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떤 치과의사가 치과의사의 인생계획에 대해 쓴글이 있는데 음...(펌)

치전고 조회수 : 6,602
작성일 : 2011-11-21 16:39:39

군소재지면 월 천이상 생각하심되구요

경기도외곽이라도 시단위에서 개원하면 보통 1500~2000이상 법니다.


플레인루트가 졸업후 대학병원 인턴1년 또는 로컬에서 2년정도 있으면서 , 개원지 선정 한 후

군이나 시 단위에서 개원을 합니다. 그렇게 해서 보통 5~10년정도 벌면 작은 빌딩 한채 지을 돈이 모입니다.

그럼 그 돈으로 광역시급 도시에 건물을 사서 들어가는거죠.

이게 가장 안정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런과정을 건너뛰고 처음부터 바로 광역시급에서 개원하는분들도 있는데

이런경우 경영 노하우가 없고 술기가 부족한 경우가 많기때문에

안정적인 환자층을 확보하는데 실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시.군단위에서 개원했을때 기대수입보다 더 낮은 수입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거기다 광역시의 아파트단지 상가나 역세권 월세도 부담이 되구요.


그래서 보통은 젊을때는 안정적인 수입이 확보되는 지방으로 가서 5~10년정도 원장님소리 들으면서 경영감각과 치료실력을 쌓으면서

자리를 잡습니다.

그렇게 모인 돈으로 광역시급에서 역세권의 빌딩이나 아파트단지의 괜찮은 상가 한채를 살 수 있는 돈이 모이면

광역시급으로 진출합니다.

보통 치과를 이전할때는

가정집이 이사갈때 사용하던 TV, 냉장고, 컴퓨터, 가구들을 버리고 새로 사는게 아니듯이

치과를 이전할때도 이삿짐센터를 불러서 짐 싣고 이사가면 됩니다.

또는 기존의 치과건물과 중고장비들을 초보치과의사에게 매물로 내놓고,

자신은 광역시에서 매물로 나온 치과를 사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런경우 이미 환자층이 확보가 되어있기때문에 더 선호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이런 치과 매물들은 한국치과의사협회 홈페이지나(KDA) 치과의사 커뮤니티를 참조하시면됩니다.


시.군구 단위와 광역시는 환자층이 조금 다른면이 있습니다.

시.군구에 개원하게되면 주로 치아우식환자에 대한 신경치료 및 레진 아말감등을 이용한 간단한 수복치료나 엔도가 주를 이룹니다.

간혹 보철치료도 있긴하지만, 전체적으로 볼때  광역시급보다 환자 1인당 기대수입은 더 낮습니다.

하지만 광역시보다 훨씬 안정적인 환자층 확보가 가능합니다.

시.군단위 환자들은 주로 고령층이어서 치과치료 수요가 높고,

인구밀도가 낮기때문에 환자입장에서 치과 선택권이 거의 없기때문이죠.

바로 이런 "환자는 많이볼 수 있고, 수입은 안정적이다" 라는 이유때문에

초보치과의사들의 필수코스로 여겨지는겁니다.


이렇게 노하우와 감각, 많은 임상케이스들을 거쳐 실력이 쌓이게되면

광역시급에서 역세권 상가건물이나 빌딩을 사서 들어가는거죠.

광역시는 시군구보다 보철 요구 환자가 더 많습니다. (임플란트와 교정은 제외한 보철)

따라서 치과의사 1인당 로딩은 낮아지는 반면, 환자 1인당 기대수입은 높은편입니다.

시.군구에서 열심히 공부한 치과의사라면 광역시에서도 안정적인 환자층을 확보할 수 있기때문에

시.군구에서 개원했을때보다 시간적인 여유는 더 많아지는 반면, 수입은 더 높아집니다.

거기다 건물이 자기 명의니 만큼 추가소득도 생기게 되죠.

실력좋고 입소문만 잘 나면 광역시는 그야말로 기회의 땅이 될 수도 있습니다.

