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냄비밥 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냄비 조회수 : 7,598
작성일 : 2011-11-14 18:11:23

제가 요즘 입덧이 심해서 잘 못먹고 사는데요ㅠㅠ

지난주말에 신랑이랑 생태찌개를 먹으러 갔어요

거기서 다 찌그러진 냄비에 먹기 바로전에 밥을해서 주시더라구요

근데 그 밥이 어찌나 맛있던지~~~

올만에 밥한공기 다 먹었어요~~다 먹고 누룽지에 숭늉까지~~정말 꿀맛이었어요

 

냄비밥 초보가 하기 어렵다고 알고있는데 노하우 있을까요?ㅠㅠ

그리고 냄비밥 해먹을때 무슨 냄비도 있어야 하는지요??

자꾸 그날 그밥이 떠올르면서 집에서 먹는 전기밥통 밥과 비교가 안돼네요~~

 

IP : 121.168.xxx.32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asmine
    '11.11.14 6:16 PM (112.153.xxx.25)

    희망수첩에도 있고 히트레시피에도 있어요.
    검색해서 보세요. 한번만 해보면 감이 오실거예요.
    갓지은 밥...진짜 맛있지요...^^;;

  • 2. 사과나무
    '11.11.14 6:23 PM (14.52.xxx.192)

    냄비밥은 불조절을 잘해야해요.
    강에서 중불, 약불에서 뜸들이기...

  • 3. 냄비
    '11.11.14 6:26 PM (121.168.xxx.32)

    jasmine님이 알려주신대로 검색해보고왔어요~~
    볼수록 어려워보이네요^^ 제가 워낙 살림에 초보라...
    그래도 냄비밥은 포기는 안돼고..도전함 해봐야겠어요

  • 4. ..
    '11.11.14 6:57 PM (211.109.xxx.173)

    일단 잘 불리세요
    불린 쌀을 남비에 넣고 물을 한 1.2센티 정도 넣고
    불을 일단 센불로(냄비가득 불을) 그렇게 하다가
    첫번 끓어넘치면 뚜껑을 열고 불을 중불로 줄이세요
    다시 덮어주고 끓이다가 물이 거의 없어졌다 싶을때
    약불로 뜸을 들이시면 되는데
    제가 말한 센불은 대체로 중불이예요
    냄비가 센불로 하면 불이 넘쳐요 아주 큰 냄비가 아니라면요
    처음하는 냄비밥이라면 처음 물 넘쳤을때 뚜껑열고 불줄이고
    물을 완전 쫄았을때까지 열어뒀다가
    자작자작할때 뜸들이면서 닫으세요
    전 코펠로도 밥 맛있게 하는 편이랍니다^^

  • 5. 한식조리사
    '11.11.14 7:11 PM (1.246.xxx.81) - 삭제된댓글

    딸때 배운 정확한 레시피 알려드릴께요~

    쌀 한컵을 씻어서 30분정도 불리세요 밥이랑 물 1:1로 넣으시고 불을 켜요
    센불로 끓이다가 김이 모락모락 나기시작하면 얼른 불을 끄시고 10분후 약불로 켜세요
    약불에 정확히 7분정도 끓이시다가 불끄고 10분 뜸들여 드세요!

    올봄에 배워서 여름에 야외 놀러나가 정말 잘 해먹었네요 갓지은 냄비밥 정말 맛나요!^^

  • 6.
    '11.11.14 7:29 PM (175.207.xxx.40)

    저도 한식조리사..

    냄비위에...행주같은 거 덮으세요.압력.

  • 7. 제가
    '11.11.14 8:44 PM (211.187.xxx.253)

    하는 방법;
    1. 쌀을 씻어 40분간 불린다.
    2. 40분이 거의 다 될쯤/ 냄비에 물(쌀과 같은 양or 조금 더)을 넣고
    센불에 팔팔 끓인다.
    3. 2에 1을 널고 숟갈로 휘익 한 번 젓는다. (이 때 물의 양이 쌀의 양보다 쌀 한톨 높이 정도 높아야 함)
    4. 뚜껑을 덮고 제일 약한 불로 줄인다.
    5. 노릿노릿 누룽지 냄새가 나면 불을 끄고, 좀 있다가 먹는다.

