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조사 문화 좀 바뀌었으면 좋겠네요.

조회수 : 3,065
작성일 : 2011-11-17 12:13:21
옛날에는
어린 아이가 돌이 되기 전에 죽는 경우도 많아서
돌이 되면 그걸 기뻐하고 축하하는 의미로 잔치도 하고.
회갑이나 칠순도 마찬가지 였잖아요.

집안의 좋은 일. 좋은 경사
그래서 사람들과 함께 하고 싶고
음식 나눠 먹고 베푸는 그런 즐거운 잔치가 많았는데

요즘은 너무 흔해져서
그 소중함이나 그 뜻을 함께 하고
함께 나누려기 보다는

무조건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되어 버리고
또 그 속엔 더 기본적으로 돈 계산이 들어가 버리니...

정말 축하하고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어서
잔치를 하고 누군가를 초대하고 싶다면
내가 할 수 있는 형편에서 내 기쁨을 진심으로 
같이 축하해줄 수 있는 사람에게 부담 느끼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도 중요한 거 같아요.

그저 와주면 고맙다는 사람보다
왔는데 얼마 밖에 안했더라
남는게 없더라
식비만 겨우 면했더라..

이건 아니잖아요.

초대하는 사람도 내 형편에 맡게 정성껏 초대해서 대접할 수 있을 정도만 하면
초대받는 사람도 내 형편에 부담되지 않고 고민하지 않아도 편한 마음으로
즐겁게 가서 진심으로 축하해 줄 수 있을텐데요.
IP : 112.168.xxx.6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1.11.17 12:18 PM (211.237.xxx.51)

    그러니까 부조에요..
    내가 하면 상대도 해야 하는... 내가 얼마 했다 하면 상대도 얼마 하고
    내가 가주면 상대도 와줘야 하는
    돌뿐만 아니고 결혼식도 장례식도 마찬가지죠.
    부조 문화 아예 없어져서 내 결혼식에 또는 부모님 장례식에 아무도 안온다고 생각해보세요.
    그것도 참 쓸쓸한 일이에요.
    정말 꼭 불러야 하는 몇몇 기쁜마음으로 와서 축하해줄 몇사람만 가고 오는걸로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정말
    그리고 손님 별로 없고 북적이지 않아도 이상하게 안봤으면 좋겠구요..

  • 2. 그러니까요
    '11.11.17 12:23 PM (112.168.xxx.63)

    남의 시선 때문에 별별 사람에게 다 연락하고 다 다녀야 하고
    지금 경조사 문화가 이렇잖아요.
    결혼식이든 장례식이든 꼭 필요한 사람만 꼭 같이 함께 하면 되잖아요.
    사람 많은게 기본처럼. 사람 많은만큼 부조금이 많은 것이 되니..
    부조 문화가 아예 없어져야 한다는게 아니라
    경사든 조사든 꼭 같이 할 사람 정도만 꼭 마음을 함께 나눌 사람 정도만
    내 형편에 맞게 진심으로 초대하고 그 이상을 바라지 않는다면
    초대하는 사람도 초대받는 사람도 얼마나 즐거운 일이 되겠냐는 거죠.

  • 3. 경조사는 직계가족끼리만
    '11.11.17 12:25 PM (112.148.xxx.151)

    했으면 좋겠다는.........서로 부담되요.
    불만제로 호주 결혼하는 사람들보니 부럽더군요...

    아이돌잔치는 엄마 아빠 조부모님같이 집에서 밥먹는정도..결혼식도 드레스입고 가까운 공원에서
    가족들만모여 하고 비디오찍어 지인들한테 영상보내는거 ....

  • 4. 한국사람들
    '11.11.17 12:27 PM (112.148.xxx.151)

    남이보면 ,, 남보기에,, 남들이 뭐라하겠니???

    남들이 내인생을 좌우하는 사람들같아요. 수군거리는 남들도 문제있구요...

    각자 자기분제에만 집중하고 살았으면 좋겠어요...

  • 5. 결국
    '11.11.17 12:33 PM (112.168.xxx.63)

    자꾸 남의 시선 의식하다 보면 없어져야 할 것들이 안없어 지잖아요.
    우선 나부터라도 바뀌어야 하는데 남의 시선이나 생각하고
    그래도 ~~는 해야 할 것 같다..를 꼭 붙이고요.

