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의사결정의 역사로 본 포퓰리즘의 한계

달려라고고 조회수 : 1,040
작성일 : 2011-11-22 15:38:12

 

왕이 있고 신하가 있고 평민이 있는 고대 계급사회에서의 의사결정은 독재의 그것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평민은 왕이나 군주에게 의사결정권을 위임하지 않았다. 하지만 계급의 위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노력과 상관없이 태어남으로서 자연스레 가지게 된 권력으로 모든 것을 결정하고 선택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구성되고 발전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평민의 수와 힘이 늘어나면서 더 이상 독재의 시대를 유지할 수 없게 됐다. 그래서 다수결이 등장한다. 공동체의 구성원이 동일하게 1개의 권리를 가지고 그것들을 각자 사용하여 다수가 동의하는 것, 원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다수결의 기본 원리이다.

 

그런데 다수결이 옳은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2가지 전제가 있어야 한다.

다수결에 참여하는 모든 국민이 똑똑할 것, 그리고 모든 국민이 도덕적일 것.

그것이 전제되어야 다수결을 성공적인 의사결정의 도구가 된다.

이를테면 싸이코패스 살인범이 공동체의 50%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다수결로 살인의 정당성을 결정한다면 그 사회는 다수결로 살인이 합법적이 될 것 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기들이 그리 똑똑하지 않으며 때로 도덕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대리인을 뽑게되었다. 정치의 전문가를 뽑아 그것만 하도록, 그리고 도덕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월급도 책임지고 주는 것, 그것이 의회민주주의의 시작이다.

 

 

다수결은 이미 기본이되는 전제 2가지다 참이 아니기 때문에 바른 의사결정 도구일 수 없다. 그런데 어떤 정치인은 다수결로 하자고 한다. 국민이 한계가 있으니까 전문가인 국회의원을 뽑아 정치를 전문적으로 하게 하고 넌 전문가니까 틀렸을 경우 책임도 니가 지라고 뽑아 놓은 것이다. 그 정치인이 다수결로 돌아가자고 한다.

 

국민 귀에는 일견 솔깃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떤 국가적 선택의 순간에

국민투표에 맏길 경우, 그 결과가 좋으면 “거봐요!” 인거고 결과가 안좋으면 “국민이 원했다!”하고 말할 수 있다. 어느쪽이든 정치인은 책임을 피한다.

 

이것이 포퓰리즘의 한계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다는 것.

IP : 180.182.xxx.4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578 애가 둘이 되니 이런 문제점도 있네요.. 5 아프지마라... 2012/02/19 2,498
    73577 위 용종제거수술 해보신분 계신가요? 3 용종 2012/02/19 16,198
    73576 가슴이랑 브라요~ (브래지어가 맞는 말인가?) 26 그냥 2012/02/19 4,126
    73575 치아 교정, 저렴한 치과 or 가까운 치과 어떤게 좋을지요? 5 교정 2012/02/19 2,304
    73574 출산 후 회음부 절개 흉터 ㅠ 다들 어떠신가요? 7 흑흑 2012/02/19 46,324
    73573 초등 교사인데 도움 요청해요! 60 세라천사 2012/02/19 10,504
    73572 카카오톡에 올라오는 사진 8 ^^ 2012/02/19 3,230
    73571 어머님~ 아무리 그래도 이건 아니잖아요... 2 소가 2012/02/19 1,702
    73570 바람핀 거 용서하고 사시는 분 1 .... 2012/02/19 2,129
    73569 새로운 마음으로 새학기 맞이는 꽝이됐어요. 1 콩닥~ 2012/02/19 1,101
    73568 오징어 다리만 남았는데 5 ........ 2012/02/19 1,646
    73567 그냥 소리내어 울었어요... 33 저는 2012/02/19 13,497
    73566 먹을거 밝히는 치사한 남편 8 짜리 2012/02/19 3,338
    73565 어제 고속터미널에서요 1 777 2012/02/19 1,272
    73564 범죄와의 전쟁 무서운가요? 13 .... 2012/02/19 2,687
    73563 얼굴에 피부가 자꾸 벗겨져요 5 얼굴피부 2012/02/19 3,200
    73562 82의 2월 이벤트 내용 보셨어요? 3 지나 2012/02/19 1,373
    73561 날치기주범 새누리당~ 3 ,, 2012/02/19 741
    73560 쇼파 2인용으로 살려는데요 2 하늘 2012/02/19 1,357
    73559 지하철 사건. 성별의 문제가 아니라 '기본' 의 문제입니다. 24 솔직한찌질이.. 2012/02/19 2,819
    73558 지하철에서 저렇게 다리 꼬고 앉으면 안돼죠. 8 .... 2012/02/19 2,647
    73557 조금 있다가 뮤지컬 보러 나가는데요 1 둘째딸 2012/02/19 839
    73556 막말女 영상에 관해 옹호하는 분들이 많네요 ㄷㄷ 15 새신랑2 2012/02/19 2,597
    73555 스마트폰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1 폰맹 2012/02/19 876
    73554 부부관계시에 4 키스 2012/02/19 4,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