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딤채 기사님이랑 설전을 펼쳤네요. 딤채 사신분들 다 이래요??

억울 조회수 : 3,987
작성일 : 2011-11-24 11:18:24

FTA에 집중해야 할 시기에 이런 글 올려서 민망합니다만

82 아니고는 달리 자문을 구할곳이 없어서 글을 씁니다.

 

타사의 김치냉장고를 쓰다가 수명이 거의 다 되어서

이번에 딤채 김치냉장고 뚜껑형 180리터로 바꿨어요.

열흘만에 배송 받은 후에 작동이 잘 되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총각김치를 담아서 하루익힘을 해보았습니다.

하루 지났는데도 거의 익지를 않아서 의아했으나..

설명서에는 그럴듯하게 써놨지만 아무래도 하루만에 익기는 무리인가 보다 했어요.

 

제품 기능이 시원찮은것 같아서 찜찜한 마음에

그 다음날 배추김치를 담아서 발효과학 익힘코스를 해보았어요. ( 3일만에 익는다고 되어있네요)

설명서를 보면 ,발효과학 코스 후에 그.때.부.터 맛있게 익.은 김치를 드시면 된다고 써있어요.

즉 익힘코스 끝난후엔 익은 김치를 먹을수 있다는 소리지요.

 

근데 3일후에 코스 끝나고 보니 하나도!!! 안 익었어요.

약간이라도 익은맛이 든것 조차도 아니고 겉절이 인것 처럼 전혀 안 익었다니까요.

제품에 분명히 하자가 있구나 싶어서 기사님 부르고 여차저차 상황 설명을 했더니

고장이 아니랍니다.

딤채 김치냉장고는 다 이런데요. 3일만에 익힐수가 없고

3일동안은 유산균을 심는과정이고, 익힘코스 후에 20일 정도가 지나야 맛있게 익어있다고 하네요;;

아니 총 23일 정도가 걸려서 익히는 거라면 그냥 밖에서 익히거나 그냥 냉장고에서 익히고 말죠.

 

제가 8년전쯤 잠시 딤채 김냉을 쓴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3일만에도 분명히 맛있게 익었다

어떻게 8년이나 지났는데 제품이 발전은 못할망정 퇴보 할수가 있냐고 했더니

지금은 딤채 김치냉장고가 다 이렇게 나온다고 하네요;;;;;;

어차피 제품 교환을 해도 또 이런 제품이 온다고 선택은 알아서 하시라고 하네요.

 

제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수가 없어서 82님들께 여쭤봅니다.

김치냉장고 딤채 쓰시는분들 익힘코스 돌리면 안 익어있나요? 익힘코스 후에 20일정도 경과해야 익는건가요??

(제 소견으론 김치냉장고가 이상이 있는데, 기사님이 억지 주장을 하시는것 같아서요.)

특히 최근 일이년 사이에 구입하신 분들이 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IP : 36.38.xxx.25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1.24 11:31 AM (59.5.xxx.164)

    저 얼마전에 딤채 샀구요.

    예전에도 딤채 썼었구 지금 스탠드 디오스도 쓰고 있는데 익힘 코스 이런거 한번도 사용안하고

    실온에 하루 이틀 두었다가 보관만 했었는데

    이번에 새 김치 냉장고 산 기념으로 매번 광고하던 바로 그 익힘 발효과학?? 이런거 한번 해볼까 하고

    배추 포기 김치 담아서 바로 발효과학? 인가 암튼 익힘 코스로 두었어요.

    3일정도 후에 보관으로 바뀌던데요.

    결론

    저도 똑같이 생김치 그대로 였어요 ㅋㅋㅋ

    그래서 실온에 며칠 둔후(빨리 익혀 바로 먹으려구요) 보관으로 두었는데

    지금 맛있게 먹고 있어요.

    저는 안익길래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별 신경 안썼는데요

    보관중일때 온도가 어느정도 일까 하고 열어봤었는데 냉장고처럼 시원하더라구요.

    실온에 두어야 2-3일 만에 익지 이렇게 시원해서 익으려나 ?? 생각했었거든요.

    저는 익힘코스라기에 조금 따뜻하게 해서 빨리 익히는건가 ?? 해서 시험해봤었어요.

    기사님 말이 맞는거 같으니 열내지 마시고 그냥 잘 쓰세요.

    제가 안그래도 쓰지도 않는 익힘기능이 왜케 많고 광고를 심하게 하는지 이상하게 생각했었어요.