  • 8.
    '11.11.14 10:21 PM (118.46.xxx.122)

    저는 몇년째 계속 냄비밥을 해먹는데요...
    전 그냥 가장 약한 불에 올려놓고 한 2-30분 잊어버리고 있어요.
    밥부터 올려놓고...다른 반찬들이나 찌개 만들기 시작하죠..
    그러다가 뚜껑 살짝 열어보고 물이 다 잦아들었다 싶으면 불끄고 10분후에 먹어요.
    센불로 하면 밥물이 금방 끓어넘쳐서 가스렌지 난리가 나고 냄비주변도 지저분해지고 해서요...
    처음부터 약한불에 (4구버너중에 2번째로 큰 버너 제일 약한불 )
    해도 맛있어요... 렌지 냄비 둘 다 깨끗하고요.
    냄비는 통2중스텐냄비로 하구요...밥물은 손바닥 넣었을 때 손등가 손가락사이에 있는 툭 튀어나온 뼈
    있는데까지 넣어요.. 제가 좋아하는 밥은 좀 보드라운 밥이라 물이 약간 많은 편일 수도 있어요..
    가끔 깜박 잊고 좀 오래 끓였다 싶으면 아예 더 오래 끓여서 누룽지를 만들어요..
    어설픈 누룽지를 만들면 밥뜰때 다 같이 떠져요...
    좀 오래 눌리시고....위에 밥만 다 떠낸후 좀 더 바삭하게 한번 더 불에 올렸다가 식히면
    냄비모양으로 똑 떨어지는데 진짜 맛있죠..
    냄비밥 먹다가 압력솥밥 먹으면 너무 떡같고.....전기밥솥밥 먹으면 너무 부슬부슬하고 그래요..
    햅쌀로 갓지은 밥은 정말 꿀맛~

  • 9.
    '11.11.14 10:22 PM (118.46.xxx.122)

    통3중인데....왜 통2중으로 써졌지? ^^;;;

  • 10. 이쁜강쥐
    '11.11.14 11:04 PM (112.170.xxx.87)

    저도 식당에서 바로 해주는 냄비밥,솥밥에 빠져서 집에서도 무쇠냄비,스텐냄비에 해먹느라 쿠*전기밥솥은 아예 손님와서 밥 많이 할때 대비해서 다용도실에 보관중인지 몇년됬어요.(손님와도 큰 냄비에 밥한다져^^)
    위에 올려주신 방법들로도 종종 하는데 보통 제일 많이 하는 방법은 흠님이랑 비슷~
    밥앉혀놓고 찌게끓이고 생선굽고..다른것도 해야하니 제일 만만한 방법이 쌀씻어서(불릴때도있고 그냥바로할때도있어요) 냄비에 넣고 첨엔 센불에 뚜껑덮어서 끓이다가 끓기시작하면 불 완전 작게 줄여서 그냥 냅두고 다른음식합니다.
    30분정도지남 누룽지냄새나기시작해요^^
    냄비밥도 쌀이랑 현미,현미찹쌀 1:1:1(비율은 조절)해서 해먹은 씹는맛이 정말 좋아요~

  • 11. 14년째 냄비꿀밥
    '11.11.15 2:09 PM (221.165.xxx.228)

    친척분이 암웨이 두꺼운 냄비 세트를 선물로 주셔서(14년 전 결혼할 때)
    항상 냄비밥 해먹어요. 정말 맛나죠.
    집에서 매일 누룽지에 물 치익~ 부어 먹기에 밖에 나가서 누룽지 봐도 그러려니 해요.
    근데 다른 분들은 그걸 엄청 좋아하더라구요. 맛있다고 막 먹으라고 권유하시며 ㅋ
    전 매일 먹어요 하면 그래?~ 하시고 ㅋ

