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오래된 주택한채를 어떻게 하는게 제일 좋을까요?

겨울 조회수 : 2,299
작성일 : 2011-11-17 20:48:32

오전에 글 올렸던 50되는 돌싱녀입니다.

이사를 가야하는데 제 돈 1억 5천으로는  사기도 ...전세가기도 망설여지고

일단 내년엔 비 정규직인  직장도 좀 쉬고  1년이라도 쉬고싶어서

(그동안 제가 돈을 벌면서 살림을 꾸려왔고 여러모로 많이 지친탓에 )

당장 벌이가 없게되니  제 재산 전부인 그 돈으로 선듯 뭘 결정하기가 어렵네요.

 

그래서 친정을 들어갈까싶은데  친정도 상황이 많이 복잡합니다.

 

부모님이 생활능력이 없으시고  아버지 명의로

땅평수는 51평인  80년에 지은 단독주택이 있는데

 

오래되어 지붕도 새고  샤워도 제대로 못하는 그런 집이라 친정집만 빼고는

그 부근이 다 빌라나 다세대, 원룸등으로 재건축을 했습니다.

 

그 땅을 담보로 2억 4천정도 은행융자를 받으셨는데 지금은

이자가 감당이 안되어서 집을 내놓은 상태이긴 합니다.

 

강북이긴 하지만 지하철 2개노선이 환승이 되는 교통이 아주 편한곳이라

지금 시세는 6억정도는 받을수있는것같은데  팔리지는 않습니다. ㅡ.ㅡ;;

 

다세대나 원룸을 지으면 100%  나간다고 하는데

저는 1억5천밖에 없고...어떻게 방법이 없을까요?

 

제가 이런쪽을 잘 모르고 주위에 남자가 없으니 알아서 해주는사람도 없고

그냥 여기다 계속 조언을 구해보니  구질구질한 얘기라도 이해해주세요.

 

 

 

 

 

IP : 175.196.xxx.17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이
    '11.11.17 8:57 PM (175.196.xxx.171)

    첫댓글분께 댓글을 달려고했더니 댓글 기능이 오늘은 안되네요. ㅠ.ㅠ
    이제 댓글기능이 없어진건지....

    암튼 안그래도 부동산에 가봤었는데 그때는 제 사정이 이렇게 되기전이었기에
    1억5천이 있다는 얘기는 안하고 그냥 의논해본결과
    원룸이나 다세대지으면 100%나간다 뭐 이런 얘기만 해주시더군요.
    동네 부동산에서 업자에게 연결해줄거라 생각했는데 그렇게 연결은 안해주시던데요 ^^:;

  • 2. 787
    '11.11.17 9:16 PM (122.37.xxx.130)

    다세대나 원룸 신축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건축비 알아보시고 만약 돈이 부족하다면 은행에서 건축비 융자도 알아보시고..
    이왕이면 원룸신축하여 월세받는 방향이 좋을것 같아요.
    더블역세권이면 아주 좋은데요..

  • 3. 브레인
    '11.11.17 9:24 PM (112.168.xxx.35)

    집을 재건축하면 괜찬은데..집지을동안 살집도 구해야하고.융자이자도 내야하니 잘생각해보아야하는데..부동산소개한 건축업자는 커미션들어가 건축비비싸집니다.주변에 믿을만한사람 알아보던지..집지어주고 세빼나가는 업자도 있지만 부실시공하면 큰일이니 주변 탐색해서 잘알아보세요.진심으로 상담받아줄곳 알아보시고 설계를 잘해야 좋은결과있어요.저도 내년 상가주택 지을예정인데..51평이면 땅이 작으니 설계를 잘해야 임대수입도 잘나올것같아요.

  • 4. ...
    '11.11.17 10:24 PM (124.61.xxx.139)

    부모님이 그동네에서 오래 사셨으면, 괜찮게 지은 몇집 빌라나 다가구나 업자 누군지 알아 보시라고 하세요.
    동네 반장들은 대충 알거예요.
    원글님이 복덕방에 이동네 어디 연립이나 원룸이 괜찮은지 알아보시던지요(실구매자처럼)
    업자는 동네에 몇 사람이 도맡아 했을거예요. 서로 옆집 옆집 소개로요.
    업자가 구해지면 본인돈이 없어도, 매매나 전세 후에 들어오는 돈으로 건축비 계산이 될겁니다.
    전세나 월세인 경우에는 한층을 본인이 살아야 할 경우라면 당장 남지는 않을겁니다.
    젤로 속편한건 죄다 매매로 팔고 다른 곳에 집을 얻는것이고, 좀만 세심히 신경 쓰신다면 건축비 빠지는 선에서 전월세 놓으시면 미래에 수익은 있을 겁니다.
    단, 관리하기가 좀 번거롭지만 월세 제대로 놓으면 생활비는 충분히 빠지지요.
    여러 업자 만나서 조건 잘 비교해 보시고 결정하세요.

  • 5. 베티야
    '11.11.18 1:42 AM (58.232.xxx.93)

    싸게라도 파세요.

    요즘 평당 건축비가 너무 비쌉니다.
    예전에는 평당 300미만으로 지을 수 있었는데 ... 요즘은 어렵지 않을까요?
    그리고 세금은 어찌 하시려는지 ...

