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의사결정의 역사로 본 포퓰리즘의 한계

달려라고고 조회수 : 900
작성일 : 2011-11-22 15:38:12

 

왕이 있고 신하가 있고 평민이 있는 고대 계급사회에서의 의사결정은 독재의 그것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평민은 왕이나 군주에게 의사결정권을 위임하지 않았다. 하지만 계급의 위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노력과 상관없이 태어남으로서 자연스레 가지게 된 권력으로 모든 것을 결정하고 선택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구성되고 발전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평민의 수와 힘이 늘어나면서 더 이상 독재의 시대를 유지할 수 없게 됐다. 그래서 다수결이 등장한다. 공동체의 구성원이 동일하게 1개의 권리를 가지고 그것들을 각자 사용하여 다수가 동의하는 것, 원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다수결의 기본 원리이다.

 

그런데 다수결이 옳은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2가지 전제가 있어야 한다.

다수결에 참여하는 모든 국민이 똑똑할 것, 그리고 모든 국민이 도덕적일 것.

그것이 전제되어야 다수결을 성공적인 의사결정의 도구가 된다.

이를테면 싸이코패스 살인범이 공동체의 50%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다수결로 살인의 정당성을 결정한다면 그 사회는 다수결로 살인이 합법적이 될 것 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기들이 그리 똑똑하지 않으며 때로 도덕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대리인을 뽑게되었다. 정치의 전문가를 뽑아 그것만 하도록, 그리고 도덕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월급도 책임지고 주는 것, 그것이 의회민주주의의 시작이다.

 

 

다수결은 이미 기본이되는 전제 2가지다 참이 아니기 때문에 바른 의사결정 도구일 수 없다. 그런데 어떤 정치인은 다수결로 하자고 한다. 국민이 한계가 있으니까 전문가인 국회의원을 뽑아 정치를 전문적으로 하게 하고 넌 전문가니까 틀렸을 경우 책임도 니가 지라고 뽑아 놓은 것이다. 그 정치인이 다수결로 돌아가자고 한다.

 

국민 귀에는 일견 솔깃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떤 국가적 선택의 순간에

국민투표에 맏길 경우, 그 결과가 좋으면 “거봐요!” 인거고 결과가 안좋으면 “국민이 원했다!”하고 말할 수 있다. 어느쪽이든 정치인은 책임을 피한다.

 

이것이 포퓰리즘의 한계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다는 것.

IP : 180.182.xxx.4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459 엄마가 입던 벨벳 재킷이 제일 소중한 보물인데요 4 옷 좋아하는.. 2011/12/30 2,001
    54458 7살 인생게임(보드게임) 사달라는데 어떤 제품 사면 되나요? 1 미도리 2011/12/30 1,375
    54457 지웁니다. 2 장터 2011/12/30 695
    54456 드럼세탁기 전력소비량 문의드려요 드럼세탁기 2011/12/30 2,223
    54455 음 요즘 왕따 가해자들은. 8 dma 2011/12/30 2,100
    54454 민변 쫄지마 프로젝트..(끌어당김) 4 참여좀 2011/12/30 1,681
    54453 저는 요즘 옛날 옷 리폼하고 있어요.ㅎㅎ 5 스키니 2011/12/30 2,969
    54452 서울 호텔 추천좀 해주세요. 친구들과 파자마파티하려구요. 7 행복 2011/12/30 2,702
    54451 아이패드 쓰시는분들께 여쭙니다 ^^ 2 궁금 2011/12/30 1,107
    54450 철분제 먹으면 속이 이렇게 안좋나요? 10 .. 2011/12/30 12,326
    54449 남자아이 중학교 종로 학군 질문 ... 2011/12/30 1,411
    54448 엄마의 모성애가 의심이되네요..왜 구속은 안시키고 3 . 2011/12/30 2,664
    54447 ‘민주화 운동의 얼굴’ 김근태는 누구인가 12 세우실 2011/12/30 1,492
    54446 도장파는 곳 좀 추천해주세요 4 ... 2011/12/30 2,035
    54445 초등생학부모께 질문이요..요즘은 빠른 생일, 빠른 입학 없어졌나.. 8 궁금 2011/12/30 1,906
    54444 김근태의 유훈,,, "진정 승리하고 싶은가".. 4 베리떼 2011/12/30 1,145
    54443 제주도에 일출 보러 밤에 갔다 아침에 오는 거, 바보 짓이겠죠?.. 5 아.. 2011/12/30 1,362
    54442 12월은 학생들 공부안시키는 대한민국 25 나도한마디 2011/12/30 3,158
    54441 이상돈 교수... 6 ... 2011/12/30 1,612
    54440 출산관련 책 (예비 초등아이가 넘 궁금해해서요) 2 컴맹 2011/12/30 531
    54439 김전이 김전이 아니되었사와요~ . 2011/12/30 1,334
    54438 등산바지 평소에 입고 다니면 좀 이상할까요 8 등산 2011/12/30 2,553
    54437 토론은 계속된다.. .. 2011/12/30 464
    54436 검정고시 문의입니다. 2 기러기집 2011/12/30 909
    54435 두상이 저처럼 예쁜 분은 아마 없을거에요. 10 궁금 2011/12/30 4,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