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장독립중..김치 절이는 방법요

독립 조회수 : 1,812
작성일 : 2011-11-16 00:10:16
wㅓ도 올해 처음입니다.어쩌면 배추를 잘 절일까요?
간단히 알려주세요.배추 하나에 한컵..소금 될까요
IP : 58.126.xxx.160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1.16 4:01 AM (121.178.xxx.220)

    저도 절이는것을 잘 못해서 해마다 당황하는데요.
    제가 하는 방법은 소금물을 만들어서 그 물에다 배추를 담갔다가 줄기말고 잎이 절여지면 줄기마다에 아주 살짝 소금을 묻히는 방법으로 매년 절이고 있네요.
    그래서 배추 한포기에 소금 얼마인줄은 잘 모르겠어요.
    경험으로는 줄기가 안절여져서 거의 밭으로 걸어갈듯한 배추로 김치를 담그면 더 맛있는 김치가 되는것 같아요.
    간은 새우젓이나 액젓을 좀 더 짜게하면 되고요.
    물이 많이 생기긴 하지만 김장김치는 물이 많이 생겨야 맛이 변하지 않고 오래 유지되는 점도 있더군요.
    집집마다 사람마다 다 제각각의 경험치가 있겠지만 제경우는 덜 절여도 젓깔로 간을 하면 더 아삭하고 맛깔스런 김치로 거듭나더란 말씀을 드리고 싶은가 봐요.
    그래서 새벽에 횡설수설이네요.

  • 2. 소금1. 물5
    '11.11.16 9:58 AM (175.121.xxx.220)

    http://blog.naver.com/mikyba?Redirect=Log&logNo=20015414955

    이거 참고해보세요. 소금 뿌려 절이는 것보다 시간은 많이 걸리는데, 맛은 습식이 더 나은거 같아요.
    완도에서 바닷물로 절이는데요. 이렇게 습식 형태로 절이거든요.
    다음 여름에까지도 배추가 무르지 않고, 아삭한 게 있는데, 이래서 그런거 같기도.....

    윗 댓글분 말씀대로, 줄기가 좀 덜 절여져서, 담그면, 시원한 김치가 되는건 맞는거 같아요.
    친정엄마가 항상, 시간이 모자라서, 좀 덜 절여진 상태로 김치 담궈줬었는데,
    익으면, 맛이 아주...시원한~~~맛이 있거든요.

    대개 김치가 김치물에 푹 담궈져서, 산소와 차단되고, 밀폐되어야 맛있다라고도 하구요.
    어제 어느분이 링크해주신,,,[올빼미 화원??]님 김장을 보니,,,
    그 분은 김치 국물 거의 없게 (무채 안 씀),해서, 비닐에 담아, 공기 쫙 빼서, 밀봉해서
    김냉에 몇개월을, 뚜껑 한번 열지 않고, 보관하더라구요.
    결론은,,,공기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거,, 그것도 비법인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927 볶음용 뿌셔뿌셔 집에서 만들려면 어떻게 만드나요? 1 2012/01/09 776
57926 코가 막히고 목소리가.. 완전 변했는데 이거 병원가야하나요 ??.. 1 .. 2012/01/09 822
57925 부자패밀리님께 질문있어요. 2 골룸 2012/01/09 771
57924 오늘 힐링캠프 문재인님 기대하고 있어요^^ 9 가피력 2012/01/09 1,946
57923 근데 왜 고승덕은 돈봉투 폭로했을까요? 20 꿍꿍이 2012/01/09 6,860
57922 결혼비용과 전세 관련해서 여쭤볼게요. 26 AWD 2012/01/09 3,420
57921 이인영 후보가 최고위원 됐으면 좋겠습니다. 8 시민만세 2012/01/09 1,223
57920 올해 총선-대선 골 때리겠네요... 1 하이랜더 2012/01/09 955
57919 시험관 아기 시작하기 전에 준비할게 어떤게 있을까요? 8 모카치노 2012/01/09 6,291
57918 초등 아이들과 볼만한 영화 있나요? 5 초고학년 2012/01/09 2,946
57917 학교 다닐 때 소위 날라리라고 불렸던 애들.. 커서는 뭐가 되었.. 50 궁금녀 2012/01/09 20,075
57916 공포영화 잘보시는 분들 정말 신기해요 10 ,,, 2012/01/09 1,531
57915 일산 킨텍스에서하는 4D 가보신분계시나요? 4d 2012/01/09 785
57914 김포공항근처에 호텔질문요 1 초코바 2012/01/09 1,068
57913 영화예매하려다보니?? ?? 2012/01/09 704
57912 주진우를 지키라는 정봉주 의원 8 깔대기 2012/01/09 2,331
57911 분당제생병원 서현역에 걸어서? 3 partyt.. 2012/01/09 3,845
57910 왜 감기는 밤에 심해질까요? 4 감기중 2012/01/09 1,647
57909 버벌진트 목소리에 반했어요 11 노래 2012/01/09 1,839
57908 혹시 베어파우 어그 신어보신분 계신가요? 12 붕어아들 2012/01/09 2,834
57907 전업주부님들 남편 아침 챙기세요? 76 궁금 2012/01/09 12,807
57906 보이스피싱 확인할수 있는 사이트,,, 나루 2012/01/09 862
57905 손자가 조부모님이 들어간 가족관계부 떼고 싶어요. 7 연말정산때문.. 2012/01/09 9,551
57904 딸은 경희대, 아들은 연세대 54 옆집맘 2012/01/09 16,105
57903 아파트 마이너스옵션 해보신분 계세요?? 1 할까말까 2012/01/09 4,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