환자 1인당 기대수입이 높은만큼, 시.군에서 보던만큼 환자들을 보면 월수입 2000은 쉽게 넘어갑니다.

만약 대박을 내지 못한다고 하면, 치과의사로서의 기대수입은 시군구에서나 광역시에서나 비슷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경우라도, 치과의사 입장에서는 대박을 노릴 수 있는 복권을 긁어본 셈이고,

치과의사로서의 로딩도 적어졌고, 거기다 생활환경도 광역시인만큼 더 좋아졌으니

결국 절대로 밑지는 장사는 아닌 셈이죠.

건물도 자기명의니 만큼 비싼 월세를 낼 이유도 없으니 광역시로의 진출은 기회비용이 0원인 셈이나 마찬가지죠.


보통 광역시에 진출하는 나이는 40대 초반 ~중반정도가 대부분입니다.

광역시로 진출하는 여러이유들이 있지만

이때는 자녀들 교육문제도 있어서 결국 45세 전후로는 다들 광역시로 오게됩니다.

치과의사의 사이클을 인생에 비교했을때 시.군구에서의 생활이 청.장년층이라면 ,

광역시에서의 생활은 젊을때 이룬 지위를 누리며 사는 중년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광역시로 와서 15~20년정도 치과의사 생활을 더 한 후에는 은퇴를 하게됩니다.

보통 은퇴한 후에는 빌딩이나 상가 2채정도 가지고 의사(치과의사가 아님)들에게 월세를 놓는식의 임대수입으로 살아갑니다.

평일에는 골프를 치러 다니거나 해외여행을 다니고

주말에는 주위의 양로원이나 고아원 등 치과치료가 꼭 필요하지만 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찾아가

치과의료봉사를 해서 보람을 느끼며 살아가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면 꼭 듣는 말이

"아이고 치아가없어서 정말 힘들었는데 선생님이 틀니 해주신덕분에 정말 사는게 즐거워졌습니다.선생님 감사합니다" 라는 말들인데,

이런말을 들을때 치과의사로서 가장 보람을 느끼고 자신이 치과의사라는것에 행복과 만족을 느낀다고 합니다.

젊을때 이미 더이상 돈을 벌어도 의미가 없을정도로 벌어놨으니,

노년은 여행을 다니고 의료봉사를 다니면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거겠죠.


여담이지만 치과에서 환자들을 치료하다 보면 환자들 중에 정말 치료가 잘되어서 고맙다는 인사를 하는 환자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환자들이 치료 후 만족하면서 고맙다는 인사를 할 떄,

치과의사들은 보람과 직업적인 만족 , 그리고 자신이 치과의사인 사실에 행복해 진다고 합니다.

IP : 210.123.xxx.3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치전고
    '11.11.21 4:40 PM (210.123.xxx.35)

    지금 치과의사 준비하는데 무조건 치과의사 되어야 겠네요;

  • 2. 치전고
    '11.11.21 4:42 PM (210.123.xxx.35)

    아는 분은 서울시에서 치과운영하시는데 월 순익이 3천이 넘는 다는 소릴 들었는데...

  • 3. 치전고
    '11.11.21 4:45 PM (210.123.xxx.35)

    치과의사....젊었을땐 부지런히 돈 모으고 나중에 나이 들어서는 사회에 봉사하면서 멋진 인생을 살 수 있겠군요

  • 4. 왠지
    '11.11.21 4:50 PM (175.115.xxx.94)

    일수꾼이 하는 말 같아욧.

    여러분..치과의사되서 천,이천,삼천 벌기 어렵지! 안~아~요~.
    5년 10년 숨만쉬면서 일하면 빌딩을 살수 있어요. ㅎㅎㅎ

    아주 쉽게 사신 분이 하신 소리 같습니다.
    나처럼 살면 된다고.

  • 5. 치과의사 아니지만
    '11.11.21 5:04 PM (220.121.xxx.13)

    현실성 있는 글 같네요.
    물론 잘 되는 치과, 잘 안되는 치과 있지만
    그래도 영 허황한 내용은 아닌거 같아요..