    주위에 익힘기능 쓰는 사람 한명도 못봤구요 ㅎㅎ

  • 2. 에구
    '11.11.24 12:58 PM (114.204.xxx.110)

    좋은 기능 해봐도 별맛이 없게 되네요......그래서 실온에 익혀서 보관만 합니다.
    기사님도 이론만 아는데 어쩌겠나요.
    주위에 코스돌려서 김치 익혀 먹는다는 사람 없답니다. 경험으로 다 익혀서 김냉으로...........

  • 3. 저는
    '11.11.24 1:27 PM (211.51.xxx.98)

    2003년도에 구입한 뚜껑형 딤채에서 발효코스로 돌리면 4일인가 걸리는데
    4일 후에 보면 김치가 어느 정도 익어 있어요. 그래서 요즘엔
    김장하고 나서 약 2일만 발효코스로 놨다가 2일 후에는 김치보관으로
    바꿔버리는데, 그래도 좀 익은 냄새가 나거든요.
    제껀 옛날 꺼라 그럴까요?

  • 4. ㅇㅇ
    '11.11.25 7:17 PM (121.130.xxx.78)

    저도 처음으로 딤채 제일 작은 거(한 칸 짜리) 하나 사놓고
    오늘 김장 담근 거 어떻게 할까 고민중입니다.

    이거 저거 검색 결과
    12~24시간 정도 베란다에 둔 후
    장기 보관할 것은 '비타민 발효과학 익힘' 상태에 일단 넣고
    바로 먹을 건 딱 맞게 익혀서 보관할까 하는데요....어떨지요.

    비타민 발효과학 익힘 이란 기능이 대체 뭘 하는 건지
    원글님 글 보니 당장 먹기에 맛있는 정도로 익히는 건 아닌가 봅니다.
    설명서에는 비타민c를 생성시켜주는 신기술이라고 써있고...
    발효과학 코스가 끝나면 '김치류-표준' 램프에 불이 켜지고,
    이때부터 맛있게 익은 김치를 드시면 됩니다 라고 써있는데
    원글님 글 보니 아닌가 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286 동대문 도매시장 좀 알려주세요 4 ** 2011/12/13 1,626
48285 이불솜을 새로 샀을때... 이불솜 2011/12/13 854
48284 무쇠프라이팬은 부침을 해도 붙지 않나요? 3 프라이팬 2011/12/13 1,434
48283 길가다 보면 아줌마들이 안쳐다보세요? 47 다소니 2011/12/13 16,273
48282 오늘 생일인 분 계신가요? 2 축하합니다 2011/12/13 728
48281 하루를 시작(?)하는 시간대가 넘 늦어요~~~ㅠㅠ 10 점심형 인간.. 2011/12/13 2,294
48280 대전사시는 분들 좀 봐주세요 3 문냥이 2011/12/13 1,086
48279 닭육수로 할 수 있는 요리 뭐가 있나요..? 12 꼬끼오 2011/12/13 21,270
48278 어지러운데 빈혈일까요 임신 2011/12/13 850
48277 발맛사지 5 궁금 2011/12/13 1,262
48276 아이가 공부 잘하면 참 좋겠지요. 19 익명 2011/12/13 3,425
48275 일이 힘들수록 같이 있는사람이 더 진상 3 진상 2011/12/13 1,246
48274 옥타곤걸 아리아니가 트위터로 축하메시지 보낸 남자 1 호박덩쿨 2011/12/13 788
48273 우리딸 칭찬해주세요~~ 12 ㅎㅎㅎ 2011/12/13 2,007
48272 파워 블로거 sbs (냉무) 2 ... 2011/12/13 1,651
48271 얼굴의 감각이 이상합니다 4 얼굴 2011/12/13 2,958
48270 학벌가지고 사람 선입견 가지면 안되지만 51 JK님 2011/12/13 12,291
48269 최재천 변호사님 한미 FTA 특강(서울대, 2011.12. 6).. sooge 2011/12/13 863
48268 말꼬리 잡고 계속 말을 물고 들어지는 사람은 어찌하면 되나요? 14 말꼬리 2011/12/13 2,102
48267 크루즈여행이 너무 무서운데 제가 이상한건가요? 20 여행이 싫어.. 2011/12/13 3,882
48266 오븐 사고싶다...키톡보니 10 아... 2011/12/13 2,798
48265 어린이집 생일잔치 선물, 물티슈도 괜찮을까요? -_-; 7 급질.. 2011/12/13 1,642
48264 나는 꼼수다를 까는 분들에게 고함[펌] 2 ^^ 2011/12/13 1,172
48263 이 바이올린은 가격이 어느정도 일까요? 바이올린 2011/12/13 1,406
48262 백김치 등 물김치류 잘 드세요? 1 애들도? 2011/12/13 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