들 예단으로.. 줌렌즈 2012/01/28 1,376
64711 전기압력밥솥에 밥 말고 다른요리도 하시나요? 7 밥솥 2012/01/28 1,976
64710 미샤제품중 블랙헤드에 좋은거? 3 6학년 2012/01/28 1,980
64709 전 책읽는게 쉬는거에요. 4 눈물케익 2012/01/28 1,376
64708 현미밥 하려는데 ....방법 좀....^^ 5 현미 2012/01/28 1,674
64707 설날 후유증으로 저녁 못먹었어요 머지 2012/01/28 1,180
64706 이게 뭔의미에요?7살아이말 5 먼소리냐??.. 2012/01/28 1,641
64705 연세 바른 병원 라임 2012/01/28 472
64704 점,기미,색소침착?등 피부과잘하는곳소개부탁해요(송파구) 별따라 2012/01/28 778
64703 오래된 유머 - 모친전상서 (by G.O.D) 8 시인지망생 2012/01/28 1,776
64702 성내역 파크리오 매수 괜찮을까요? 4 파크리오 2012/01/28 3,036
64701 해피콜꺼와키친아트꺼중에서 4 2012/01/28 1,401
64700 한은정 코어인바디 갖고 계신 분 계신가요? 2 코어 2012/01/28 1,850
64699 대한민국을 말아 먹 는 자들의 책임을 끝까지 묻기 위하여 ~~ 1 이 터를 지.. 2012/01/28 473
64698 스맛폰과 무선공유기 질문이요~ 4 .. 2012/01/28 1,151
64697 다문화 지원 어케 생각하나요 42 화랑 2012/01/28 4,288
64696 여드름피부는 이중세안법 좀?? 8 다양 2012/01/28 1,930
64695 목욕탕 타일 색 골라주세요 (컴대기) 2 갸우뚱 2012/01/28 1,589
64694 TV가 고장나니 확실히 책을 더 읽게 되네요 푸른연 2012/01/28 679
64693 4대강 끝나니 관리는 지자체 몫? 세우실 2012/01/28 592
64692 한미 FTA 비준 과연 서둘러야 할 일일까요?노공이산(고 노무현.. 1 sooge 2012/01/28 592
64691 노무현 각하의 주옥같은 FTA 발언 모음 3 그리움 2012/01/28 993
64690 나이 많은 남자들..소심해서 여자를 잘 못사귄다는 말이요 12 ........ 2012/01/28 4,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