  • 6. 아니 왜
    '11.11.21 5:09 PM (122.36.xxx.11)

    지가 쓴글에 지가 댓글을? 아닌 척 하면서.

  • 7.
    '11.11.21 5:14 PM (125.186.xxx.148)

    댓글 대화명에 초록색 뜨는거 안보이나봐요..ㅎㅎㅎ

  • 8.
    '11.11.21 5:15 PM (175.113.xxx.19)

    이게 언제적 얘기인데 이런걸 찾아서 기대를 품나요..
    시골에도 이제 자리없습니다.
    인맥 총동원해서 치과의사 몇명만 만나서 진솔한 얘기 나눠보세요.

  • 9. 참나
    '11.11.21 5:27 PM (118.45.xxx.30)

    지가 글쓰고 지가 답달고'''.
    완전 또라이'''.

    사실 아닌 거 알죠?
    시골에 무슨 돈이 있다고 이를 척척 하며
    시골에 치과가 얼마나 많은데''''.

  • 10. 치전고
    '11.11.21 5:30 PM (210.123.xxx.35)

    글쓴이인데요...이글 현직 치과의사가 직접 쓴 글입니다...그래도 어느정도 신빙성 잇는 글이라 생각합니다..이정도는 되니 치과의사 되가가 그리 힘든 거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603 부산구치소로 간 그를 위한 기도 - 희망버스 기획자 송경동 2 ^^별 2011/11/28 2,105
42602 아파트 안사시는분이 음식 쓰레기 버리다가 경비아저씨한테 딱 걸려.. 3 ... 2011/11/28 3,207
42601 영어과외선생님 대학생도 괜찮은가요 7 쪙녕 2011/11/28 2,738
42600 주간경향 브로마이드 이번 호 아닌가요? 2 나거티브 2011/11/28 1,081
42599 던킨 도너츠 맛있는 거.. 5 만원이나 2011/11/28 2,225
42598 목돈마련상품 추천요 재테크젬병 2011/11/28 913
42597 MB "제복 입은 경관 폭행은 민주주의 위협" 22 ^^별 2011/11/28 1,821
42596 선물 고민 1 선물 선물 2011/11/28 812
42595 남친집 첨 인사드리러 가는데요 뭐 사가지고 가야.. 6 네네 2011/11/28 2,032
42594 이대 다니시는 분 14 책 한권 2011/11/28 2,916
42593 짐보리 같은 미국브랜드...지금이 제일 싼가요? 1 세일 2011/11/28 1,180
42592 목사아들돼지 김용민 PD의 11월 28일 조간 브리핑 4 세우실 2011/11/28 1,952
42591 쇼핑마당 키친에이드믹서 , FTA전에 다 팔아버리려고 하는걸까요.. 3 맹한질문 2011/11/28 1,920
42590 마음이 계속 불안하네요 요즘 2011/11/28 1,122
42589 창고에 오래보관해 쾌쾌해진 옷은 어떡해야 하나요?? 2 .. 2011/11/28 1,353
42588 유치원 다니는 아이들 생일 답례품 9 유치원 2011/11/28 8,055
42587 캐시미어 100% 코트.. 관리 5 냉정과열정 2011/11/28 7,508
42586 시아버님이 위중하세요 2 도움절실.... 2011/11/28 1,601
42585 펌)성북 국회의원사무실앞 집회 5 ........ 2011/11/28 1,262
42584 키친툴 셋 추천 좀 부탁드려요.. 4 고민중 2011/11/28 1,366
42583 중학교 교과서 개정이 언제부터인가요.,, 1 중딩 2011/11/28 1,247
42582 애인에게 차이는 꿈 2011/11/28 6,581
42581 맛간장 을 영어로 표현? 8 맛간장 선물.. 2011/11/28 3,147
42580 나이들면서 맘 맞지 않는 사람들 교류 어떻게하세요? 2 ㄷㅈㅈ 2011/11/28 2,009
42579 컴화면 밝기 조절 어찌하나요? 아줌마 2011/11/28 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