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두 탄력있는 복근을 가지고 싶어요ㅠ.ㅠ

고민녀 조회수 : 3,066
작성일 : 2011-11-14 23:44:03

30대 후반의 아기 엄마입니다

아기 낳기 전엔 그래도 복근이 탄탄하고 단단하단 얘길 많이 들었었구요

나름 제 몸 중에 젤 자신있는 부분이기도 했어요ㅎㅎ

아기 가졌을 때만해도 자신이 있었기에 이렇게 제 배가 끔찍하게 변할 줄은 꿈에도 몰랐네요

애 몇 씩 낳아도 아가씨처럼 탄탄하고 튼살 하나 없이 매끈한 엄마들도 많던데

저는 출산이 다른 분들보다 늦어서일까요.. 배를 볼 때마다 너무 우울하네요

그냥 늘어진 정도가 아니고 아랫쪽으로 가면서 겹치면서 울퉁불퉁한게 영화 "이티"의 배를 연상케 하는 배 땜에

몸에 붙는 니트는 꿈에도 못꾸구요, 늘 허벅지 중간까지 내려오는 길고 펑퍼짐한 티셔츠만 입게 되네요. 

가끔 뛰기라도 하면 가슴이 아니라 뱃살만 요란하게 위 아래로 출렁거리는 게 느껴져요ㅠ.ㅠ

 

윗몸 일으키기 같은 복근 운동을 집중적으로 하면 늘어진 뱃살이 좀 단단해지고 탄력이 생길까요

그렇담 어느정도의 강도로 얼마나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음식 조절도 필요한가요?? 아님 수술까지??

몸짱 아줌마까진 아니어도 건강하면서 탄력있는 복근을 만들어서 그동안 위축돼서 남편이 볼세라

늘 가리고 숨기고만 지냈던던 제 자신을 이젠 자신있게 표현하고 당당하게 다가가고 싶어요ㅠ.ㅠ

주책이라고 말씀하실지 모르지만 저두 더 늦기 전에 비키니 한 번 꼭 입고 싶네요ㅠ.ㅠ

복근 운동으로 효과를 보신 여러 맘들의 조언 기다릴께요!! 많이 많이 부탁드려요!!!^^

IP : 124.199.xxx.7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부자패밀리
    '11.11.14 11:57 PM (211.213.xxx.94)

    애 낳고 축 늘어진 아랫뱃살은 그냥 운동으로는 좀 힘든부분이 있어요.
    초기에는 걷는것만으로도 빠지고 등산을 해도 빠지는데 지금 말씀하신 것.즉 원하는건 몸짱아줌마 몸같은거 말씀하시는거잖아요.
    진짜 올라다 붙기 힘들어요.애 낳고 많이 늘어진 뱃살.

    어느정도는 운동으로 다 빠지는데 늘어진 공간은 쉽게 살이 붙어요.거기다 다 늘어져서 근육생기게 하는데 정말 힘들죠.
    제가 그것땜에 전문가한테 묻기도 하고.수술을 권유받기도 했는데요.
    시간이 지나면 이게 지방이랑 셀룰이랑 완전히 하나가 되어서 뭉쳐서 늘어져요.

    일단 살을 걷기를 하시던지 등산을 하시던지 유산소를 쭉 하시면서요.
    배주위에 쑥뜸을 매일매일 떠보세요. 그럼 그부위가 많이 따뜻해지거든요.
    저는 애낳고 쑥뜸을 책보고 부위에다가 놓고 매일매일 했어요.
    그것만해도 좀 많이 빠져요.일단 따뜻하게 해야 하거든요.

    그리고 우리가 운동을 하면 몸이 더워진다 생각을 하는데 무산소나 유산소나 운동을 하고 나면 몸이 쉬이 차가워진대요.
    저는 그당시 애땜에 운동나갈시간이 없어서 집에서 한시간 막춤을 췄어요.
    우리아파트가 그당시 분양이 안되서리..우리라인에 사는 사람이 몇집안되고 우리 라인밑쪽으로는 거의 사람이 안살아서 솔직히 집에서 뛰어도 상관이 없는 상황..
    그래서 막춤을 추고.그러고 좀있다 쑥뜸..뭐 이것도 재미들리니 계속하게 되더라구요.별 뜨겁지도 않고.
    그짓을 몇달하니 제법 들어가더라구요.

    제가 애 가지고 거의 30키로 늘어서리..뱃살이 안늘어날수가 없었던거죠.
    거의 수술의 힘으로 재건해야 될 상황..ㅋㅋ
    그런데 어쩄든 좀 적게먹고 독하게 그렇게 하고나니 엄청 잘빠져서..
    제가 그당시 옷가게 가서.그때 유행했던 바지가 면카고바지였거든요. tbj들어가서 바지를 사는데 제가 28을 집어서 나왔어요.이거 입어볼께요 했더니 점원이 왜 아가씨는 옷을 크게 입어요 그러는거예요..ㅋㅋ 그래서 그럼 골라주세요 했더니 26사이즈를 주는데 진짜 입어보니 헐렁하게 맞더라구요.
    그이후 우리집 식구와 저를 모든 아는이들은 모두 집에서 쑥뜸을 떴다는 후기가 전해져오고 있어요..ㅋㅋ
    그러나 애 낳고 했던 제가 제일 효과가 컸어요.

    그런데 제가 그때 실수한게 근육운동을 거의 안했단거죠.
    그러니 도로 잘먹고 운동안하니 또 뱃살이 그런식으로 나오는겁니다.
    결국 열심히 근육운동.유산소 운동 병행이 진리이구요.
    애낳고 얼마안되었다면.쑥뜸으로 그부위를 좀 자극해주는것도 아주 많은 도움이 되었답니다.


