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의사결정의 역사로 본 포퓰리즘의 한계

달려라고고 조회수 : 1,007
작성일 : 2011-11-22 15:38:12

 

왕이 있고 신하가 있고 평민이 있는 고대 계급사회에서의 의사결정은 독재의 그것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평민은 왕이나 군주에게 의사결정권을 위임하지 않았다. 하지만 계급의 위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노력과 상관없이 태어남으로서 자연스레 가지게 된 권력으로 모든 것을 결정하고 선택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구성되고 발전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평민의 수와 힘이 늘어나면서 더 이상 독재의 시대를 유지할 수 없게 됐다. 그래서 다수결이 등장한다. 공동체의 구성원이 동일하게 1개의 권리를 가지고 그것들을 각자 사용하여 다수가 동의하는 것, 원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다수결의 기본 원리이다.

 

그런데 다수결이 옳은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2가지 전제가 있어야 한다.

다수결에 참여하는 모든 국민이 똑똑할 것, 그리고 모든 국민이 도덕적일 것.

그것이 전제되어야 다수결을 성공적인 의사결정의 도구가 된다.

이를테면 싸이코패스 살인범이 공동체의 50%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다수결로 살인의 정당성을 결정한다면 그 사회는 다수결로 살인이 합법적이 될 것 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기들이 그리 똑똑하지 않으며 때로 도덕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대리인을 뽑게되었다. 정치의 전문가를 뽑아 그것만 하도록, 그리고 도덕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월급도 책임지고 주는 것, 그것이 의회민주주의의 시작이다.

 

 

다수결은 이미 기본이되는 전제 2가지다 참이 아니기 때문에 바른 의사결정 도구일 수 없다. 그런데 어떤 정치인은 다수결로 하자고 한다. 국민이 한계가 있으니까 전문가인 국회의원을 뽑아 정치를 전문적으로 하게 하고 넌 전문가니까 틀렸을 경우 책임도 니가 지라고 뽑아 놓은 것이다. 그 정치인이 다수결로 돌아가자고 한다.

 

국민 귀에는 일견 솔깃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떤 국가적 선택의 순간에

국민투표에 맏길 경우, 그 결과가 좋으면 “거봐요!” 인거고 결과가 안좋으면 “국민이 원했다!”하고 말할 수 있다. 어느쪽이든 정치인은 책임을 피한다.

 

이것이 포퓰리즘의 한계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다는 것.

IP : 180.182.xxx.4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564 동네 커뮤니티 들어갈 때마다 참 기분이 묘하네요. 4 에휴 2012/01/30 2,760
    65563 사촌동생이 연대 졸업하자마자 곧 입학하네요.. 31 취직난 2012/01/30 16,773
    65562 테프론 코팅 프라이팬 vs 스테인레스 프라이팬 6 주부 2012/01/30 4,272
    65561 초등학교 가방 선택 도움좀 주세요 6 엘렌 2012/01/30 1,977
    65560 축농증 레이저 수술 해 보신 분 계시나요?? 6 축농증 2012/01/30 2,926
    65559 출산3주뒤 시누결혼식 참석가능한지 물었던 사람인데요 ㅜㅜ 28 ㅠㅠ 2012/01/30 4,928
    65558 핸드폰 심심이 5 놀란토끼 2012/01/30 1,744
    65557 네티켓(인터넷 예절)은 어디로 간건가요? 4 깜짝 2012/01/30 1,229
    65556 대통령 욕하면 잡혀가는 세상, 노무현은 어땠을까? 1 호박덩쿨 2012/01/30 1,228
    65555 아이가 태권도장에서 주먹쥐고 엎드려 뻗히기를 햇다는데 22 태권도 2012/01/30 3,734
    65554 향나무 도마 어떨까요? 쇼핑에서 파.. 2012/01/30 1,109
    65553 엄마의 힘을 보여주세요. 유희왕카드 아이가 좋아할 만한~~ 2 도움절실 2012/01/30 1,088
    65552 바람끼있는 남자들 대부분은 아니겠죠.??? 7 .. 2012/01/30 4,673
    65551 신용카드,체크카드 추천해주세요 4 카드추천요망.. 2012/01/30 2,037
    65550 내일 계약하기로 했는데... 마음이 천갈래 만갈래 ㅠㅠ 14 이런집 어떨.. 2012/01/30 3,579
    65549 어플 다운받아 설정한 벨소리는 불안정한가요? 1 이쁜이맘 2012/01/30 965
    65548 저는 그림 그리는 사람인데요. 집안정리 문제입니다. 17 화가 2012/01/30 4,211
    65547 교육보험 어떤 게 좋은가요? 3 스위티맘 2012/01/30 1,889
    65546 자녀, 기숙사 생활(고등) 하시는 댁 계세요? 9 걱정걱정 2012/01/30 2,720
    65545 남편 형 (아주버님) 결혼식에 전 무얼 입고 가야 하나요? 12 2012/01/30 4,825
    65544 올해 그러니까 2012년에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 개정되었나요?.. 6 6학년..... 2012/01/30 1,814
    65543 82님들의 혜안을 빌려주세요~ 사진정리 어떻게들 하고 계세요? 8 뿡뿡이네 2012/01/30 2,519
    65542 수원근처 경락마사지 추천 행복하게 2012/01/30 1,030
    65541 해열제먹는 시기 5 yaani 2012/01/30 1,178
    65540 수돗물 온수가 더 안좋은거에요? 1 오오 2012/01/30 1,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