    아래의 이야기는 법이 자주 바뀌니까 ... 확실하게 알아보시고 '이런점이 있을 수 있구나' 로만 생각하세요.

    예전에는 주차대수 = 가구수 였습니다.
    원글님네 집에 원룸을 20가구 만들고 싶어도
    그 땅에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이 있고 그 수에 따라 가구수가 나옵니다.
    요즘 조금 완화된것으로 아는데 ... 주차대수가 빽빽하게 주차대수가 아니라
    자동차가 나가고 들어가고 동선 따져서 나오기 때문에
    50평에 많아서 6대 정도 ... 많아야 ...

    51평이면 그 면적의 60%에만 건축을 할 수 있는데 약 30평정도네요.
    그리고 길이 건물의 동서남북에 따라서 그 100% 못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4층, 5층 되면 북향쪽으로 면적이 좁아지게 되죠.
    그러면 집이 작아지고 임대료도 낮아지게 됩니다.

    1층은 주차장으로 남겨야 하구요.
    맨 윗층이나 일부는 원글님댁이 사셔야 겠지요.

    만약 저희 동네처럼 5층까지 올릴 수 있다면
    51평 대지에 30평에 건물을 올릴 수 있고
    평당 300만원에 건축할 수 있고
    설계비는 따로입니다.

    위에서 원룸이야기 하는데
    원글님의 경우 100% 건축비를 세입자들의 전세, 월세 비용에서 빼야 하는데
    전 가구를 월세로 하기는 어려우시고 일부는 전세, 일부는 월세로 될 텐데
    전세가 많으면 남 좋은 일만 하시는거구요.

    월세로 빼면 되는데
    요즘 월세로 세주면 복비, 벽지, 장판값도 생각하세요.
    월세 60만원 * 24달이 수입이 아닙니다.

    그리고 윗분처럼 건축업자 소개 받을 때 그 건축업자가 지은집 구경하시고
    그 건물 주인분 만나보세요.
    만족도가 좋은 분이 있을 꺼예요.

    그리고 내부에 들어가는 마감재나 기본가구는 꼭 꼼꼼하게 체크하시고
    싸게 건축하는 분보다는 A/S 잘 해주시는 분이 최고입니다.

    할말은 많으나 요즘 법이 바뀌어서 ...
    건축비용 따져서 전세 가구가 많으면 안 짓는게 나을것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740 항공사 서비스 중에 어린이를 위한 서비스 추천하고 싶으신거 있으.. 3 panini.. 2012/03/02 1,619
78739 하나로 Tv 가 뭔가요? 모나리자 2012/03/02 1,037
78738 길좀알려주세요 길몰라요 2012/03/02 896
78737 외국거주 하는 5세 여자아이 한국유치원과 현지 유치원중 어디가 .. 2 소리나 2012/03/02 1,214
78736 옆배너 감자 3500원짜리 사신분있으시나요? 가격이 달라요. 1 ... 2012/03/02 963
78735 가정교육이 확실하다고 해도 타고나는 아이성향이 있는건지... 6 ,. 2012/03/02 2,913
78734 1년에 한번 제사 모아서 할경우 (기준이 언제인가요?) 3 솜사탕226.. 2012/03/02 2,295
78733 민주당은 평화롭다 술렁술렁 2012/03/02 1,080
78732 박검사 뭐가 두려운가 입을 열어라 9 술렁술렁 2012/03/02 2,081
78731 머리 긴 아이 모자 쓰기 편하게 하려면? 1 실내 수영장.. 2012/03/02 1,091
78730 민주당..알바 동원기사 타이밍...MB가 연막탄 쓰는건 아닐까요.. MB 2012/03/02 1,161
78729 남편이 뭐 사줄까해요~ 5 면세점 2012/03/02 1,599
78728 중학생들 몇시에 끝날까요? , 성적이 바닥인데 학원보내야할까요 7 학습장애 2012/03/02 2,151
78727 스텐레스 압력솥이 김 새요. 2 오래된 2012/03/02 2,388
78726 시터분의 큰아이에 대한 태도.. 12 지혜를 구합.. 2012/03/02 3,651
78725 고등학생이 사용할 영어사전.. .. 2012/03/02 1,228
78724 매일 새벽3시에 잠드는것.. 1 알바 2012/03/02 1,478
78723 69만웑짜리 키이스 트렌치가 아른거려요. 11 . . . .. 2012/03/02 4,231
78722 교회옆 절~~~웃깁니다. 웃겨 2012/03/02 1,652
78721 인권을 중시하던 한국진보 분들이 북한의 인권에는 침묵하죠? 10 ... 2012/03/02 1,603
78720 초등2학년 학교 방과후 프로그램 몇가지 정도 하시나요? 3 방과후 2012/03/02 1,459
78719 윤여정-김수현작가의 우정 5 부럽다 2012/03/02 10,476
78718 췌장은 ct 촬영해야 알수있나요? 피검사만 했는데요 4 도와주세요 2012/03/02 10,728
78717 친정엄마 경락마사지끊어드릴건데 조언좀 해주세요. 3 ... 2012/03/02 1,722
78716 오징어 진미채,, 하나하나 가르쳐 주실분 계세요??? 17 어려워 2012/03/02 3,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