    그리구요 윗몸일으키기는 허리에 안좋거든요.
    제가 해본것중에 제일 좋았던건 스프링식으로 되어 있는 끈이 있어요.
    그걸 위에 고정시켜놓고 잡아당기면..뻑뻒하게 내려오는.
    그걸 강하게 잡아당기면서 인사하듯이 배에 힘주고 배힘으로 그끈을 내리는거죠
    그거 효과 짱이예요
    우리동네는 그게 운동기구에 있어요. 원래는 그운동기구가 아니지만 제가 변형해서 쓰는거예요.ㅋ

    아무튼 제가 아는 방법이니깐 믿고 해보세요..ㅋㅋ

  • 2. 쿵야
    '11.11.15 12:19 AM (118.36.xxx.48)

    저는 윗몸일으키기 꾸준히 했더니 조금씩 배에 탄력이 생기던데요 남들은 비추하더라구요 의자에 앉아서 두다리 들어올리기 도 복근에 좋다하더라구요

  • 3.
    '11.11.15 12:42 AM (218.50.xxx.105)

    유명한 다이어트 비디오나 루틴.

    이소라/클라우디아쉬퍼/강하나/질리안마이클스/몸짱아줌마 등등.

    상복근하복근사근 등등 신경써서 만든 복근운동 보통 20분 내외인데요
    이거 6개월 잡고 주3회이상 하세요.

    효과봐요. 저는 보고 있어요.

  • 4. 기차놀이
    '11.11.15 10:24 AM (218.238.xxx.149)

    수술은 비추에요.
    처진 살은 없앨 수 있을지 모르지만 흉이 남잖아요.
    윗 분들 말씀처럼 운동 추천해요.
    꾸준히 한 일년 노력하면 비키니까지는 모르겠지만
    남편앞에서 부끄럽지 않을 정도는 되어요.
    저는 tv등을 볼 때 혹은 자려고 누운 자리에서
    습관처럼 양쪽다리
    그러니까 옆으로 누워 -보통 옆으로 누워 tv 많이 보시잖아요-
    양쪽다르를 모두 들어 올리는 거에요. 그 상태에서 멈출수 있는 만큼 멈추어 자극을
    주는 것이지요. 가끔은 위에 다리는 그대로 두고 밑에 다리를 앞뒤로 흔들어 주기도 하구요.
    이 때 상채를 일으키고 하면 더 효과가 좋겠지만 저는 그냥 편히 누워서 했어요.
    너무 격식을 차기고 하면 운동이라는 생각과 함께 습관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요.
    생각날 때 마다 수시로 하였더니 배에 탄력이 많이 생기더군요.
    특히 골반뼈 주변의 근육들이 예쁘게 생겨요. 꼭 일본 피규어 인형 처럼요.
    단기간 서두르지 마시고 꾸준히 하신다면 꼬옥 효과 보실거에요.
    걷기들의 유산소 운동과 음식을 함께 하시면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353 무릎 타박상 경우 걷기운동도 안좋을까요? 3 문의 2012/01/02 1,897
55352 외가댁과 아예인연을끟고 살려는데 어떻게생각되셔요? 3 ..고민녀 2012/01/02 1,432
55351 민통당 후보중 누구뽑을지 다들 정하셨나요? 4 fta절대 .. 2012/01/02 838
55350 한석규씨 대상 소감이... 32 저는 2012/01/02 10,883
55349 천일의 약속 보신분 김해숙 캐릭터가 어떤 캐릭터인가요? 5 김해숙 2012/01/02 1,854
55348 드립백커피 추천해주세요. 3 수필 2012/01/02 2,432
55347 감자탕 어떻게 끓이나요? 2 감자탕아맛있.. 2012/01/02 1,397
55346 원글내리겠습니다. 10 2012/01/02 2,509
55345 앞니 보철(크라운) 질문 드려요. 1 우울모드 2012/01/02 1,538
55344 디도스 범인 "이름 세글자만 들어도 알 만한 사람이 뒤에서 책.. 1 ... 2012/01/02 1,404
55343 강정마을.. whgdms.. 2012/01/02 796
55342 한국에서 물리학 공부를 하면 어떻게 되냐면요 16 오지라퍼 2012/01/02 5,200
55341 길냥이 3 ,, 2012/01/02 1,227
55340 병아리 꿈 태몽일까요. .. 2012/01/02 2,199
55339 정말 잘 안먹는 아이 2 가을사랑 2012/01/02 1,401
55338 왕따 8개월… 딸은 정신병원에, 온가족이 망가졌다 5 빛나는별 2012/01/02 3,253
55337 저희아기가 겁이 너무 많은데 어떻게 키워야할까요? 14 더딘기질 2012/01/02 4,482
55336 한나라 비대위원 이준석 ‘디도스 공격’ 방법 문의…논란 1 참맛 2012/01/02 1,770
55335 어디까지 전화인사하세요? 3 새해첫날 2012/01/02 1,361
55334 입술 끝이 찢어지듯 헐어서 오래 가는데 빨리 낫는 방법 없나요?.. 8 입병 2012/01/02 10,707
55333 (급질) 씽크 수전이 벽에서 안빠져요. ㅠㅠ 7 컴앞대기 2012/01/02 1,744
55332 민변 쫄지마 기금 204,178,593원 모금됨(2011.12... 행복한생각중.. 2012/01/02 1,807
55331 지껄이더라도 뭘 알고 지껄여야지 사랑이여 2012/01/02 1,298
55330 간, 신경쪽 진료보려는데.. 아산병원, 고대 구로.. 어디가 좋.. 1 .. 2012/01/02 1,482
55329 나경원 2012년 제1호 사건으로 고소당하다!!! 6 참맛 2012/01/02 2,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