    일단 냄비 바닥이 두꺼워야!! 꼭 두꺼워야 해요. 바닥이 두꺼워야 누룽지가 잘 눌어요.
    다른 냄비랑 비교는 안해봤지만 암웨이 냄비 정말 좋더라구요. 누룽지가 정말 예술!!
    두꺼운 시골 가마솥 누룽지예요. (암웨이 선전 아니구요. 비싼 냄비는 이거 하나라 ㅋ)
    그리고 맛있는 쌀을((쌀 맛에 따라서도 밥 맛이 달라요) - 저는 고시히까리, 오대살, 이천쌀, 마트즉석도정쌀 먹어요)) 씻어서 30분 불린 후에 물을 손등에 닿을락말락(몇 번 하다보면 감이 와요. 근데 사온 쌀이 햅쌀이냐 묵은 쌀이냐에 따라 물기가 달라서 좀 조절하시구요. 뻑뻑하면 중간에 물을 조금 뿌려도 되구요) 넣고
    좀 강불에 두다가 냄비뚜껑이 딸락딸락 하면 약불로 줄이고 한 15-20분 정도? 밥이 고슬고슬 찰지게 되어요.
    더 두면 누룽지가 두껍게 눌구요.

    글로 쓰니 길지만 정말 쉬워요. 별거 아니랍니다. 탱글탱글한 냄비밥 먹다보면 압력솥 밥은 쌀알이 질척하게 뭉개진듯한 느낌이 들어요. 밥이 넘 달고 맛나서 밥을 많이 먹는 게 단점이랄까요. 김치하고만 먹어도 맛나요. 제가 밥은 친정엄마보다 더 맛있게 해요 ㅋ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231 싸가지없게 말했는데 상대가 재치있게 받아 준 경험,저도 7 ........ 2011/12/27 3,763
53230 맞춤법! 하니까 생각나요. "몇일전"이 전 거.. 3 망탱이쥔장 2011/12/27 1,601
53229 학교에 심리학전공 전문상담사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6 !! 2011/12/27 1,277
53228 이문열과 김홍신 초한지중 8 도움주세요 2011/12/27 3,829
53227 대통령 실소유주 논란 `다스`…싱가포르 이전 추진? 1 ^^ 2011/12/27 734
53226 한부모가정신청하려는데 학교담임이 알게 될까요? 9 aaa 2011/12/27 2,712
53225 아줌마 소리를 한 번도 안 들어봤어요.. 16 띠용 2011/12/27 2,946
53224 초등수학 미친거 같지 않아요. 4학년이 1000조 계산이 나오네.. 17 .. 2011/12/27 3,746
53223 혹한에 청담동에서 미니스커트를 보며 7 chelsy.. 2011/12/27 2,575
53222 다독하시는 분들..책 많이 읽으시는 분들이요. 20 레몬머랭파이.. 2011/12/27 3,266
53221 마포쪽에 라식수술 잘 하는 곳 추천 좀 해주세요.. 4 라식수술 2011/12/27 930
53220 입가가 양쪽으로 찢어진 느낌이에요. 4 아우 2011/12/27 2,028
53219 미쿡가는데 뭘 사와야 할까요 7 고독 2011/12/27 1,601
53218 학교폭력, 왕따에 학교와 교사가 역할을 하긴 하나요? 23 답답 2011/12/27 2,739
53217 당신이 영어를 못하는 진짜 이유(방송내용) 7 고독은 나의.. 2011/12/27 2,450
53216 사당역 근처 맛집 부탁드려요. 4 추천 2011/12/27 1,369
53215 커피빈 보온병이 밑바닥이 녹이 슬었는데 버려야 할까요?ㅠ.ㅠ 1 니모 2011/12/27 1,660
53214 반신욕 해도 땀 안나는 분 계신가요? 11 박사장 2011/12/27 10,586
53213 도움요청)아이 방학 스케쥴표를 탁상달력처럼 만들어 주고 싶은데... 2 엄마라는.... 2011/12/27 926
53212 일진 자식을 둔 부모는 어떤 사람일까요? 42 무섭다 2011/12/27 10,826
53211 집에 사서 두고 두고 볼만한 책 추천 부탁드려요 4 사서 둘만한.. 2011/12/27 1,618
53210 아이돌 수익에 대해 .......... 11 이런 2011/12/27 3,134
53209 12월 27일 목사아들돼지 김용민 PD의 조간 브리핑 1 세우실 2011/12/27 997
53208 법원장의 서면경고에 최 변호사 "꼴값 떨지마".. 10 사랑이여 2011/12/27 1,980
53207 저는 요즘 이런 말이 답답해요 4 국민들~ 2011/12/27 847