    그래도가..왜 필요해요. 아니면 아닌거지.ㅠ.ㅠ

  • 6. 에휴~~
    '11.11.17 12:37 PM (112.148.xxx.151)

    ~~는 해얄거같다는
    평생한번인데 라는 전제가 쫓아다녀요....
    그놈에 평생한번 ㅡ,ㅡ

    우리가 사는 모~든날들이 평생한번인데

  • 7. 시선도그렇지만
    '11.11.17 12:56 PM (175.201.xxx.110)

    중간에서 확 바뀌면 결국 그 사이에 금전적으로 피보는 사람들이 생기기 때문에 여간해선 안 바뀌는 거겠지요.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 결혼할 때 혼자 하는 거 아니잖아요.
    가족이 엮이는데 이럴 때 부모님들 때문에라도 아들 딸들 멋대로 결혼식 조율 못합니다.
    이건 수십년간 부모들이 당신들 통장에서 나간 돈을 자식이 그냥 포기하라고 강요하는 거라서요.
    제 친구만해도 단촐하게 가족들끼리 한다니까 부모님이 아주 바리바리 욕을 하셨다네요.
    네 돈 아니라고 아주 쉽구나 하면서 그동안 나간 장부 보여주면서 네가 그 돈 다 다시 토해내라고 ㅋㅋㅋ
    보니 금액이 천단위라서 찌그러져 있었답니다.
    그래서 할 수 없이 부모님 하객들 때문에 결혼식 올렸다고 하더군요.
    최소한 결혼식 때 들어오는 돈이 천단위라서 이거 쉽게 포기하기 힘들죠.
    전 많아봤자 얼만나 될까 했는데 사돈 어르신들 돌아가실 때 들어온 돈이 두 분 장례가 연달아 있어서 합쳐서 2억 가까이 들어왔다는 거 정말 놀랐어요. 물론 아드님이 교수라서 하객들이 많긴 했지만 저 정도면 웬만큼 하객 온다는 집은 그 금액을 포기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겠구나 싶어요.
    지금 젊은 부모들 세대부터가 좀 바뀌고 다른 집에 준 경조사액을 포기한 뒤에야 가능할 겁니다.
    그런데 막상 또 그 시기가 되면 요새 결혼 비용도 비싸서 결혼 자금 회수 생각하면 본전 포기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죠.

  • 8. 꿈꾸고있나요
    '11.11.17 1:25 PM (1.225.xxx.213)

    결혼식,장례식까지만... 했으면 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949 티비에서 나가수 자문위원단 김태훈이 나가수 짤렸다고 자기 입으로.. 8 .... 2012/01/17 4,025
60948 분당에 용한 점집...좀 알려주세요. 2 분당 2012/01/17 2,428
60947 뼈나이, 성장판 검사 이런거 정확할까요 과연? 3 뼈 나이 2012/01/17 7,002
60946 새뱃돈이나 명절비 신권으로 준비하세요? 8 궁금 2012/01/17 2,148
60945 생수를 인터넷에서 사서 드시는 분 계세요? 5 옹이엄마 2012/01/17 1,982
60944 천사의 선택(1989) 드라마 기억하시는 분....계실런지요??.. 9 혹시 2012/01/17 3,189
60943 여러분! 저 20년만에 명절휴가 정말 휴가받아 여행가요. 4 큰며느리 2012/01/17 1,700
60942 공대를 이렇게 저주하면 어딜 갔으면들 하는지요? 24 학부모 2012/01/17 3,757
60941 [재능교육 Mom대로 키워라] 아이 방 꾸미기 수녀라인 2012/01/17 2,676
60940 그냥 다 하기싫고,,,누워만 있고싶은 무기력증은 뭔가요 6 이게 뭘까 2012/01/17 4,069
60939 다른 분들은 하루에 82cook 몇시간이나 보고 계세요? 14 나거티브 2012/01/17 1,933
60938 [중앙] 박근혜 “한나라 어쩌다 이리됐는지 참담” 5 세우실 2012/01/17 1,457
60937 1월 말 대만.. 여행할만한 곳이나 시내 가볼만한 곳 추천좀 해.. 5 대만 2012/01/17 1,948
60936 기존 일반 유치원/ 신설 병설유치원 고민이예요. 7 7세 유치원.. 2012/01/17 1,393
60935 일본인테리어책에서 좋았던게 일본 2012/01/17 1,781
60934 엊그제 82장터에서 상품권 백만원어치 사기당했다는 분, 어떻게 .. 1 아기엄마 2012/01/17 2,663
60933 요즘 부쩍 82가 불편해지네요. 13 ... 2012/01/17 3,155
60932 쌀튀밥 오래묵은것 강정 만들어도 괜찮을까요? 튀밥 2012/01/17 1,045
60931 스키장에서 리프트 안타고 혼자서 연습할수 있는 스키장은 없나요?.. 4 은설 2012/01/17 1,621
60930 빈폴지갑 as 될까요? 2 .. 2012/01/17 2,190
60929 꿈에 호랑이가나오면요 1 2012/01/17 1,859
60928 아파트관리사무소 경리직 어떤가요? 3 .. 2012/01/17 3,033
60927 평균2-3만원 통신비나오는분들 스마트폰 쓰시나요?? 19 스마트하게 2012/01/17 3,523
60926 욕실 청소는 어디까지 하시나요? 1 ... 2012/01/17 1,722
60925 7살아이 아랫니 안쪽에서 또 이가 나고 있어요 7 스토마 2012/01/17 18,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