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의사결정의 역사로 본 포퓰리즘의 한계

달려라고고 조회수 : 435
작성일 : 2011-11-22 15:38:12

 

왕이 있고 신하가 있고 평민이 있는 고대 계급사회에서의 의사결정은 독재의 그것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평민은 왕이나 군주에게 의사결정권을 위임하지 않았다. 하지만 계급의 위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노력과 상관없이 태어남으로서 자연스레 가지게 된 권력으로 모든 것을 결정하고 선택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구성되고 발전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평민의 수와 힘이 늘어나면서 더 이상 독재의 시대를 유지할 수 없게 됐다. 그래서 다수결이 등장한다. 공동체의 구성원이 동일하게 1개의 권리를 가지고 그것들을 각자 사용하여 다수가 동의하는 것, 원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다수결의 기본 원리이다.

 

그런데 다수결이 옳은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2가지 전제가 있어야 한다.

다수결에 참여하는 모든 국민이 똑똑할 것, 그리고 모든 국민이 도덕적일 것.

그것이 전제되어야 다수결을 성공적인 의사결정의 도구가 된다.

이를테면 싸이코패스 살인범이 공동체의 50%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다수결로 살인의 정당성을 결정한다면 그 사회는 다수결로 살인이 합법적이 될 것 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기들이 그리 똑똑하지 않으며 때로 도덕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대리인을 뽑게되었다. 정치의 전문가를 뽑아 그것만 하도록, 그리고 도덕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월급도 책임지고 주는 것, 그것이 의회민주주의의 시작이다.

 

 

다수결은 이미 기본이되는 전제 2가지다 참이 아니기 때문에 바른 의사결정 도구일 수 없다. 그런데 어떤 정치인은 다수결로 하자고 한다. 국민이 한계가 있으니까 전문가인 국회의원을 뽑아 정치를 전문적으로 하게 하고 넌 전문가니까 틀렸을 경우 책임도 니가 지라고 뽑아 놓은 것이다. 그 정치인이 다수결로 돌아가자고 한다.

 

국민 귀에는 일견 솔깃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떤 국가적 선택의 순간에

국민투표에 맏길 경우, 그 결과가 좋으면 “거봐요!” 인거고 결과가 안좋으면 “국민이 원했다!”하고 말할 수 있다. 어느쪽이든 정치인은 책임을 피한다.

 

이것이 포퓰리즘의 한계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다는 것.

IP : 180.182.xxx.4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030 개콘 왕대박 2 개콘 2011/11/28 1,804
    41029 좀 전에 mbn에 경찰서장 폭행 용의자 체포라는데 무슨 소린가요.. 7 나거티브 2011/11/28 1,265
    41028 요즘은 모직 코트를 안입나요? 24 .. 2011/11/28 13,608
    41027 폴리테이너 전성시대 1 쑥빵아 2011/11/28 1,026
    41026 FTA 찬성 151인 컬러 브로마이드 8 추억만이 2011/11/28 1,171
    41025 종로경찰서장 딱걸렸네.. 24 딴나라당아웃.. 2011/11/28 7,693
    41024 모피입은거보면 야만인같아 보이세요?있는건 어쩌죠? 28 저도챙피해요.. 2011/11/28 3,812
    41023 올해 초등학생 중학생 겨울방학 며칠부터 시작하나요 ? 6 통통맘 2011/11/28 1,441
    41022 [현장]폭력을 막는 시민들의 목소리 6 참맛 2011/11/28 2,021
    41021 성북서로 연행되셨던 회원 석방되셨대요. 28 나거티브 2011/11/28 2,886
    41020 모공이 넓은 여드름 흉터 피부에 좋은 피부과 시술은 뭐가 있을까.. 3 피부안좋은 .. 2011/11/28 2,399
    41019 아파트관리비 할인등등 이것저것 할인많이 되는 카드 2 궁금 2011/11/27 1,810
    41018 민주노동당 대의원대회, 통합안 90.1%가결 5 참맛 2011/11/27 1,042
    41017 '최루탄 열사'가 경찰 덕을 보다니.. @@@ 2011/11/27 656
    41016 30일 여의도 가시나요? 11 gr8sun.. 2011/11/27 1,527
    41015 생새우 구입처 2 궁금 2011/11/27 1,311
    41014 위가 안좋으신분들 병원치료 계속받으시나요? 9 ... 2011/11/27 1,657
    41013 ‘안녕 프란체스카’ 신정구 작가, 간경화 투병 중 사망 2 이런 슬픈일.. 2011/11/27 2,896
    41012 유시민님 따님 풀려나셨대요 4 no FTA.. 2011/11/27 2,596
    41011 교회에서 왠 FTA? 7 FTA 투쟁.. 2011/11/27 1,817
    41010 드보르작의 「신세계 교향곡」 제4악장 4 바람처럼 2011/11/27 3,823
    41009 울산분들 도움 부탁드려요. 지리 질문... 7 sos 2011/11/27 783
    41008 김치를 택배로 보내면 쉴까요? 6 에효 2011/11/27 1,724
    41007 최효종 애정남 마지막에서 한 멘트가 동영상으로 떴네요! 8 참맛 2011/11/27 3,378
    41006 새내기 대학생 노트북 구매 포인트 도움 말씀 부탁드려요 4 노트북 2011/11/27 1,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